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68

        48.
        2006.10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Quantitative trait loci (QTLs) related to cold tolerance traits in rice were identified using 93 SSR markers and 175 recombinant inbred lines (RILs) derived from the intersubspecific cross between the indica cultivar, "Milyang23" and the japonica cultivar
        49.
        2006.08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Unkwang is a newjaponica rice cultivar developed from the cross between Sobibyeo (Iksan435), high yield and coldtolerance cultivar and Cheolweon 54, early maturity cultivar at Honam Agricultural Reaserch Institute (HARI), NICS, RDA, m2004. This cultivar h
        50.
        2006.04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Each parent, P1 and P2, ten F1 hybrids among 5 parents, eight F2, B1 (F1 × P1), and B2 (F1 × P2were evaluated for spikelet fertility related to cold tolerance in cold-water irrigated plot. Heterosis for spikelet fertility varied from8.6% to 60.5% with a m
        51.
        2005.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저온에 민감한 밀양 23호를 모본으로 내냉성이 강한 Stejaree45호를 부본으로 교잡하여 육성한 175 RILs를 이용하여 내냉성 관련 형질들의 변이분포, 유전 통계량 및 상관 관계를 분석하였다. 조사된 형질 중 수당영화수, 적고, 출수지연일수, 간장단축율 및 영화수감소율은 정규분포에 가까운 연속변이 분포곡선을 보였으며, 모든 형질에서 양친의 범위를 벗어나는 초월분리현상을 보였다. 임실감소율과 수량감소율은 모본인 밀양 23호 쪽으로 일정하게 치우친 경향으로 저온에 민감한 쪽으로, 출수지연일수와 간장단축율은 부본인 Stejaree45 쪽으로 치우친 경향으로 내냉성이 증가되는 쪽으로 작용가가 큰 유전자가 관여하는 것으로 추정되었다. 내냉성 관련 형질들의 상관관계 중 수량감소율과 상관이 인정되었던 형질은 출수지연일수, 간장단축율, 이삭추출도 및 임실감소율이었고, 조사된 형질중 유전력이 60~% 이상으로 나타난 형질은 분얼기 적고, 임실감소율, 이삭추출도 였으며, 유전력이 40~% 이하로 낮았던 형질은 간장단축율, 영화수감소율 및 수량감소율이었다. 175 RILs 중에서 내냉성 관련 형질의 내냉성 정도가 부본인 Stejaree45수준이거나 그 이상의 내냉성 형질을 가진 것은 86계통으로, 1개의 내냉성 형질은 56계통 32.0~% 였고, 2개의 내냉성 형질은 25계통 14.3~% , 3개의 내냉성 형질은 4계통 2.3~% , 4개의 내냉성 형질은 1계통 밖에 없었으며, 그 이상의 내냉성 관련 형질을 가진 계통은 없었다.
        53.
        2004.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e genetic basis underlying heterosis for agronomic traits of rice under cold water irrigated field condition was investigated in the 143 RILs and 286 BC1F1 lines from the cross between a cold-susceptible variety, Milyang23 and a co
        54.
        2004.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Forty-four F1 hybrids derived from crosses among eleven temperate japonica rice cultivars were grown and evaluated for traits related to cold tolerance including days to heading and spikelet fertility in the cold-water irrigated plot (17℃) and
        55.
        2004.0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Cold acclimation of plants is a highly active process resulting from the expression of a number of physiological and metabolic adaptations to low temperature. Major metabolic changes in carbohydrates, protein, nucleic acids, amino acids, and growth regula
        56.
        2004.0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dentify the genomic regions associated with cold tolerance in rice. An RIL population consisting of 120 lines was developed from a cross between the japonica cultivar, Hwayeongbyeo and the wild rice, Oryza rufipoon Griff. Acc.
        59.
        2003.04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Molecular markers were used to map and characterize quantitative trait loci (QTLs) for traits related to cold tolerance in an intrasubspecif ic backcross population of r ice. The parents of the cross were a cold susceptible Tongil-type cultivar 'Milyang23
        1 2 3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