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정신요양시설 생활인의 자기결정권이 회복에 미치는 영향에 서 사회적 지지의 조절효과를 검증하기 위한 목적이 있다. 본 연구는 2022년 11월, 정신요양시설 생활인을 대상으로 조사한 281부의 설문지 로 연구 분석하였다. 통계분석은 SPSS 25.0 프로그램과 jamovi 2.5.22 로 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정신요양시설 생활인의 자기결정권이 회복을 높이는 것으로 확인되었다(β=.470, t=9.338, p<.001). 둘째, 정신요양시 설 생활인의 사회적 지지가 회복을 높이는 것으로 확인되었다(β=.157, t=3.078, p<.01). 셋째, 정신요양시설 생활인의 자기결정권과 회복과의 관계에서 사회적 지지가 조절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β=.311, t=6.912, p<.001). 위의 연구결과를 중심으로 정신요양시설 생활인의 회복에 영향 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실천 및 정책적 방안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는 중국과 일본의 한류 문화 인식, K-Pop 인기요인, K-Pop 기술이용, K-Pop 이용 의도의 관계를 파악하는 것에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2023년 8월 22일부터 9월 10일까지 중국인과 일본인 총 240명을 대상으로 서베이 몽키를 통하여 설문조사를 하였다. 조사 결과 첫째, K-Pop 이용 의도에 K-Pop 기술이용(β=.875), K-Pop 인기요인(β=.612), 한류 문화 인식(β=.237)이 영향력을 보였다. 둘째, K-Pop 기술이용에 K-Pop 인기요인(β=.713)과 한류 문화 인식(β=.207)이 영향력을 보였다. 마지막으로 한류 문화 인식과 K-Pop 인기요인이 K-Pop 이용의도에 미 치는 영향에서 K-Pop 기술이용의 매개 효과를 분석한 결과 K-Pop 기술 이용의 매개효과(문화 인식, Z=3.583; K-Pop 인기요인, Z=9.348)를 확 인했다. 이에 본 연구를 바탕으로 K-Pop 이용 의도를 높이기 위한 제언 을 했다.
본 연구는 노인장기요양기관의 ESG활동이 조직성과에 미치는 영향 에서 윤리경영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기 위한 목적으로 장기요양협의회 와 연계하여 2022년 12월부터 2023년 01월, 총 62일간 700명의 설문 지를 수집하여 연구분석하였다. 연구는 SPSS 및 Amos 25.0을 사용하 여 분석했다. 연구결과, ESG활동(환경, 사회공헌, 지배구조)가 윤리경 영에 정(+)적인 영향을 미쳤고, 윤리경영은 조직성과에 정(+)적인 영향 을 미쳤다. 또한, 본 연구의 목적을 중심으로 윤리경영의 매개효과를 분석한 결과 연구는 노인장기요양기관의 ESG활동(환경, 사회공헌, 지 배구조)이 조직성과에 미치는 영향에서 윤리경영의 완전매개효과를 확 인했다. 이를 통해 본 연구는 노인장기요양기관의 ESG활동, 윤리경영 의 중요성을 근거자료로 제공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발달장애인의 환경, 앞으로의 미래 가치, 평생교육의 내용들이 그들이 자기결정권에 얼마만큼 만족을 줄 것인가에 대한 고민이다. 장애영역에서는 향후 평생교육 경험률에 대한 필요성 부 분이며 재활, 교육, 사회참여, 문화, 여가에 관하여 40.8%의 욕구를 통하여 알 수 있듯이 다양한 분야 의 평생교육에 대한 필요성을 느낄 수 있는 부분이다. 문헌연구를 통하여 발달장애인 개인의 다양한 특 성과 지속적인 요구를 고려한 체계적인 교육환경을 접할 수 있는 환경이 필요하다. 즉 건강영역, 재활영 역, 고용영역, 주거영역, 지역사회영역 및 여가활동 등 적절한 교육지원서비스를 요구하고 있는 것이다.
This research investigated quality characteristic and sensual characteristic of Chilhyanggye recipe comparing to general Samgyetang, through restoring the recipe recorded in old documents. pH appeared 6.60, high in control group, while Ungchu and Baekssemi Samgyetang displayed respectively 6.42, 6.41, no significant difference from control group, however Ungchu and Baekssemi Chilhyanggye displayed 5.89, 5.90, significantly low. Brightness of breast appeared significantly high in Baekssemi Samgyetang however reddishiness appeared high in Ungchu Chilhyanggye, while yellowishness appeared high in Baekssemi Chilhyanggye compared to other groups. Brightness of chicken leg appeared highest in Baekssemi Chilhyanggye, significantly higher than other groups (p<0.05). Reddishness appeared higher in control group, however appeared low in Samgyetang. Brightness value of soup appeared very high in control group, Ungchu, and Baekssemi Chilhyanggye, which seems to be due to difference in chicken recipe. In case of reddishness, Ungchu Chilhyanggye appeared the highest, and significantly high in order of Baekssemi Chilhyanggye, Baekssemi Samgyetang (p<0.05). Yellowishness appeared significantly high in control group (p<0.05). Hardness of intensity of breast appeared highest in Ungchu Samgyetang and Ungchu Chilhyanggye, and in order of Baekssemi Samgyetang, Baekssemi Chilhyanggye, which seems to be the result of diversity of breed and using vinegar in recipe. Investigation of preference appeared significantly high in color, fragrance, taste, and overall preference in Ungchu and Baekssemi Chilhyanggye compared to control group and Samgyetang (p<0.001). Ungchu Chilhyanggyetang appeared significantly high in overall preference (p<0.001). Calorie appeared higher in Baekssemi compared to Ungchu, while Samgyetang displayed higher value than Chilhyanggye. Carbohydrate appeared higher in Samgyetang than Chilhyanggye. Crude protein content appeared higher in Ungchu breed than Baekssemi breed, on the contrary, crude fat appeared low. Saturated fat and cholesterol apepared lower in Ungchu than Baekssemi.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basic data for the development direction and strategy for medicines through analysis of differences in choice attributes according to customers awareness of medicines and experience. In order to achieve the purpose of this study, a questionnaire survey was conducted on dietary education among national network trainees and lecturers by the Ministry of Food, Agriculture, Forestry and Livestock in Daegu, Gyeongsan, and Ulsan, Seoul from December 5, 2016, respectively. First, factor analysis results showed that six factors were extracted with respect to the choice of the restaurant. Second, the difference in each factor according to the recognition and experience of medicinal herbs was the health related factor as sex, females, age 50~59 years, companion others, and publicity and advertising' factors were more important for publicity and advertisement when the gender was female, the customer's age was 40~49 years, the companion was other, and the time of use was during the weekend. Among the factors related to 'getting dressed', the more important gender was female, age 40~49 years, and the other partner, The factors related to 'time' were as follows: sex, age, age 20~29 years, no accompanying companions, no time of use, and time importance. The 'menu' factors were more important for men, gender, women, age 40~49 years, companion for guitar, and usage time for weekend dinner. The 'service' factors were more important in 'service' as sex, male age, age 20~29, companion family, usage time, and weekend dinner.
다문화 청소년들의 문화는 다양한 환경, 이중적 언어 환경을 가지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사회 전반적 교육환경 차원에서 그들을 위한 개별화된 교육과정이나 공교육에서 다문화 청소년을 위한 진로교육환경에 대한 적절한 전문성과 대응 교육은 별도로 진행되고 있지 않다. 본 연구는 다문화 청소년의 직업의식, 직업교육을 환경적 관점을 문헌 탐색하여 직업교육에 대한 직업적합성을 분석 하고 진로교육환경에 대해서 알아보고자 한다. 또한 직업의식 방법들과 관계성을 분석함으로써 다문화 청소년들의 자기이해와 자아존중감이 직업환경에 어떠한 영향을 끼치는지 알아보고자 하며, 다문화 청소년들의 욕구와 흥미, 진로에 대 한 인식교육을 개인의 경험과 역량을 살려 다양한 환경 속에서 자아를 찾고 그 속에서 직업의식을 바탕으로 직업적합성의 효능감을 찾을 수 있도록 영향을 주고자 함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 supplemental healthy food that can help prevent high blood pressure-related diseases caused due to the excessive consumption of sodium in salt. This was achieved by using ion-displacement techniques to produce mineral salt with lower sodium content by using fermented brown rice by-products rich in minerals. Mineral salt containing 2019.2 mg/100 g of potassium, 678.5 mg/100 g of magnesium, 48.7 mg/100 g of calcium, and 19.5 mg/100 g of sodium was obtained by fermenting brown rice by-products to create a culture medium for the mineral salt. Mineral salt containing 1769.7 mg/100 g of potassium, 573.6 mg/100 g of magnesium, 35.3 mg/100 g of calcium, and 19.5 mg/100 g of sodium was obtained by filtering and refining the by-product extract of fermented brown rice. The results showed that when the stream velocity of the instrument used for electrolysis was 200 mL/min and the current and the concentration of the reactive liquid in the purified water chamber were higher, the effect of electrolysis was greater. Ion hot water extraction of the fermented brown rice by-products improved by up to 95% and was collected as purified water within 90 min of the reaction time. Chloride ions with pH 7.4 were produced by mixing sodium hydroxide in a purified saline water chamber with electro-analyzed water. The salt produced in this study contained low sodium, 5.7~30%, as compared to 40% sodium content of the normal salt.
This study was carried out for the functional investigation of the Ulmus pumila L. extracts for use in functional-food processing. Extracts of Ulmus pumila L. were obtained using distilled water and 70% ethanol, and the extracts were tested for their electron-donating ability, SOD-like activity, nitrate-scavenging ability, and anticancer (MDA and A 549 cells) activity. The extraction yields of the water and ethanol extracts were 12.7 and 12.0%, respectively; the polyphenol contents were 623.5 ± 2.4 and 710.5 ± 2.1 mg/100 g; the electron-donating ability was high in proportion with the density; and the water extract was higher than the ethanol extract (76 and 64%, respectively) at 1,000 ppm. In all the 1,000 ppm densities, the SOD-like activity of the water extract was far higher than thatof the ethanol ex tract (53 and 38%, respectively), and the nitrite- scavenging ability of the ethanol extract was higher than that of the water extract (47 and 43%, respectively). As for the anticancer ability at 1,000 ppm, it was 62% in the water extract and 42% in the ethanol extract in the MDA cell, and 60% in the water extract and 45% in the ethanol extract in the A 549 cell. Thus, the proliferation inhibition ability of the water extract against cancer cells was found to be far higher than that of the ethanol extract (60 and 45%, respectively).
In this study, 0, 20, 40, 60, 80, and 100% Ulmus pumila L. nonglutinous and glutinous sikhe were added to Ulmus pumila L. extracts for 15 days at 4℃, and for seven days at 25℃, to examine the extracts' storage properties and sensory characteristics. The results are as follows: (1) On the changes of pH and acidity during storage of Ulmus pumila L. nonglutinous and glutinous sikhe, both of them showed lower pH values with lower additive Ulmus pumila L. extract contents. The pH value continuously decreased with a longer storage period, and the acidity was higher with a lower concentration of Ulmus pumila L. extract. (2) The total microbial cell count during storage of Ulmus pumila L. nonglutinous and glutinous sikhe at 4℃ was 4.6-5.0 log CFU/g at 0 day. The sikhe to which Ulmus pumila L. extract was not added increased to 8.8-9.0 log CFU/g on the seventh storage day, while the sikhye to which 80 and 100% Ulmus pumila L. extracts were added were 7.8 and 6.9 logCFU/g, respectively. Thus, the total cell count was lower with a higher additive content of Ulmus pumila L. extract. The total cell count of the sikhe to which 0-60% Ulmus pumila L. extracts reached the maximum value on the seventh storage day and did not show any change thereafter. The total cell count of the sikhe to which 80 and 100% Ulmus pumila L. extracts were added, however, reached the maximum value on the 10th to 13th storage days, thus showing that the storage period was increased by Ulmus pumila L. At 25℃, the total cell count was 4.6-5.0 log CFU/g on 0 day and continuously increased during the storage period. It had increased to 8.9-9.5 log CFU/g on the seventh storage day, and no differences were shown according to the additive content of Ulmus pumila L. extract. (3) On the sensory characteristics of Ulmus pumila L. nonglutinous and glutinous sikhe, the Ulmus pumila L. nonglutinous sikhe to which 20% Ulmus pumila L. extract was added showed the highest overall-acceptability value (4.23±0.95), whereas the Ulmus pumila L. glutinous sikhe to which 40% Ulmus pumila L. extract was added showed the highest overall-acceptability value (3.95±0.95). The sikhe to which 20 and 40% Ulmus pumila L. extracts were added showed significantly high taste, flavor, sweetness, and overall-preference values (p<0.05).
산머루과즙으로 새로운 산형음료 개발을 위해 tea fungus로부터 분리한 G. hansenii TF-2 균을 이용하여 발효하였다. 과즙배지는 11~17%(v/v)의 산머루과즙에 초기 당도를 로 조정하였다. G. hansenii TF-2에 의한 발효는 과즙 배지에 활성화시킨 seed gel의 5%(w/v)를 첨가하여 에서 15일 동안 배양하였다. 발효동안 발효 액 표면에 막을 생성시키고 산(acids)을 생성하였다. 산머루과즙 발효액의 유기산은
본 연구는 여름철에 집중 생산되는 오디를 이용하여 오디와인을 개발하고자 하였다. 발효 종료시점 오디과즙의 pH는 3.2~3.6, 총산 함량은 0.40~0.53%, 당도는 발효 6일째 로 급격히 감소하였으며 이후에도 지속적으로 감소하여 발효 36일 이후에는 부근에서 더 이상의 당 소모는 없었다. 알콜 함량은 발효 6일째 급격히 증가하여 와 는 4.5%, 는 6.5%, 는 8.0%로 배양온도가 높을수록 증가하여 48일째 10.5~11.5%로 측정
본 연구는 생과 이외에는 상품성을 기대하기 어려운 수박을 이용하여 수박와인을 개발하고자 하였다. 발효 48일째 수박와인의 pH는 2.8~3.4, 총산 함량은 0.51~0.59%, 당도는 까지 감소하였으며, 알콜함량은 9.5~10.5%로 증가하였다. 알콜생성량이 가장 높은 조건은 와 이었으며, 두 온도간에는 유의적인 차이는 없었다. 수박와인은 citric acid, malic acid, oxalic acid가 검출되었으며, 주요 유기산은 citri
본 연구는 세이지의 다양한 생리적 기능성과 우리 전통된장을 접목하여 허브를 첨가한 된장을 개발하고자 된장의 염도와 세이지분말 첨가량을 달리한 후 반응표면분석법으로 최적조건을 얻고자 관능특성을 조사하였다. 그 결과, 색은 1.20~2.70, 냄새는 1.60~3.20, 맛은 1.40~3.50, 조직감은 1.60~3.50, 전반적인 기호도는 1.60~3.05의 값을 나타내어 실험구의 조건에 따라 차이를 보였다. 이차회귀식에 의하여 형성된 반응표면 분석
본 연구의 목적은 육포의 제조방법이 품질특성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기 위하여 기본 양념(간장, 물엿, 참기름, 정종, 마늘, 양파, 배즙)에 설탕(A), 감초(B), 3종류의 향신료(정향;C, 회향;D, 청양고추;E) 추출물과 여러 추출물을 혼합 첨가(F)한 6군으로 나누어 쇠고기를 절인후, 열풍건조와 송풍건조하는 육포의 제조과정에서 근육의 미세구조 변화를 주사전자현미경(SEM)과 투과전자현미경(TEM)으로 관찰하였다. 투과전자현미경(TEM)으로
어성초가 자연발효에 의존할 경우 잡균 및 산막효모의 오염 및 발효기간이 오래 걸린다는 단점이 있다. 본 연구는 전통적인 방법으로 발효된 어성초 엑기스에서 야생효모를 분리하고, 어성초 추출물에서의 발효 특성을 검토하였다. 그 결과, 당용액에서 알코올 함량은 배양시간이 길어질수록 증가하여 배양 90시간째에 HCE 12%, HCD 11.2%, HCA 10.5% 순으로 높았다. HCF, HCG, HCB, HCC는 알코올 함량이 사이였다. 당용액에서
중심합성계획법을 이용한 반응표면분석에 따라 다시마 추출액으로 tea fungus 발효 특성을 모니터링 하였으며, 그 발효액의 관능적 검사를 하였다. 그 결과, 다시마 추출액을 이용한 산형 발효 음료 제조시 산도는 , pH는 , 당도는 및 겔 두께는 mm 등으로 처리구에 따라 큰 변화가 있었으며, 산의 함량이 가장 높은 처리구는 알코올 함량 2.00%, 당 함량 10.17% 및 감귤과즙 함량 1.99%이었고, 그때 예측된 산도는 0.94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