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27

        21.
        2020.09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is study is about the change of Inuit traditional culture. Inuit has their specific culture due to the Arctic’s harsh environment. But recently, because of the climate change and newcomers, traditional culture has changed. Hunting, the base of Inuit’s traditional culture decreased and was getting hard. And shelter and transportation for hunting has been modified. According to the change of hunting, food and adoption culture also changed. Inuit is in a situation to consume junk food and processed food instead of fresh food. Those food induce many problems to Inuit including health. And Inuit trade the food, not share. It means the community spirit weakened. Reduction of the importance of IQ (Inuit Qaujimajatuqangit) and the role of the senior also contributes to the weakening of community spirit. Inuit adopt non-Inuit child and adopt the child according to the law. It makes Inuit difficult to adopt child. As a result, climate change and newcomers makes today’s Inuit culture. Therefore, we have to know climate change and newcomers to understand the culture of the Arctic and residents.
        22.
        2020.02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is paper analyzes the important role of Tai Chi teaching in promoting Chinese traditional culture, and analyzes the current situation of martial arts teaching from the aspects of students' understanding of Tai Chi, investment time and factors affecting the promotion of Chinese traditional culture in teaching. Knowing that in the process of teaching, due to students' own cognition, school education, social funds, etc., there are certain problems in the promotion of Chinese traditional culture in Tai Chi teaching, and the implementation of rules and regulations, improvement of teaching methods, and improvement of teachers Reasons for rationalization and other aspects.
        23.
        2017.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통영의 나전칠기는 색과 광채가 뛰어난 최고의 나전과 지리산 등 인근 지역에서 채취한 질 좋은 옻칠로 만들어져 최고의 품질로 인정받는 한국의 대표 공예 예술품이다. 뿐만 아니라 300여 년간 이어온 통제영 12공방에서의 체계적인 상호분업 과 협업은 한국 옻칠예의 중심으로 인정받는 원동력이자 그 근간이 되고 근·현대 우리나라 옻칠예의 뿌리가 된다. 본 논문은 통제영 12공방의 설영과 폐영을 분석하고 이후 한국 근대 통영나전칠기의 교육과 주요 장인들을 연구하고 서술 하여 전승교육과 전승자 계승의 중요성을 연구하였다. 통제영 폐영 이후 개화와 식민지교육으로 나전칠기의 부정적인 면이 도출되었다. 그러나 교육기관 설립과 전승교육을 기반으로 통영 장인의 끊임없는 창작과 생산의 노력은 한국 전통나전칠기 의 전통성과 독창적인 예술품 제작으로 계승될 수 있었다. 따라서 침체된 통영나전칠기의 부흥을 위해 국가기관은 물론 지 방기초단체를 중심으로 체계적인 디자인교육과 전승교육이 절실하며, 정통성과 예술성을 지닌 나전칠기 예술가로 발전할 수 있도록 우리 고유의 전통성을 현대사회의 요구에 맞게 새롭게 창조하고 계승하는 지속적인 노력이 필요하다.
        24.
        2014.09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신체와 정서가 가장 많이 발달하는 시기인 아동을 대상으로 한국적 정서와 교육적 가치를 가장 많이 내포하고 있는 전래동화를 동기유발의 자료로 활용하여 문화와 예술, 교육이 통합된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연구자는 전래동화 중에서 ‘해와 달이 된 오누이’, ‘흥부와 놀부’를 선정한 통합프로그램을 대구시 수성구 소재의 ‘찾아가는 미술관’ 초등학교 저학년 교육프로그램 수업과 초등학교 5개교, 각 학교 저학년 20명씩을 대상으로 방과 후 수업에 적용하여 통합교육의 질적인 모색과 교육적 가치 및 문화와 예술의 관계, 그 관계에 따른 통합수업의 필요성에 대하여 연구하였다. 그 결과, 아동들은 미술 영역에서 오감을 체험할 수 있는 기회를 가졌고, 음악 영역에서는 우리 장단의 체험과 우리 민족의 정서, 그리고 정체성도 이해할 수 있었다. 교육적 가치로는 우리의 민족 정서인 충, 효와 권선징악, 형제의 우애 등 윤리적인 의식과 인간성 회복의 교훈도 얻을 수 있었으며, 문화와 예술적 체험에 접목된 영상은 아동들에게 자신감과 더 큰 즐거움을 안겨주었다. 따라서 통합적 프로그램의 개발은 학문과의 통합적 사고능력을 신장시키며, 아동들에게 표현 욕구를 더 많이 충족시킬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25.
        2014.07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유치원교사와 예비유아교사의 전통문화에 대한 인식의 차이를 분석하고, 전통문화에 대한 지식과 기술의 관계를 알아보는 데 목적이 있다. 연구대상은 전국 공・사립유치원에 재직하고 있는 유치원교사 385명과 충청남・북도에 소재한 4개 4년제 대학교 유아교육과 재학생 376명이었다. 연구도구는 최기영, 서윤희, 박혜진(2011)이 개발한 전통문화에 대한 인식 검사 도구를 일부 수정한 것이며, 연구문제에 따라 t-검증과 상관관계 분석을 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유치원교사와 예비유아교사의 전통문화에 대한 인식에 차이가 나타나 전체와 하위범주 모두에서 유치원교사의 인식이 예비유아교사의 인식보다 높았다. 인식의 차이가 큰 하위범주는 전통놀이문화와 전통생활문화의 순이었으며, 인식의 차이가 가장 작은 하위범주는 전통역사문화인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유치원교사와 예비유아교사 모두 전통문화에 대한 지식과 기술 간의 상관을 보였으며, 유치원교사가 보인 전통문화에 대한 지식과 기술 간 상관계수가 예비유아교사의 상관계수에 비하여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26.
        2013.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전통문화상품의 대중화와 글로벌화, 현대화를 위한 디자인경영이 필요하며 소비자 요구를 접목한 공예상품으로의 시장 경쟁력을 확보해야 한다. 전통문화상품은 제품디자인을 통한 감성마케팅 효과를 극대화하고 국내외 고객에 감동을 줄 수 있는 혁신적 디자인으로 개발되어야 한다. 한국 고유문화의 이해를 통한 디자인은 전통문화상품에 대한 인식 제고와 시장 쉐어 확장으로 표출될 것이다. 공예문화상품은 관광기념품, 생활용품, 장식품 등으로 지속적 수요창출이 가능하며, 새로운 소재 및 상품의 개발로 성장이 유망하다. 그러나 현재 전통적인 수공업 위주로 제작되고 있으며, 자체홍보물 제작이나 공동전시회 등을 통한 국지적 홍보가 대다수를 차지하고 있어 향후 생산과 유통의 전문화가 절실히 요구된다. 먼저 수요층이 정확히 파악된 시장성을 예측하여 소비자의 구매 욕구와 트렌드에 부합되는 전통문화상품을 디자인하고 개발함으로써 부가가치를 높이는 고품질 상품개발로 안정성과 확산을 높이는 제품디자인 개발이 되어야 할 것이다.
        27.
        2008.08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최근 생활여건이 개선되고 의학수준이 향상되면서 우리나라의 국민의 평균수명은 연장되고 노인인구가 급속히 증가하고 있다. 고령화 시대에 직면하면서 사회가 필연적으로 경험하게 되는 또 하나의 변화는 노인의 심리적. 사회적 변화라고 할 수 있다.[1] 노인의 심리적 변화는 노인의 생활과 관련이 있으며, 이는 노인의 성공적 노화와 활동적 노화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게 된다. 노인들의 건강을 위해서는 자신의 생활을 제어하는 건강조절능력과 자신의 자립적 사고의식이 쇠퇴되지 않도록 하기위한 적극적 사회활동 참여가 가능한 활동 레크레이션(Recreation)이 필요하다. 또한 우리문화유산을 통한 놀이문화사업은 보존 복원 대상으로만 여겼던 우리 고유문화를 현대적으로 재창조하려는 것이며, 우수한 콘텐츠를 보유하고도 시장의 열악한 여건으로 발전이 어려운 문제를 개선함은 물론, 대중문화에서 비롯된 한류를 한국문화 전반으로 확대, 발전시키기 위함이다. 본 연구는 이러한 필요성에서 출발하여 과거 우리나라의 문화유산 속에서 타문화와 차별화되는 고유한 특성을 지닌 멀티미디어적 요소들을 선별하여 이를 놀이 체험문화로 해석, 재구성하여 문화콘텐츠의 개발에 적극 활용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연구의 내용과 목적으로 삼는다.
        1 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