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89

        41.
        2005.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5,700원
        42.
        2004.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최초의 한국 동굴산 생물인 등줄굴노래기(Antrokorean gracilipes Verhoeff 1938)가 보고된 이후부터 약 70여년동안 출판된 동굴 생물상에 관한 112편의 국내외 논문과 16편의 보고서 그리고 10편의 단행본을 재정리하였다. 지금까지 한국산 동굴생물은 총 4문 10강 31목 94과 257종이 보고되었으며 36개소의 동굴과 4개의 우물에서 87종이 한국동굴(지하)산 모식종으로 기록되어 있다. 한국산 동굴생물은 절지동물류가 241종(
        4,900원
        46.
        2000.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에서는 서기 2년부터 1977년까지 남.북한 역사지진(A.D 2-1904)과 초기 계기 지진(1905-1977) 목록을 이용하여 남한 지진 규모로 재조정된 지진목록을 작성하였다 역사 지진은 과거의 협소한 인구분포로 인해 지진 기록의 누락이 많앗다 지진 위험도를 작성하기 위해 지진 발생분포와 지체구조의 특성을 고려하여 4개의 지진구(seismic province)를 설정하였다. 각 지진구에서 최대 잠재 지진결정은 Gumbel의 최대치 이론을 이용하였다 제 1수정 점근 함수 분포에서 유한 상한 값(finte upper boundary) 의 존재는 각 지진구에서 발생할 최대 잠재 지진의 진원(source)이 유한하다는 사실과 잘 일치한다. 따라서 이를 근거로 각 지진구에서 10년 , 20년, 30년, 50년 이내에 2% 5% 10% 초과 확률을 갖는 최대 규모지진을 추정하였다 또한 각 지진구에서 유한 지진원은 과거에 발생했던 큰 규모의 특정 지진과 지진 지체구조 정보에 근거하여 결정하였다. 연구결과 조선시대(1392-1904) 의 지진위험도에서는 경주 울산지역과 서울과 평양지역을 따라 높은지반 가속도 값을 보이며 경주지역에서 0.24g의 최대 지반 가속도 값으로 나타났다 계기 지진목록(1905-1998)을 이용한 한반도의 지진 위험도에서는 경주, 울산, 대구 지역에서 0.10-0.12g 의 최대 지반가속도 값을 보였다. 그리고 계기 지진 목록(1905-1998) 만을 이용하여 작성한 서울.경기 지역의 지진 위험도에서는 김포, 잠실 , 성남 지역의 한강을 따라 분포하는 충적층과 강남지역의 지반 운동이 한강 이북의 대보 화강암 지역에 비해 비교적 높은 0.09-0.10g의 지반 가속도를 보이는 것이 특징이다.해석결과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았다.한 소비자 의견은 미국과 한국노인 모두 유니버셜 디자인된 새 설비의 장점을 인정하였다. 욕조와 세면조가 매력적이라 평하였고 샤워조작기가 색상구분으로 도운물과 찬물인지가 편하며, 접이식 의자가 유용하며, 문 달린 욕조의 안전 손잡이와 욕조가장자리를 잡고 안전하게 출입한다고 했다. 그러나 욕조길이와 높이에서 두 나라간에 차가 있어 앞으로 치수에 대한 것이 연구과제로 지적되었다. 3) 욕실 설비 개발 시 유니버셜 디자인 용품에 요구되는 목표는 안전하게 쓸 수 있고, 가령에 따른 신체장애요소가 커버되어 스스로 사용가능하고, 사용상 번거로움이 없어 정신적 스트레스를 주지않는 것이어야 하겠다. 4) 선택된 유니버셜 디자인 욕실설비는 표준치수의 현 욕조위치에 장착이 가능하여 앞으로 현 주택에의 교체가 가능하였다. 5) 선택된 유니버셜 디자인 욕실설비는 인체치수와 문화가 다른 두 나라 노인 모두 긍정적으로 평가하여 앞으로의 국제적 보급이 기대되었다.ction factor has been suggested with decreasing power law as a function of rainfall rate. This proposed model uses the entire rainfall rate distribution as input to the model, while the ITU-R and DAH model approaches only use a single 0.01% annual rainfall rate and assume that the attenuation at other probability levels can be determined from that single point distribu
        5,800원
        47.
        1999.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한국산 창선충목의 미기록 7조: Dorylaimus helveticus, Opisthodorylaimus cavalcantii, Thonus circulifer, Paralongidorus strelitziae, Oxydirus oxycephaloides, Dorylaimoides(D.) leptus, D.(D.)micoletzki을 재기재 하였으며, 한국에서 지금까지 발표 된 종을 계통적으로 분류하였다.
        6,000원
        49.
        1998.10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한국산 꽃등에과에 관한 문헌들을 정리한 결과 총 3아과 16족 62속에 속하는 151종의 목록을 작성하였다. 한국산 꽃등에과에 관한 기록들은 주로 곤충상조사의 일환으로 발표된 수많은 보고서 등에 산재되어 있었으므로 한국산 종들이 언제 어디에서 채집되어 어떤 문헌에 기록되었는지 찾아보기 쉽도록 정리하였다. 그러나 이 목록에 수록된 종들의 정확한 동정여부는 현 단계에서는 확인하지 않았으므로 앞으로는 실제 표본에 입각한 장기적이고도 체계적인 연구를 위한 기반을 제공하고자 한다.
        13,800원
        51.
        1996.12 KCI 등재 SCOPUS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6,300원
        52.
        1996.10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점봉산 천연보호지역에서 식생이 다른 4지역을 대상으로 한 날개응애류 생물상 조사에서 총 52과 81속 143종이 조사되었다. 고도 900m의 잣나무 조림지에서는 33과 48속 102종, 고도 1,100m의 혼효림지역에서는 38과 57속 97종, 고도 1,000m의 천연 활엽수림지역에서는 하부 식생이 일년생 초본류인 복사면에서는 36과 49속 72종, 하부식생이 조릿대인 남자면에서는 44과 63종 102종이 조사되었다.
        5,400원
        53.
        1993.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55.
        1989.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56.
        1980.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전보에서 외국산에 의해 기록된 한반도산 날개응애류 26종과 필자가 채집한 미기록종 29종 도합 65종의 목록을 발표한 바 있다. 그 후의 채집품을 조사결과 다수의 미기록종이 발견되었기에 전보를 증보하여 발표한다. 이로서 한반도산 날개응애류는 29상과, 59과, 99속, 158종이 되었다. 이밖에 미정리분중에도 약 50중의 미기록종이 포함되어 있으므로 한국산 날개응애류는 200여종이 되는 셈이지만 한국에 실재하고 있는 종수는 그 배가 될 것으로 추측된다. 또한 분포를 논할 단계는 아니지만 일본과의 공통종은 69종, 구주와의 공통종은 51종, 3자공통종은 55종이 되어 한반도 고유종은 34종이 된다. 그러나 우리나라와 인접해 있는 중국대륙의 날개응애상이 밝혀지면 고유종은 줄어들고 중국과의 공통종이 많아질 것이다.
        4,000원
        57.
        1980.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지 제18권제2호(1979)에 제1보로 발표된 Evergestiinae와 Pyraustinae(새들명나방아과 및 들명나방아과) 목록에 이어 포충나방아과와 물명나방아과의 목록을 제2보로 발표한다. 포충나방아과는 일명 벼명나방 무리로 불리워지기도 하나 그들의 기주식물이 모두 벼(水稻)와 연관되는 것으로 오인될 우려가 크므로 필자는 전자를 따라 포충나방아과로 명명하였으며 종들의 이름도 이에 준하여 일부 개칭(改稱)하였다. 한국동물명집(2) 곤충편에는 나방아과에 19종이 수록되어 있으나 최근 필자등에 의하여 발표된 종들을 종합하여 본 목록에는 30종이 포함되었으며 물명나방아과에는 13종이 수록되었다.
        4,000원
        58.
        1980.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한국 동굴거미 연구의 기저로서 지금까지의 연구경과의 개요와 조사동굴 및 확인된 동굴거미의 목록을 수록하였다. 1) 한국산 동굴거미에 대한 연구는 1961년 11월에 시작되어 약 20년이 경과한 바, 기간 39편의 논문이 10명의 저자에 의해 발표되었고, 15과 27속 29종이 보고되었으며, 16종의 신종이 기재되었으나 본격적인 조사연구는 이제부터라고 하겠다. 2) 조사된 동굴은 석탄암동굴이 121개, 용암동굴이 33개이며 이들에 대한 정확한 명칭과 소재지를 밝혀두었다. 3) 현재까지의 한국산 동굴거미로 확인된 23과 80속 85종과 독립종이 확실시되어 그 속명만을 수록한 13미확정종의 목록을 밝혔다. 아직 연구 정리되지 못한 Leptonetidae, Nesticidae, Cybaeinae, Erigonidae 중에는 분류학적이나 생태학적면에서 중요한 것들이 많이 남아 있다. 4) 해외 동굴거미와 공통되는 것은 일본산과의 25종 서구산과의 2종이 있으며 이들의 대부분은 외래성의 것이고, 진동굴성의 것은 전혀 없었다.
        4,300원
        59.
        1979.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 ]한국산 명나방과(Pyralidae)에 관하여는 이미 필자(1976)에 의하여 언급된바와 같이 1889년 영국인 곤충학자 J.H. Leech가 처음으로 9종의 신종을 발표한데 이어 현재까지 300여종이 기록되어 왔다. 그러나 이들의 기록이 여러종류의 발표문에 산재해 있는 상태로 체계적인 정리가 이루어진바 없으며 학명뿐아니라 우리말 이름조차 갖가지로 쓰여지고 있어 곤충명 사용에 혼란이 야기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필자는 현재까지 발표되었던 종들을 조사하여 최근의 분류체계에 따라 학명 및 그들의 동의어(Synonym)를 정리함과 아울러 우리말 이름도 먼저 명명된 이름이나 또는 현재 많이 사용되고 있는 이름을 택하여 통일화하고 ( )안에 그 이명을 표시하였다. Evergestiinae(새들명나방아과, 신칭)은 현재까지는 주로 Pyraustinae(들명나방아과)에 포함되는 족(Tribe)으로 취급되어 왔으나 최근의 분류체계에 따라 독립된 아과로 취급하였다. 이들에 대해서는 Leech에 이어 일본인 Shibuya(1927년에 의하여 13종, 박세욱등 (1958, 1969)에 의하여 27종이 새로 기록되는등 1968년에 출판된 한국 동물명집 곤충편에는 94종이 수록되었다. 최근 필자(1976)에 의하여 우리나라 미기록종으로 발표된 24종과 기타 국내외의 문헌을 통한 기록의 근거를 기초로 작성된 이 목록에는 Evergestiinae에 1속 3종, Pyraustinae에 53속 123종이 포함되었으며 학명이 불분명하거나 채집의 근거가 불확실한 4종은 후미에 별도로 기재하였다. 분포란의 괄호안에 명시된 채집지는 필자에 의하여 채집 확인된 종들로서 그들의 표본은 농업기술연구소 곤충연구담당관실 표본실에 소장되어 있다. 다른 아과에 관하여는 정리가 완료되는대로 추후 발표할 예정이다.nemella hengsungica, Aphelenchoides besseyi 등으로 2아목 7과 11종이었다.는 내연가공한 옷생산에 사용되지 않는 것이 타당하겠다. 주아의 즙액에 의해서도 C. amaranticolor에 기계적 전염이 되었다. 7. C. amaranticolor 상에 계통분리된 마늘 모자이크 바이러스의 내열성은 , 희석한계는 , 그리고 보존한계는 2 일이었다. 8. 마늘 모자이크 바이러스의 순화는 2회의 분획원심과 Sephadex gel filtration에 의해서 가능했다. 9. 전자현미경하에서 관찰한 마늘 모자이크 바이러스는 길이 1200-1225mu 폭 10-12mu의 사상이었다. 10. 혈청학적 미량침강 반응법에 의해 마늘잎에서뿐만 아니라 인편과 주아에서도 마늘 모자이크 바이러스의 검정이 가능했다. 11. 우리나라 5개 지방에서 수집한 마늘 종구 150개와 주아 30개에 대해 혈청학적방법으로 마늘 모자이크 바이러스의 감염률을 조사한 결과 의 감염률을 보였다. 12. 마늘 모자이크 바이러스와 크기가 근사한 Potato Virus X. Potato virus Y, Potato virus S, Potato virus M 등과의 혈청학적 유연관계를 조사한 바, 마늘 모자이크 바이러스는 이들과 구별되는 다른 바이러스라고 생각된다. 13. 마늘의 모자이크 감염주에서 단일계통으로 분리하여 본 실험에 사용한 바이러스는 마늘의 바이러스 무감염주를 얻을 수가 없기 때문에 직접 마늘잎에 접종해서 모자이크톤의 병원이라는 것을 확인할 수 없었지만, 검정식물상의 반응, 혈청학적반응, 전자현미경적 관찰등의 간접적인 조사 결과로 미루어 미인록의 마늘모자이크 바이러스라고 생각된다
        4,300원
        60.
        1979.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4,000원
        1 2 3 4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