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55

        43.
        2012.03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Hatching occurred in the time dependent manners and strictly controlled. Although, the hatching processes are under the control of muti-embryotrophic factors and the expressed G proteins of cell generate integrated activation, the knowledge which GPCRs are expressed during hatching stage embryos are very limited. In the present study, which G proteins are involved was examined during blastocyst development to the hatching stage. The early-, expanded-, and lobe-stage blastocysts were treated with various activators and H series inhibitors, and examined developmental patterns. Pertusis toxin (PTX) improved the hatching rate of the early-stage blastocyst and lobe-formed embryos. Cholera toxin (CTX) suppressed the hatching of the early-stage blastocyst and expanded embryos. The effects of toxins on hatching and embryo development were changed by the H7 and H8. These results mean that PTX mediated GPCRs activation is signaling generator in the nick or pore formation in the ZP. In addition, PTX mediated GPCR activation induces the locomotion of trophectoderm for the escaping. CTX mediate GPCRs activation is the cause of suppression of hatching processes. Based on these data, it is suggested that various GPCRs are expressed in the periimplantation stage embryos and the integration of the multiple signals decoding of various signals in a spatial and temporal manner regulate the hatching process.
        44.
        2010.09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Autophagy is an evolutionarily conserved lysosomal pathway for degrading cytoplasmic proteins, macromolecules, and organelles, in addition to recycling protein and ATP synthesis. Although programmed cell death (PCD) is very important during embryogenesis, the mechanism underlying the dynamic development during this process remains largely unknown. In order to obtain insights into autophagy and it's relation with apoptosis in early embryo development, we first evaluated LC3 gene expression levels in mouse embryos developing in vitro. qRT-PCR revealed high expression levels from 1- to 4 cell stage embryo, and then expression decreased during morula and blastocyst formation. Indirect immunocytochemistry showed protein synthesis of LC3 in these stage embryos. Introducing of autophagy inhibitor, 3-MA (2mM) significantly decreased both developmental rate (54.85±11.0%) and total cell number (n=71±8), but increased apoptosis rate (5.68± 1.9%) at the blastocyst. Real time RT-PCR confirmed reduced expression of selected autophagy related genes, including ULK1, Atg4A, B, C, D, Atg5, Atg8, Gabarap, Atg9A, B and Atg16L. Treatment of autophagy inducer, rapamycin (50 ng/㎖) increased both mRNA expression and protein synthesis of LC3 and apoptosis rate (16.11±3.42%), but decreased developmental rates (50.16±9.78) and total cell numbers (n=60±7) as compared to control developmental rate (70.74±12.9%), Total cell number (89.8±9) and apoptotic cell death (1.11±0.7%). These results suggest that autophagy is related with apoptosis in mouse embryo, which possibly give a role for early development.
        45.
        2009.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p63은 다양한 상피 조직의 줄기세포와 전구세포에 존재한다는 사실이 잘 알려져 있으나, 치아 형성, 특히 사기질과 뿌리 형성시기에서의 p63 위치느 ㄴ아직 연구해야 할 과제로 남아 있다. 본 연구에서는 p63이 치아 발생 동안 치아상피에 편재하여 나타나는 것을 면역조직화학 기법을 이용하여 확인하였다. p63은 피부, 모낭, 구강점막 그리고 턱밑샘 도관을 포함하는 상피의 바닥층과 바닥위층에 위치하였다. 그러나 치아 부위에서는 치아관의 모든 세포, 사기질기
        46.
        2006.09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세포의 대사과정에서 생성되는 활성산소종(reactive oxygen species : ROS)은 세포의 성숙과 발생 과정을 저해하며, 인간의 생식 수관에서 불임의 원인이 된다. 많은 세포생물학적 연구를 통해 ROS에 대한 세포 내의 보호 기작이 밝혀지고 있다. Activating transcription factor 4(ATF4)는 세포 내에서 산화적 스트레스를 비롯한 여러 스트레스 요인으로부터 세포를 보호하는 기작에 관여하는 중요한 인자로서, 스트레스
        47.
        2003.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세포내 칼슘은 다양한 세포에서 중요한 생리적 반응을 일으키며, ruthenium red와 ryanodine은 중요한 칼슘 조절자로 작용한다. Ruthenium red는 세포내 칼슘 저장고에서의 calcium induced calcium release(CICR)를 저해한다. Ryanodine은 ryanodine 통로를 통한 칼슘 방출을 촉진한다. 본 실험은 두 조절자가 생쥐 난자와 초기배아의 세포내 칼슘이온 농도에 영향을 미치는지 여부와 그 유효농도를 알
        48.
        2003.09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elomere란 진핵세포에 존재하는 DNA-protein 복합체로서 염색체의 말단부에 tandem repeated DNA 서열 (TTAGGG)과 특정 단백질로 구성되어 있으며 세포 분열이 진행함에 따라 이의 길이가 짧아지게 되고 일정 길이 이하가 되면 세포의 사망이 유발된다. 반면 telomerase는 ribonucleoprotein으로서 telomeric DNA의 합성에 관여하는 것으로 염색체의 말단에 telomeric DNA의 소실을 보충하는 역할
        49.
        2002.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배아줄기세포(embryonic stem cell, ESC)는 미분화상태로 지속적인 계대가 가능하며, 정상 핵형과 전 분화능(pluripotency)을 가져 생체내-외에서 분화 유도시 삼배엽성의 모든 세포로 분화 가능하다. ESC를 feeder 세포 없이 부유배양하면 배아체(embryoid body, EB)를 형성하고, 초기 배아 발생과 유사한 분화 양상을 갖는다. ESC의 분화 유도가 초기배아 발생처럼 생식호르몬(GTH: FSH, LH; steroids
        52.
        2000.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컴퓨터 세포동결기를 이용하여 생쥐 배아를 동결할 때 액체질소 (L)의 분사속도가 해빙 후 배아의 미세구조, 기능 및 발달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배아는 동결을 하지 않은 대조군 (control) 및 동결군에서 L의 분사속도에 따라 고속분사군 (120 infusion/min group 1), 저속분사군 (50 infusion/min; group 2)으로 나누었다. ICR 계열의 생쥐의 2 세포기 배아를 사용하였으며, 동결 및 해빙은
        53.
        1999.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생쥐 초기 배아의 형태형성에 영향을 주는 세포질내 인자의 기원과 작용기작을 연구하기 위해 단백질 합성과 단백질 활성화 효소 (protein kinase)의 억제제를 처리한 배아의 세포질로 재조합된 배아에서 발생과 RNA합성, 단백질 인산화를 조사하였다. 단백질 합성 억제제인 cycloheximide (CHX)가 함유된 배양액에서 24시간 배양한 1-세포 배아의 제핵된 세포질을 두 개의 전핵을 모두 가진 절반의 1-세포 배아와 재조합한 P+P-CHX군의
        54.
        1998.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이온 비의존적으로 작동하는 포도당 수송체 (glucose transporter 1, Glut1)는 생쥐 배아의 세포막을 경계로 포도당을 수송하는 주요통로이다. 성장인자 가운데 insulin-like growth factor-I (IGF-I)은 생쥐배아에서 포도당의 유입을 증가시키는 것으로 알려져있으나 이러한 효과가 IGF-I 의한 Glut1의 전사조절 효과에 기인한 것인지는 알려져 있지 않다. 본 연구는 포도당과 IGF-I 생쥐의 착상전 배아 발생과 G
        55.
        1998.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Phospholipase C (PLC)는 다양한 세포주에서 세포내 신호전달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고 알려져 있으나, 생쥐 난자성숙 과정과 착성전 배아발생 과정에서 PLC의 역할과 발현은 아직 연구된 바 없다. 본 연구에서는 난자성숙과 착상전 배아발생 과정에서 생쥐의 PLC β1과 γ1의 유전자 발현을 조사하기 위하여 한 개의 난자 혹은 배아에서 추출된 total RNA를 사용하여 경쟁적 RT-PCR 방법으로 mRNA를 정량하였다. PL
        1 2 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