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1,029

        424.
        1997.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냉축열 잠열재로 Na2SO4.10H2O를 선정하여 냉축열을 위한 잠열축열 온도 수준을 NH4Cl과 KCI을 잠열온도 조절제로 활용하여 16℃에서 -0.3℃까지 조절하였으며, 상변화 사이클에 의한 열특성 변화 추이와 물성의 안정성을 실험 분석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1. 냉축열재로 선택한 Na2SO4.10H2O는 물성이 불안정한 상변화 잠열 재였으나, 조핵제로 BRX를, 증점제로 CBP를 첨가하여 물성을 안정시켰으며, NH4Cl과 KCl을 상변화 온도조절제로 선택하여 상변화 온도를 조절할 수 있다. 2. SSD+NH4Cl서 NH4Cl을 g~21wt%로 증가시킴에 따라 상변화 온도는 16~-0.3℃로 조절할 수 있었으며, 잠열축열량은 30kca1/kg에서 23.4kca1/kg으로 감소하였고, 상변화 온도조절제, KCl을 l7wt%에서 25wt%로 증가시킴에 따라 상변화 온도를 14℃에서 4℃까지 조절할 수 있었다.
        4,000원
        428.
        1997.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4,300원
        434.
        1996.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에서는, 농업생산시설내 환경조절을 위한 시뮬레이터의 기본 시스템을 구축하고, 실내환경을 조절하면서 실측치와 예측치를 비교함으로써 적용성을 검토하였다. 모델은 비정상상태의 에너지 및 물질수지에 근거하여 구축되었고, PCSMP를 사용하여 아날로그형 프로그램이 가능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구축된 환경조절용 시뮬레이터의 기본시스템은 기본모델, 광환경모델, 환경제어모델로 구성되어서 상호 독립적인 개발이 가능하였다. 기본모델은 본 시스템의 주요 부분으로써 열환경모델, 재배모델, 환기모델, 토양모델, 탄산가스모델을 구성되었고, 환경제어모델은 보온커텐, 냉난방기 및 지중열 교환을 고려하였다. 실제로 환경조절이 실시되고 있는 온실의 주간 및 야간의 실내온도의 실측치와 모델에 의한 예측치를 비교한 결과, 비교적 잘 일치되어서 그 적용성이 확인되었다.
        4,000원
        435.
        1996.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4,000원
        436.
        1995.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3,000원
        437.
        1995.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작물, 가축, 농산물을 학문의 대상으로 하는 농학은 기상, 토양 등과 같은 자연 현상으로부터 필요한 데이터를 획득하여 이용한다. 그러나, 이들 데이터는 많은 환경 요인의 영향을 받아 그 거동이 매우 복잡한 비선형적 현상을 나타내는 것이 대부분이다. 따라서, 실험을 통해 획득된 데이터의 처리 및 모형화 등을 위해 기존의 수학적, 통계적 방법을 이용하는 경우에 많은 어려움을 겪게 된다. 이에 최근에는 신경회로망 및 퍼지 이론 등과 같은 인공 지능 기법을 이용하여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본 강좌에서는 복잡한 비선형 특성 특히 임의적 거동을 보이는 자연 현상을 기술하기 위해 최근에 대두되고 있는 혼돈 이론에 대한 소개를 하고자 한다.(중략)
        4,000원
        438.
        1995.12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1700~1870년간(年間)의 조선(朝鮮)의 봉건사회(封建社會)는 그 내부적(內部的)인 모순(矛盾)에 따른 농민봉기(農民峰起) 발발(勃發) 등(等)의 심각(深刻)한 사회경제적(社會經濟的) 갈등(葛藤)을 겪고 있었다. 다른 측면(側面)에서 볼 때, 이 시기(時期)에는 농업(農業) 및 사회발전(社會發展)에 새로운 변화(變化)의 계기가 주어지고 있었다. 그렇지만 그러한 변화(變化)가 반드시 근대자본주의(近代資本主義) 사회(社會)를 지향(指向)하는 것으로 단정(斷定)할 수는 없다. 그럼에도 불구(不拘)하고 당시(當時) 조선(朝鮮)의 사회(社會)와 농업(農業)은 매우 열악(劣惡)한 여건(與件)에도 불구(不拘)하고 발전(發展)하고 있었으며, 특히 이는 토지생산성(土地生産性)과 인구(人口)가 지속적(持續的)으로 발전(發展)하고 있었음에서 단적(端的)으로 드러나고 있다. 이와 같은 역사적(歷史的) 배경(背景)을 검토(檢討)해 볼 때, 제(第) 2차대전(次大戰) 이후(以後) 한국(韓國)의 급속(急速)한 공업화(工業化)는 이러한 조선사회(朝鮮社會)의 발전(發展)이 가져다 준 역사적(歷史的) 경험(經險)과 결코 무관(無關)할 수가 없다. 농민(農民)들의 정직(正直)한 도덕성(道德性)과 유교사상(儒敎思想)에 바탕을 둔 교육투자(敎育投資)는 확실(確實)히 인간자원(人間資源)의 축적(蓄積)에 크게 기여(寄與)했으며, 이는 결국(結局) 한국(韓國) 근대화(近代化)에 가장 중요(重要)한 영향(影響)을 미쳤기 때문이다.
        4,000원
        440.
        1995.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was canied out to ddermine optimum areas for various sizes of land coverage of the farm machinery utilization in 1993-1994. A kind of machinery size and work systems were classed as the power tiller of 10HP+man power, the tractor of 35~46HP (tr
        4,000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