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43

        41.
        2001.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혀의 분얼최성기의 관수스트레스 시 탁도(청수, 반탁수, 탁수) 및 관수시간에 따라 반응하는 단백질, 지방산 조성 및 지질과산화(malodialdehyde)를 정량하여 관수에 따른 생육장해 및 그 작용기작을 구명하여, 관수에 따른 생화학적 대사의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실시되었다. 관수스트레스에 의해 가용성단백질은 약 20%가 감소하였다. 특히 탁도가 높고 관수시간이 경과할수록 급격히 감소하였으며, 관수 36시간부터 감소량이 크게 나타났다. 단백질 전기영 동패턴은 관수스트레스에 따라 생성이나 소멸한 펩타이드는 없었으나 약 53Kd부위의 폴리펩타이드는 관수초기부터 함량이 증가하였고, 약 28Kd는 48시간, 54시간에서만 함량이 증가하였다. 관수스트레스에 의한 지질의 과산화정도는 약 150%가 증가하였고, 탁도처리에서 청수와 반탁수간의 차이는 작은 경향이었지만, 관수 60시간에서 약 160-180%가 증가하였다. 그러나 탁수에서는 관수초기부터 malondialdehyde함량이 높았고, 36시간이후부터는 약 190-200%로 급격히 증가하였다. Catalase는 탁도가 높고 처리시간이 경과할수록 활성은 급격히 증가하였다. 관수 48시간을 기준으로 catalase 활성변화가 크게 나타났다. 지방산조성의 변화는 포화지방산의 조성비율은 증가하고 불포화지방산은 감소하였다. 특히 불포화지방산 중 monounsaturated은 증가하였고 polyunsaturated의 상대적인 조성비율은 감소하였다. Double bond index는 탁도가 높을수록 관수기간이 경과할수록 감소폭은 커서 불포화정도가 떨어짐을 나타냈다.
        42.
        2000.06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e effects of Citrus flavonoids, hesperetin, hesderidin, naringenin, and naringin, on nonenzymatic lipid peroxidation were studied in three different in vitro experimental models. Hesperetin showed the most antioxidant effect in this experimental condition by measuring the malondialdehyde production using the thiobarbiturate and thiocyanate methods, the lipid peroxidation of microsomal membranes, and DPPH () method. The antioxidative activity of the flavonoid aglycone forms, hesperetin, Citrus aglycone flavonoid, suggest the most antioxidant effect in this experimental condition, and this effect indicate more potent in the aglycones than their corresponding glycosides.
        43.
        1998.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e feeding effects of Herba hottuynia extracts on the lipids profiles and the content of TAB-reactive substances were evaluated in rats fed a high cholesterol diet. Hot water or ethanol extracts of the dried leave were evaporated and lyophilized . The experimental animals wer edevided to four groups and fed the following diets for 4 weeks : BAsal (cholesterol-free diet), CHOL(cholesterol-enriched diet),CW (cholesterol plus water extract) and CE(cholesterol plus ethanol extract). Dietary cholesterol increased significantly the activities of serum GOT and GPT, but the extracts feeding (0.5% of diet) did not influence the activities induced by dietary cholesterol. Although dietary cholesterol increased significantly the concentrationof serum andliver cholesterol, it tended to decrease the concentation of serum triglycerides. CHolesterol feeding had a lowering effect on the lipid peroxidation value of serum, but not inliver.Furthermore, the extracts feeding, especially water extract, decreased markedly the liver peroxidation value. The results suggest that Houttyunia cordata extracts have an in vivo antioxidant effect, judged from the TBA value in the liver rats fed a high cholesterol diet.
        1 2 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