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26

        21.
        1985.12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관상식물(觀賞植物)에 병해조사(病害調査) 일환(一環)으로 대구(大邱)와 근교(近郊)의 온실(溫室) 등(等)에 재식(栽植)되어 있는 19과(科) 34속(屬) 34종(種)의 식물(植物)에 대(對)하여 진균(眞菌)에 이병(罹病)된 식물(植物)을 조사(調査)한 결과(結果), Glomerella 속균(屬菌) 등(等) 16속(屬) 병원진균(病原眞菌)에 의(依)하여 32속(屬) 32종(種)의 식물(植物)에서 37종(種)의 병(病)이 발생(發生)하고 있었다. 이들 중 우리나라에서 이제까지 보고(報告)되지 않은 미기록병해(未記錄病害)는 Glomerella속균(屬菌), Colletotrichum속균(屬菌), Ceratocystis속균(屬菌), Pestalotia속균(屬菌), Gloeosporium속균(屬菌), Macrophoma속균(屬菌), Sphaceloma속균(屬菌), Botrytis속균(屬菌), Alternaria속균(屬菌), Phyllosticta속균(屬菌), 및 Phomopsis속균(屬菌) 등(等)에 의(依)하여 19속(屬) 19종(種)의 관상식물(觀賞植物)에 22종(種)의 병(病)이 발생(發生)하고 있음을 확인(確認)하였다.
        4,000원
        24.
        2007.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o investigate and compare the variety of different flowers used in a painting of flowers and birds of Japan and Korea, the relevant Japanese era to Joseon Dynasty where traditional folk art revitalized was studied. This study aims to deliver a through and prescriptive approach to the research in question through horticulturalistic and color-orientated approach as well as the standard format of research and development. Through this study Japanese paintings were shown to prefer peony at best and other flowers such as Japanese apricot, Chrysanthemum, Bamboo, Japanese red pine were also popular which is similar to those of the Joseon period. However in Joseon dynasty, peony seized 17% of all flowers used in Folk-Art paintings unlike 10% in Japanese paintings. Whatsmore 10 of 20 most favoured plants of Joseon dynasty were shown to be shrubs whilst it was 6 for Japan illustrating flowering plants were more popular. The study of range showed paintings of Joseon dynasty using 85 varieties whilst Japanese paintings using 82 varieties hence again showing similarity. Moreover Joseon paintings illustrated that they used mostly wild flowers whilst Japanese paintings depicted more imported flowers such, Pyracantha, Gladiolus, Carnation In terms of identification of flower in the paintings, Japanese practiced precise painting technique making it easy to identify unlike the Joseon paintings where more abstract techniques of folk-Art producing difficulties in classification.
        25.
        2005.03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한국의 화훼산업은 1980년도부터 화훼류의 국내소비가 급증하게 되었고 그 수요를 충족시키기 위하여 화훼산업이 급진적으로 발전하였던 것은 사실이다. 그러나 농산물의 세계화에 따른 국내 생산의 차별화가 요구되는 시기이다. 따라서 생산적인 측면보다는 소비촉진에 관련한 연구가 매우 긴요한 시기일 것이다. 본 연구는 한국의 화훼소비 중에 잠재적 수요라 할 수 있는 일반수요의 촉진을 위해 결혼한 성인을 대상으로 그들의 소비형태 와 이용 동기에 기초 자료를 제공코자 하였다.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여성이 남성에게 가장 주고 싶은 선물은 꽃(41%)으로 가장 높았고, 여성에 있어서 자녀로부터 받고 싶은 선물은 37%로 꽃 선물이 가장 높았다. 둘째, 성인이 선호하는 화훼류는 전체적으로 난류(33.6%)>분화(25.1%)>분재(16.4%) 순으로, 여성은 남성과 달리 분화(32.5%)에 대한 선호도가 높았다. 그리고 화훼용도에서는 자가 장식용(66.7%)으로 구매하는 특성을 보였으며, 여성에 있어서는 더욱 현저하였다. 셋째, 성인의 선호 화훼류 형태는 난분(41.0%)>꽃다발(32.6%)>꽃바구니(22.3%)>꽃꽂이(3.0%) 순이고, 꽃선물 1회 비용에 있어서는 전체적으로 2만원(40.4%)을 사용하고, 여성은 남성에 비해 다소 높았다. 넷째, 성인의 이용동기에 있어 식물도입의 이유는 정서적(49.4%)>미적(38.4%)>공학적(8.2%)>건축적(2.8%) 순으로, 남성은 정서적(52.7%)에 대한 식물 도입의 동기가 가장 높았다. 또한 식물 도입이 아동에 미치는 영향은 정서적>미적>화목적>위생적>육체적 순으로 그 효과에 관하여 인식하고, 가정원예의 즐거움은 전반적으로 미감적>화목적>오락적>경제적ž위생적 순으로 인식하고 있었다. 성인의 화훼류 이용 동기에 관하여 요인분석은 효능 기능적 동기, 자기 지향적 동기, 타인 지향적 동기 그리고 사회적 상호적 동기로 4개의 집단으로 구별됨을 알 수 있었다. 결론적으로 화훼시장 정보의 중요성을 인식하면서 보다 계층적이나 연령적으로 세분하여 더 많은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1 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