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東國詩話彙成』은 18세기에 저술된 인물중심의 총집류로 시화사적 면에서 의미 있는 저작이다. 현재 22권 7책으로 정리되어 있지만 고려 뒷부분과 조선 앞부분에 권수의 숫자가 중복되기도 하고, 異本 중 비교 적 체재를 갖춘 『詩話彙成』과『詩話彙編』조차 결락본이거나 불분권 상태이다. 세 필사본의 간행 시기는 『동국시화휘성』이 洪重寅에 의해 먼저 편 찬되었고 그 얼마 뒤인 1734년에 洪重徵 혹은 다른 누군가에 의해 초기『시화휘성』으로 정리되었다고 보여진다.『시화휘편』은 1817년 沈魯 崇이 홍중인의 손자 집에 보관되어있던 『시화휘성』을 傳寫해두었다가 1821년 『대동패림』편찬 시 최종 수록하였다. 필사본의 한계로 인해 체재가 정밀하지 못하고 결락된 부분도 많으며, 편찬시기에 시간차가 있어서인지 선입된 조목에 있어서 서로 출입이 발견되었다. 이에 본고는 가장 처음 편찬되었고 비교적 체계가 갖추어진 『동국시화휘성』을 기준으로 3종의 편찬체재를 대조하고 그 결과를 표로 정리 한 후, 그 가시적인 차이점을 서술하였다. 그리고 『동국시화휘성』·『시화휘성』·『시화휘편』의 선입조목을 비교하여 그 현황을 살펴보았다. 『시화휘성』은 앞서 편찬된 『동국시화휘성』을 기준으로 인물 및 시 일화를 가감하였고, 다른 부분은 기존의 체재를 크게 건드리지 않았지만 조선조에서 왕들을 별도 조목으로 분류해둔 현상을 가장 큰 특징으로 제시하였다.『시화휘편』은 심노숭이 말한 필사경위나 편찬시기 및 조목의 1차적 인물선입 양상만을 염두에 두고 보았을 때는 『시화휘성』을 저본으로 편찬되었을 것이라 여겨졌다. 그러나 실제 3종에 공통으로 선입된 조목의 기사를 서로 비교해본 결과 후대에 필사된 『시화휘편』이 체재 면에 서는 오히려 『동국시화휘성』과 유사한 면모를 지녔음을 발견하였다. 이에 『시화휘편』은 선행 저작된 두 필사본을 함께 참고하였거나 적어도 심노숭이 저본으로 삼았던 시화휘성』은 현존본과는 다른 『동국시화휘성』의 모습을 많이 간직한 초기 형태의 『시화휘성』이었다는 결론에 도달했다. 본고는 3종을 종합하여 『동국시화휘성』의 완전한 면모를 재구성하고자 하였다. 그리고 이러한 일련의 시도는 『동국시화휘성』이 갖는 독자적 의미를 도출하기 위한 선행연구로서의 기초 작업임을 밝힌다.
본 연구는 느린 장단과 빠른 장단이 연이어 연주되는 ‘긴·자진 형식’의 민요들을 활용하여 연주 형태와 장단의 유형과 같은 음악적 요인들이 학생들의 빠르기 인지반응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는데 목적을 두었다. 템포 인지 실험을 위해 연구자는 긴·자진 형식의 대표적인 사례로 사용되는 민요, ‘쾌지나 칭칭나네’와 ‘강강술래’를 실험 악곡으로 선정하였으며, 느린 장단인 굿거리 장단과 중중 모리 장단 그리고 빠른 장단인 자진모리장단을 사용하였다. 170명의 초등학교 학생들은 악곡의 빠르기 변화(느림에서 빠름, 빠름에서 느림, 변화 없음), 장단의 유형(기본박 장단, 전체 장단), 연주형 태(노래, 악기반주, 노래와 악기반주)의 세 가지 요인들이 조합된 18개의 샘플을 청취한 후 빠르기 변화에 대한 설문에 응답하였다. 긴·자진 형식인 느린 장단에서 빠른 장단으로 진행하는 샘플들에 해당하는 학생들의 응답을 살펴보면, 전체 장단 보다 기본박 장단에서 정답률이 높았으며, 노래 또는 악기반주만 포함된 음원보다 노래와 악기반주가 모두 포함된 음원의 정답률이 낮았다. 이러한 결과는 리듬의 활동성이 증가할수록, 또 연주 형태가 복잡해질수록 학생들의 빠르기 변화 인지에 혼란이 가중됨을 보여준다. 본 연구의 결과는 교사들이 긴·자진 형식으로 연주되는 민요의 템포 변화에 대한 학생들의 인지 반응을 즉각적으로 살펴 이를 적극적으로 반영하는 유연한 교수학습 전략을 설계할 것을 촉구한다.
The purpose of the confiscational or penalty of criminal gains is to deprive the crime of its illegal profits and prevent it from being retained. On the other hand, under criminal law, joint crime, teacher crime, and accessories are intended to be punished for criminal acts and their degree of participation, so the two do not necessarily have to be consistent in logic.
In other words, if a person is merely an accessory and receives sufficient income from a crime through crime, he or she should pay an additional charge of criminal profits obtained in the form of wages, etc. but if a person is joint principal offender and receive not sufficient income from a crime through crime, he or she do not need to pay an additional charge of criminal profits obtained in the form of wages, etc.
In the result, who will pay the penalty from depends on the attainment of the purpose of the confiscational or penalty of criminal gains.
For steel structure, corrosion problem can be a major maintenance area. Even with the same steel structure, corrosion damage can be changed depending on the location and form of thes structural member. In this study, rherefore, In order to evaluate the relative corrosion enviornmnet depending on the installed condition of the structural steel member, the corrosion deterioration environment was monitored for the large-size steel frame structure.
Bovine mammalian gland has biopotential in therapeutic protein production and could be used as a model in further lactation researches. In this study, we have isolated bovine mammary gland-derived epithelial cells (BMECs) from Korean Holstein dairy cattle and themselves show differential dynamic ability in in-vitro culture. BMECs enables to form lobulo-alveolar structure, express milk production related gene. Functional studies indicated that BMECs secret exogeneous antibacterial fragment-Bovine Lactoferricin B (bLfcin-B), which is inserted in PiggyBac system, and this bioactive fragment inhibits the growths of Escherichia coli and Staphylococcus aureus. These data demonstrated that BMECs open new scope in either bioactive fragment, heading to prevent the spread of mastitis or post-mastitis damage in dairy graze and could be an ideal bioreactor for antibacterial proteins.
본 연구에서는 저온환경에서 콘크리트 동해를 방지하기 위해 생석회의 화학반응을 활용한 발열시트 및 단열재를 사용하여 제작한 거푸집 특성을 실험을 통해 평가하였다. -10°C 정온조건에서 거푸집 실험 결과, 발열시트가 부착된 거푸집의 경우 발열시트 내부 생석회의 발 열로 인해 타설 초기에 일반거푸집에 비해 10°C이상 높은 온도이력을 보여주었고 단열재를 부착한 거푸집의 경우 콘크리트 수화열을 보존하 여 지속적으로 높은 온도를 유지하는 특징을 나타냈다. 아이소핑크와 발열시트를 부착한 거푸집과 진공단열재를 붙인 거푸집이 압축강도나 적산온도에서 가장 높은 값을 가졌다. 압축강도 측정시 진공단열재 및 아이소핑크와 발열시트를 부착한 거푸집이 재령 3일에서 약 5 MPa로 가 장 높게 측정되었다. 몽골 현지 외기온도에서도 실험을 하였는데 앞선 결과와 마찬가지로 발열시트, 단열재를 함께 붙인 거푸집이 48시간 동안 25°C 이상으로 가장 높은 온도이력를 나타내었다. 따라서 거푸집에 발열시트 및 단열재 부착을 함으로써 발열 및 단열효과로 인해 저온환경에 서 콘크리트 강도발현에 도움을 주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KAERI에서는 파이로프로세싱에서 발생하는 금속폐기물의 부피 및 무게 감량을 위해 고방사성 장반감기 핵종을 포함하는 anode sludge내 NM의 고화매질로써 폐피복관과 첨가금속을 재활용하는 연구를 진행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Cr 함량을 조절한 Zr-17Cr-8NM, Zr-22Cr-8NM, Zr-27Cr-8NM 합금을 유도용융을 통해 제조하였고, 전기화학적 부식시험을 실시하여 부 식특성을 평가하였다. 모든 조성에서 기존 연구 중인 Zr계 합금고화체 조성보다 우수한 부식특성을 나타냈다. 또한 Zr-22Cr- 8NM 시편의 부식시험 후 침출용액 조성 분석 결과, 500 mV 전압 조건 이하에서는 NM 침출이 없었고 이를 통해 우수한 화 학적 안정성을 갖는 합금고화체 조성을 확보하였다.
발산형 바닥 경사 생성항(DFB, Divergence Form for Bed slope source term)을 엄밀하게 유도하였으며, DFB 중에서 격자의 변에서 평균 수 심을 이용하는 mDFB의 오차를 명백하게 입증하였다. 또한, DFB 기법은 바닥 경사 생성항에 대해 정확한 방법임을 밝혔다. 완전히 잠기기 않은 격 자에 대한 기존의 체적-수심 관계의 오류를 수정하였으며, C-특성의 충족을 위해 완전히 잠기지 않은 변에 대한 처리가 필요함을 검토하였다. 이 연 구를 통해 근사 Riemann 해법으로 천수방정식을 해석할 때 보다 정확한 수단을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