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전래동화를 활용한 문화예술교육 통합프로그램 모형개발 KCI 등재

A development of the model for the integrated culture and art education program using traditional fairy tale.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305952
서비스가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상품문화디자인학연구 (Journal of Cultural Product & Design)
한국상품문화디자인학회 (Korean Institute of Cultural Product Art & Design)
초록

본 연구는 신체와 정서가 가장 많이 발달하는 시기인 아동을 대상으로 한국적 정서와 교육적 가치를 가장 많이 내포하고 있는 전래동화를 동기유발의 자료로 활용하여 문화와 예술, 교육이 통합된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연구자는 전래동화 중에서 ‘해와 달이 된 오누이’, ‘흥부와 놀부’를 선정한 통합프로그램을 대구시 수성구 소재의 ‘찾아가는 미술관’ 초등학교 저학년 교육프로그램 수업과 초등학교 5개교, 각 학교 저학년 20명씩을 대상으로 방과 후 수업에 적용하여 통합교육의 질적인 모색과 교육적 가치 및 문화와 예술의 관계, 그 관계에 따른 통합수업의 필요성에 대하여 연구하였다. 그 결과, 아동들은 미술 영역에서 오감을 체험할 수 있는 기회를 가졌고, 음악 영역에서는 우리 장단의 체험과 우리 민족의 정서, 그리고 정체성도 이해할 수 있었다. 교육적 가치로는 우리의 민족 정서인 충, 효와 권선징악, 형제의 우애 등 윤리적인 의식과 인간성 회복의 교훈도 얻을 수 있었으며, 문화와 예술적 체험에 접목된 영상은 아동들에게 자신감과 더 큰 즐거움을 안겨주었다. 따라서 통합적 프로그램의 개발은 학문과의 통합적 사고능력을 신장시키며, 아동들에게 표현 욕구를 더 많이 충족시킬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In this paper, we develop an integrated program by harmonizing art and education with traditional fairy tales which are the most familiar to children and allow us to experience traditional culture and art. Researchers from fairy tales “The brother and sister who became the sun and the moon”, “Heungbu and Nolbu” of materials, Suseong-gu, Daegu City as selected by the integration program of the ‘Museum of art to visit class’, elementary education programs to 5 schools, lowergrade students at a rate of 20 per each school and primary school classes after school integration by applying the quality of education for The current problems and issues integrated educational value and according to the relationship between culture and art, the relationship class about the need for research. As a result, children had opportunity, and who can experience your five senses in the areas of art music in the area of the experience and the sentiments of our people, and identity of our people. I could understand. A roundworm, which include our national sentiments of educational value, filial piety and brotherly affection, a didactic and other ethical consciousness and greening of lessons can also obtain, and a cultural and artistic The experience in high-tech imaging that gave children confidence and a larger gold medal bring a pleasure. Therefore, the integrated development of program were integrated with the academic thinking skills to advance and the expression for children, not for more appeared with one that can meet.

목차
1. 서론
  1.1. 연구 목적 및 필요성
  1.2. 연구내용 및 방법

2. 이론적 고찰
  2.1. 전래동화의 교육적 가치
  2.2. 통합형 문화예술교육의 기능
  2.3. 통합교육의 필요성

3. 전래동화를 활용한 문화예술교육 통합프로그램 모형
  3.1. 전래동화 ‘해와 달이 된 오누이’를 활용한 문화예술교육 통합프로그램
  3.2. 전래동화 ‘흥부와 놀부’를 활용한 문화예술교육 통합프로그램

4. 결론

참고문헌
저자
  • 이수태(대구대학교 조형예술대학 시각디자인학과 교수) | Lee, Soo Tai
  • 남영수(대구예술대학교 영상애니메이션과 외래교수) | Nam, Yeong Su