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48

        41.
        2016.08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is research, sponsored by the Korean Ministry of Environment in 2014, was the first epidemiological study in Korea that investigated the health impact assessment of radon exposure. Its purpose was to construct a model that calculated the annual mean cumulative radon exposure concentrations, so that reliable conclusions could be drawn from environment-control group research. Radon causes chronic lung cancer. Therefore, the long-term measurement of radon exposure concentration, over one year, is needed in order to develop a health impact assessment for radon. Hence, based on the seasonal correction model suggested by Pinel et al.(1995), a predictive model of annual mean radon concentration was developed using the year-long seasonal measurement data from the National Institute of Environmental Research, the Korea Institute of Nuclear Safety, the Hanyang University Outdoor Radon Concentration Observatory, and the results from a 3-month (one season) survey, which is the official test method for radon measurement designated by the Korean Ministry of Environment. In addition, a model for evaluating the effective annual dose for radon was developed, using dosimetric methods. The model took into account the predictive model for annual mean radon concentrations and the activity characteristics of the residents
        42.
        2015.10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G광역시 N유치원을 대상으로 창문을 닫고 열은 상태에서 라돈 가스를 측정하였다. 측정 결과 라돈가스를 측정한 N유치원의 실내 평균 라돈농도는 창문을 닫았을 때 2.9pCi, 창문을 열었을 때 0.8pCi로 미국 일반인 공기 중 라돈가스 최대허용농도 기준치인 4pCi 이하의 값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N유치원에서 라돈 가스에 대한 피폭은 문제가 되지 않으나 라돈 가스가 폐에 축척이 되면 폐암과 같은 피해를 입을 수 있다. 따라서 방어적 측면에서 유치원 내의 창문을 자주 열어 환기를 하는 것이 매우 중요함을 알 수 있었다.
        43.
        2015.09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Radon exhalation rates have been determined for samples of concrete, gypsum board, marble, and tile among building materials that are used in domestic construction environment. Radon emanation was measured using the closed chamber method based on CR-39 nuclear track detectors. The radon concentrations in apartments of 100 households in Seoul, Busan and Gyeonggi Provinces were measured to verify the prediction model of indoor radon concentration. The results obtained by the four samples showed the largest radon exhalation rate of 0.34314 Bq/m2·h for sample concrete. The radon concentration contribution to indoor radon in the house due to exhalation from the concrete was 31.006 ± 7.529 Bq/m3. The difference between the prediction concentration and actual measured concentration was believed to be due to the uncertainty resulting from the model implementation.
        44.
        2014.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자연방사선 물질인 라돈(222Rn)은 암석이나 토양 또는 건축자재 중에 들어있는 우라늄(238U)이 몇 단계의 방사성 붕괴 과정을 거친 후 생성되는 무색무취의 불활성기체로 지하 근무지나 밀폐된 공간과 같은 곳에서 잘 축적된다. 호흡기를 통하여 허파로 유입되고 라돈의 딸핵종이 허파나 기관지에 침적되어 폐암을 일으키는 원인이 된다. 본 연구에서는 초등학교 교실내의 공기 중 라돈가스농도을 비교하였으며 계측된 값을 이용하여 연간내부피폭량을 계산하였다. 초등학교 교실에서 측정된 라돈가스 피폭은 최소 5개교에서 층별 평균치가 창문을 닫을 때의 경우 1층 0.56mSv, 2층 0.48mSv, 3층 0.384mSv의 평균치가 나왔으며, 창문을 열었을 때의 경우 1층과 2층은 0.31mSv 수치로 같고 3층은 0.296mSv로평균치가 나왔다. 라돈에 대한 인체 피폭은 1층에서 피폭이 많고 3층에서는 피폭이 적었다. 창문을 닫았을 때의 경우 최대 0.56mSv 최소 0.384mSv로 자연방사선에 의한 연간피폭량에 2.4mSv 16%에서 23.3%를 차지하고 있다. 창문을 열었을 때의 경우 최대 0.31mSv 최소 0.296mSv로 연간피폭량 2.4mSv의 12.3%에서 12.91%를 차지한다. 결과로 보아 라돈가스 계측을 실시한 5개 초등학교의 경우 국내의 라돈기준치 이하로 나왔으며 내부피폭 역시 정상범위 내에 속한다. 사람에게 있어서 방사선피폭이 적으면 적을수록 인체에 대한 영향이 줄어들기 때문에 초등학교 교실내에서 창문을 자주 환기한다면 즉, 공기 중 라돈농도를 최대한 줄인다면 라돈가스에 대한 피폭량을 줄일 수 있을 것이며 면역력이 약한 초등학생에게 도움이 될 것이다. 실험에 있어서 향후 더 많은 초등학교 기관에 대해 라돈가스 조사가 이루어지고 그에 따른 조치를 행한다면 보다 더 안전한 초등학교 건물시설 확립에 도움이 될 것이라 생각된다.
        45.
        2013.0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우라늄(238U)의 붕괴과정에서 생성되는 방사성기체인 라돈(222Rn)은 발생원 중 토양에서 85 % 이상으로 토양의 공극률이 클수록 토양 밖으로 방출할 수 있는 가능성이 많은 동위원소이다. 라돈으로부터 인체를 보호하기 위해서 적절한 대책을 세우는데 무엇보다도 정확한 측정기술의 개발이 선행되어야 한다. 이에 본 연구는 고순도게르마늄(HPGe)검출기를 이용한 감마선 분광분석법으로 라돈을 측정할 경우에는 불안정한 자연방사능의 백그라운드 문제를 줄일 수있고, 라듐과 라돈의 딸 핵종들을 방사평형에 이르게 한 후 라돈 농도를 측정하였으며, 토양시료에서의 감마선 방출핵종 및 에너지 스펙트럼을 분석하였다.
        46.
        2011.10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라돈(222Rn)은 지각의 암석이나 토양 또는 건축자재 중에 들어 있는 우라늄(238U)과 토륨(232Th)이 몇 단계의 방사성붕괴 과정을 거친 후 생성되는 무색무취의 불활성기체로 광산이나 지하같이 밀폐된 공간에 잘 축적된다. 호흡기를 통하여 폐로 유 입되고 라돈의 딸핵종이 폐나 기관지에 침적되어 폐암을 일으키는 원인이 된다. 사람의 생명을 다루는 의료기관에서의 라돈피 폭은 평상시 방사선피폭량이 많은 방사선관계종사자와 면역력이 약한 환자에게 큰 위험이 될 수 있다는 판단에 이 실험을 실 시하였다. 실험에 쓰인 계측기는 실시간 라돈측정기인 Professional Continuous Radon monitor이며 계측장소는 두 개의 병원 지하1 층에서 지상2층까지 층별로 오전 10시부터 오후 3시까지 측정 하였다. Professional Continuous Radon monitor계측결과는 최 소 14.8 Bq/㎥에서 최대 70.3 Bq/㎥로 국내기준치인 148 Bq/㎥이하로 나타났으며 유효선량은 최소 0.296 mSv에서 최대 1.406 mSv로 일년간 자연방사선으로부터 피폭되는 방사선량인 2.4 mSv의 10~58.3% 수준으로 나타났다.
        47.
        2006.04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Rn concentration and annual radiation exposure level in the basement and first floor. The Rn Cup monitors were placed in different environments such as shopping stage, office building, Apartment, Hospital , house in Seoul from March 1996 to April 1997 and CR-39 films were collected every two months. The mean radon concentration in the basement of house(88.6 Bq/㎥) showed the highest level among the areas, while radon concentration on the first floor of house(50.5 Bq/㎥) showed the higher than other areas. The annual radiation exposure dose that person on the floor / in the basement of differential place in the seoul can be exposed during living was estimated from 24.11 to 87.64 mRem/yr. This radiation dose is significantly lower than 130mRem maximum radiation dosage from the radon nuclide prescribed by the ICRP, with respect to the overall average exposure of the working adult. this study indicated that possible radon sources on the first floor / in the basement areas are radon intrusion from soil gas, construction materials, or ground water leaking. Further study is needed to quantitatively assess major contributions of radon-222 and health effect to radon exposure.
        48.
        2003.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predict occurrence of earthquakes in Korea by measuring the concentration of radon radioactivity in the air and in the underground water. Two monitoring systems of radon concentration detection in the air were installed in Seoul, East Coast area, whereas of radon concentration in the underground water in Kyungju area during December, 1999 to June, 2001. The distribution of radon concentration in the air in Seoul is as follows : winter(10.10±2.81Bq/m3), autumn(8.41±1.35Bq/m3), summer(5.83±0.05Bq/m3) and spring(5.34±0.44Bq/m3), whereas the distribution of radon in the air in the East Coast area showed some difference as follows : autumn(14.08±5.75Bq/m3), summer(12.04±0.53Bq/m3), winter(12.02±1.40Bq/m3) and spring(8.93±0.91Bq/m3). In the meanwhile, the distribution of radon in the water is as follows : spring(123.59±16.36count/10min),winter(93.95±79.69counter/10min),autumn(68.96±37.53counter/10min) and spring(34.45±9.69counter/10min). The daily range of the density of radon concentration in Seoul and East Coast area was between 5.51Bq/m3-9.44Bq/m3, 7.15Bq/m3-15.27Bq/m3, respectively. Correlation of the distributions of radon concentrations in the air and in underground water with earthquake showed considerable variations of radon concentration before the occurrence of the earthquake. The results suggested that radon radioactivity seemed to be helpful for the prediction of the occurrence of earthquake.
        1 2 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