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4,953

        81.
        2023.10 KCI 등재 SCOPUS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췌장암은 항암화학요법의 발전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예후가 좋지 않으며, 5년 생존율은 13.9%에 불과하다. 저자들은 61세 여성 환자에서 고식적 항암화학요법 후 췌장암에 대한 완전관해가 이루어진 증례를 보고하는 바이다. 환자는 1개월 동안의 소화불량과 2 kg의 체중 감소 증상을 호소하여 내원하였고, 컴퓨터 단층촬영 검사에서 췌장 머리 부위에 18 mm 크기의 종괴가 확인되었다. 혈액검사 결과에서 간 기능 검사는 정상이었으나, CA 19-9 및 CEA 수치가 각각 3,965 U/mL와 38.2 ng/mL로 상승되어 있었다. 조직 획득을 위해 내시경초음파 유도 세침흡인조직검사를 시행하였고, 병리학적 검사 결과 췌장선암으로 확인되었다. 양전자 방출 단층촬영 및 췌장 자기공명영상을 포함한 추가적인 평가를 통해 간의 6번째 분절과 복막하부 림프절에 전이성 종괴가 확인되었다. 최종적으로, 환자는 4기 췌장암으로 진단되었다. 환자에게 보존적 화학요법으로 폴피리녹스 투여하였고, 치료 1년 후 잔여 종양은 사라졌다. 이후 수술 치료를 시행하였고, 현재 보조 항암화학요법을 시행중이다. 전이성 췌장암에서 항암화학요법으로 완전관해를 이룬 사례는 매우 드문 증례이기에 문헌고찰과 함께 보고하는 바이다.
        4,000원
        82.
        2023.10 KCI 등재 SCOPUS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호산구성 장염에 의한 급성 췌장염은 매우 드문 질환으로 증상 및 검사실 소견이 특별하지 않아 진단이 어렵다. 급성 췌장염의 원인이 명확하지 않은 경우, 가능한 원인으로 매우 드물지만 호산구성 위장염이 있을 수 있으며, 본 저자들은 호산구성 위십이지장염에 의해 발생한 재발성 급성 췌장염을 진단하고 류코트리엔 수용체 길항제로 치료하였던 증례를 문헌고찰과 함께 보고한다.
        4,000원
        83.
        2023.10 KCI 등재 SCOPUS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파골세포양 거대세포형 미분화 암종은 췌장암의 1%만을 차지하는 흔치 않은 암종으로 알려져 있다. 저자들은 39세 남자에게서 진단된, 수술 및 항암치료를 시행한 1예를 소개하고자 한다.
        4,000원
        84.
        2023.10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Oral squamous cell carcinoma (OSCC) is the most common type of oral cancer, and it has been steadily increasing in worldwide. Pituitary tumor transforming gene 1 (PTTG1) has been known as oncogene in a verity of cancers. Nevertheless, the expression and role of PTTG1 in OSCC progression remains largely unexplored. In this study, clinical datasets were analyzed to assess the genetic impact of PTTG1 on OSCC progression and to identify its functional roles in OSCC cell lines. We analyzed the expression of PTTG1 in head and neck squamous cell carcinoma (HNSC) and OSCC using databases form the Cancer Genome Atlas (TCGA) and the Gene Expression Omnibus (GEO).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PTTG1 on proliferation and migration abilities in OSCC cell lines, following the knockdown of PTTG1 in HSC-2 and SCC-9 cell lines, we analyzed the proliferation and metastatic abilities of OSCC cells using EdU and Boyden chamber assays. Our database analysis revealed that PTTG1 was significantly overexpressed in tumor tissues compared to normal tissues. Moreover, its expression correlated with clinical parameters of OSCC. In vitro experiments demonstrated that depletion of PTTG1 suppressed the ability of cell proliferation and migration in both HSC-2 and SCC-9 cell lines. In conclusion, our study suggests that PTTG1 may act as an oncogene in OSCC. These findings provide new insights into the mechanisms and clinical implications of PTTG1 expression in OSCC patients.
        4,200원
        89.
        2023.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곤충병원성 선충인 Heterorhabditis. megidis(큰형광병원선충)는 참나무 군락지(광주광역시 소재) 사양토에 서 분리 동정되었고, 곤충병원성을 가지는 공생세균은 Photorhabdus temperata로 분리 동정되어 각각 GJ1-2로 명명하였다. H. megidis GJ1-2는 고추(녹광), 애호박(농우), 오이(백다다기), 참외(금싸라기), 토마토(베타티니) 유묘기 경엽처리와 배추(씨알천하일품), 상추(진청맛), 완두(청진주), 수박(삼복꿀), 무(서호) 유묘기 관주처리 에서 21일차까지 기준량과 배량에 대하여 약해(약해 판정기준결과: 0)가 나타나지 않았다, H. megidis GJ1-2는 배추 파밤나방에 대한 방제 효과는 이천시(경기도 소재)와 수원시(경기도 소재)의 시설재배 포장에서 각각 경엽 처리 3일차 71.8%. 73.9%, 7일차 86.2%, 84.6%로 나타났으며, 옥수수 열대거세미나방에 대한 방제 효과는 제주시 (제주특별자치도 소재)의 노지(미사질 양토)에서 경엽처리 7일차 82.6%로 나타났다. 그리고 H. megidis GJ1-2는 랫드를 이용한 급성경구와 급성경피 독성시험 반수치사농도(LD50) 값은 2,000 mg/kg B.W 초과로 IV급(저독성) 으로 구분되었고, 토끼를 이용한 피부와 안점막에 자극성이 없는 것으로 구분되었다. 그리고 담수어류(송사리) 에 대한 급성독성시험 반수치사농도(LD50) 값은 영향을 미치지 않는 기초시험농도 100 mg/L를 초과하였다.
        90.
        2023.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Structural cuticular proteins (CPs) and the liner polysaccharide, chitin, are the primary components of insect cuticle or exoskeleton. A large number of insect CP family proteins are divided into several distinct subfamilies defined by the presence of specific amino acid sequence motifs. One of these subfamilies is composed of Cuticular Protein Analogous to Peritrophins (CPAPs), containing one (CPAP1s) or three (CPAP3s) type-2 chitin-binding domains. In this study, we report a novel function of TcCPAP1-C from Tribolium castaneum in movement of legs. RNAi for TcCPAP1-C at larval stage has no effect on insect molting, growth and development. However, the resulting adults exhibit impaired leg movement, in which internal tendon cuticles are ruptured near the femur-tibia joint. The exoskeletal cuticle, hemiadherens junctions, microtubule array, myotendinous junctions and muscle fibers exhibit normal morphology before the tendon breakage. These results indicate functional specialization of TcCPAP1-C in structural integrity of the internal tendon cuticle, and loss of function of TcCPAP1-C caused breakage of the tendon cuticle, resulting in defective limb movement and locomotion.
        91.
        2023.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Spodoptera litura Fabricius, 1775 (Lepidoptera: Noctuidae) is a serious crop pest with a long-distance migratory flight. To date, the DNA barcode region has been widely used in genetic diversity analysis studies of Spodoptera litura. However, the DNA barcode region showed maximum variation rate of S. litura, which from 18 regions in South Korea, was 0.608% (nine haplotypes) in previous study. In this study, four mitochondrial genes (ND4, ND4L, ND1, 16s rRNA) have higher intra-specific variation rates than the DNA barcode region. Among the four genes, The variation rate of the 16s rRNA region was confirmed to be a minimum of 0.203% (2bp) and a maximum of 1.824% (18bp). Finally, the 16s rRNA region with the highest PCR amplification efficiency and highest variation rate was selected as a high-efficiency molecular marker.
        92.
        2023.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The striped fruit fly (SFF), Zeugodacus scutellata, is an agricultural pest species with a strong and rapid reproductive ability that can cause significant harm. To control the population of these kind of pests, the sterile insect technique (SIT) is being used as one of the effective methods. SIT involves the introduction of sexually transmitted factors that reduce the reproductive capacity of males. This study shows that knocking down the testis-specific serine/threonine protein kinase 1 (Zs-Tssk1) gene alters male fertility and male-initiated types of communication. Since Zs-Tssk1 influences the physiology of the testes, spermatogenesis is also affected, which in turn alters the lifespan of Zs-Tssk1 knock down group in comparison with the control. Based on these results, Zs-Tssk1 may be crucial in reproductive function, and its down-regulation may be helpful in controlling SFF through SIT.
        1 2 3 4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