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12

        2.
        2017.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research investigated quality characteristic and sensual characteristic of Chilhyanggye recipe comparing to general Samgyetang, through restoring the recipe recorded in old documents. pH appeared 6.60, high in control group, while Ungchu and Baekssemi Samgyetang displayed respectively 6.42, 6.41, no significant difference from control group, however Ungchu and Baekssemi Chilhyanggye displayed 5.89, 5.90, significantly low. Brightness of breast appeared significantly high in Baekssemi Samgyetang however reddishiness appeared high in Ungchu Chilhyanggye, while yellowishness appeared high in Baekssemi Chilhyanggye compared to other groups. Brightness of chicken leg appeared highest in Baekssemi Chilhyanggye, significantly higher than other groups (p<0.05). Reddishness appeared higher in control group, however appeared low in Samgyetang. Brightness value of soup appeared very high in control group, Ungchu, and Baekssemi Chilhyanggye, which seems to be due to difference in chicken recipe. In case of reddishness, Ungchu Chilhyanggye appeared the highest, and significantly high in order of Baekssemi Chilhyanggye, Baekssemi Samgyetang (p<0.05). Yellowishness appeared significantly high in control group (p<0.05). Hardness of intensity of breast appeared highest in Ungchu Samgyetang and Ungchu Chilhyanggye, and in order of Baekssemi Samgyetang, Baekssemi Chilhyanggye, which seems to be the result of diversity of breed and using vinegar in recipe. Investigation of preference appeared significantly high in color, fragrance, taste, and overall preference in Ungchu and Baekssemi Chilhyanggye compared to control group and Samgyetang (p<0.001). Ungchu Chilhyanggyetang appeared significantly high in overall preference (p<0.001). Calorie appeared higher in Baekssemi compared to Ungchu, while Samgyetang displayed higher value than Chilhyanggye. Carbohydrate appeared higher in Samgyetang than Chilhyanggye. Crude protein content appeared higher in Ungchu breed than Baekssemi breed, on the contrary, crude fat appeared low. Saturated fat and cholesterol apepared lower in Ungchu than Baekssemi.
        4,000원
        4.
        2006.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새만금 방조제 공사에 따른 동물 군집변화를 분석하기 위한 기초자료를 얻고자 이 지역에 서식하는 연체동물상을 조사하였다. 생물상 조사는 2003년 8월 3일에서 5일, 8월 21일에서 23일 등 2회에 걸쳐 실시하였다. 조사결과 40과 88종의 연체동물이 채집되었으며, 문헌기록을 포함하여 새만금 지역에 서식하는 연체동물은 모두 48과 109종으로 밝혀졌다. 이 중 금번 조사에서 흰점줄박이고둥(Eurytrochus cognatus)을 포함한 34과 51종이
        4,000원
        5.
        2012.08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In this research, to modernize traditional food and to make functional bokryung-byung, bokryung-byungwas made with Poriacocos Wolf powder added. During its storage, its moisture content ranged from 42.89 to 44.85%. The control group had the highes tmoisture content (44.85%), and it was reduced significantly as the Poriacocos Wolf powder in creased. The longer the storage period was, the lower the pH and the higher the acidity was. The total bacterial count increased from 2.70 to 3.00 Log CFU/g right after the manufacture and increased rapidly on the fourth day of the storage with more than 7.00 Log CFU/g. There was no difference between the control group and the bokryung-byung, though. The Hunter’s color value after the manufacture, with the increase in the added Poriacocos Wolf powder, showed a significantly reduced brightness, but significantly increased redness and yellowness. Their chromaticity did not change, how ever, during their storageat a temperature of 20 °C. The hardness, solidity, gumminess, and cohesiveness of the bokryung-byung increased, unlike in the control group, and its brittleness increased. In terms of the overall preference, the preference for the control group was high, but was higher when 5 % Poria cocos Wolf powder was added during the manufacture of the bokryung-byung. As a result of these correlations, it is believed that elastic and chewy dduks are preferred and bokryung-byungs could be developed as functional dduks.
        6.
        2011.02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산머루과즙으로 새로운 산형음료 개발을 위해 tea fungus로부터 분리한 G. hansenii TF-2 균을 이용하여 발효하였다. 과즙배지는 11~17%(v/v)의 산머루과즙에 초기 당도를 로 조정하였다. G. hansenii TF-2에 의한 발효는 과즙 배지에 활성화시킨 seed gel의 5%(w/v)를 첨가하여 에서 15일 동안 배양하였다. 발효동안 발효 액 표면에 막을 생성시키고 산(acids)을 생성하였다. 산머루과즙 발효액의 유기산은
        7.
        2010.08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다양한 건강 기능성을 가진 오미자 추출물을 첨가하여 맛과 색상이 우수한 정과를 개발할 목적으로 연근 정과를 제조한 후 에 12주간 저장하면서 종합적인 품질특성 변화를 조사하였다. 연근 정과의 pH와 산도는 오미자 첨가량이 많을수록 pH가 낮고 산도가 높았다. 저장초기의 수분함량은 약 8%였으며, 저장 2주까지 수분함량이 14-17%까지 증가한 후, 저장말기까지 큰 변화가 없었으며 대조군은 오미자 첨가구보다 수분함량이 낮았다. 연근 정과의 총균수는
        8.
        2008.02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중심합성계획법을 이용한 반응표면분석에 따라 다시마 추출액으로 tea fungus 발효 특성을 모니터링 하였으며, 그 발효액의 관능적 검사를 하였다. 그 결과, 다시마 추출액을 이용한 산형 발효 음료 제조시 산도는 , pH는 , 당도는 및 겔 두께는 mm 등으로 처리구에 따라 큰 변화가 있었으며, 산의 함량이 가장 높은 처리구는 알코올 함량 2.00%, 당 함량 10.17% 및 감귤과즙 함량 1.99%이었고, 그때 예측된 산도는 0.94였다.
        9.
        2003.12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노루궁뎅이 버섯 및 그 추출물의 일반적인 식품의 성분과 기능적 특성을 조사하였다. 그 결과 노루궁뎅이 버섯의 조단백질은 8.01%로 나타나 단백질의 함량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유리당은 glucose 47.09 mg%, fructose 34.65 mg%의 순으로 나타났으며 sucrose와 maltose는 나타나지 않았다. 유리아미노산은 glutamic acid alanine, threonine과 serine의 순으로 많은 함량을 나타내었다.
        10.
        2002.06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쑥과 솔잎을 각각 물과 70% 에탄올로서 추출하여 전자공여능과 아질산염 소거능을 조사하였다. 쑥 추출물의 전자공여능은 300-1,000ppm 농도에서 물추출물은 50-57%였으며, 에탄올추출물은 51-64%로서 에탄을 추출물이 우수하였다. 솔잎 추출물의 전자공여능은 물추출물은 100-500ppm에서 52-60%, 1,000ppm에서는 70%의 전자공여능을 나타내었으며 에탄을 추출물은 100-500ppm에서 68-71%, 1,000ppm에서는 약
        11.
        2002.03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인공재배한 번데기동충하초의 균사체와 자실체를 각각 물과 70% 에탄올로서 추출하여 전자공여 능과 아질산염 소거능을 조사하였다. 균사체 추출물의 전자공여능은 300∼1,000 ppm의 물추출물에서 37∼47%였으나, 에탄올추출물에서 57∼70%로서 에탄을 추출물이 우수하였다. 자실체 추출물의 전자공여능은 300∼1,000 ppm에서 물추출물과 에탄올추출물 모두 19∼48%로서 균사체 추출물에 비하여 낮은 편이었다. 아질산염 소거능은 pH 1.2,
        12.
        2002.03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동충하초(눈꽃 동충하초, 번데기 동충하초), 쑥 및 솔잎 추출물의 항균작용을 조사하기 위하여 동충하초의 자실체와 균사체, 쑥 및 솔잎을 물과 70% 에탄올로 추출하였다. 항균실험에는 3종류의 그람양성균(Bacillus subtilis, Listeria monocytogenes, Staphylococcus aureus)과 3종류의 그람음성(Escherichia coli, Shigella sonnei, Salmonella typhimurium) 식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