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130

        85.
        1999.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댐저수지의 년간 식물플랑크톤 발생 현황과 특성을 규명하고자 대청호를 대상으로 ’97년 10월부터 ’98년 10 월까지 1년간 1주 간격으로 조사를 수행하였다. 총인 농도의 년중 평균치는 0.025 mg/L로써, algal bloom을 야기시킬 수 있는 기준인 0.01 mg/L를 상회하였다. 6월말 까지는 5,000 cells/mL 이하의 현존량을 보이다 수온이 25°C를 넘는 고수온기인 7월 초순부터 9월 중순까지 약 70일간 남조류 수화가 유발되는 것으로 조사되었으며, 8월 중순 집중강우 시기를 제외하고는 하절기 동안 거의 모든 정점에서 10,000 cells/mL 이상의 현존량을 나타내었다. 대청호에서 하절기 수화의 원인종은 Microcystis屬 (M. ichthyoblabe, M. aeruginosa)과 Anabaena屬(A. spiroides var. crassa, A. planctonica), 그리고 Oscillatoria limosa 등으로 확인되었다. 수온이 20°C 이하인 ’97년 10월 하순부터 ’98년 4월 중순까지는 Aulacoseira속 등의 규조종이 우점하였으며, 수온이 20°C를 넘기 시작하는 6월 초순 이후에는 Anabaena planctonica 등의 남조류가, 그리고 4월 하순부터 6월 초순까지는 규조종과 갈색편모조강, 남조류 등이 혼재하여 우점종으로 조사되었다. 8월 중 300 mm 이상의 집중 강우기에는 수층 불안정 과 flushing 효과에 의해 식물플랑크톤 현존량이 크게 감소하였다. 댐저수지에서 남조류 수화 발생시, flushing 이 효과적인 남조류 저감 방안으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4,000원
        86.
        1999.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양산천 하류부에 위치하고 있는 보에서 1993년 2월부터 1996년 12까지 월 2회 간격으로 하천의 이화학적 특성 및 식물플랑크톤의 군집에 관해 조사하였다. 양산천은 전형적인 4차의 산지/농경지 하천이며 유량은 보에 의해 조절되어지고 있으며, 본 하천의 보가 있는 구간은 부영양화상태였다 (chl. a, 37.0±72.6 μg/l). 이화학적 요인의 계절적인 변화는 강우나 인위적인 교란에 의해 크게 변화하는 것으로 나타났다(수온, 4~31.7°C; 탁 도, 4.4~28.1 NTU; 용존산소, 4~14.9 mg/l; 전기전도도, 82~1820 μS/cm; 알칼리도, 11~222 mg/l; pH, 6.3~9.0; 총인, 54~1155 μg/l; 총질소, 2.0~18.3 mg/l). 또한 식물 플랑크톤 군집은 일정한 주기성을 나타내었는데 동계에는 유글레나류와 황색편모조류, 그리고 우상형 규조류 군집의 우점양상이 뚜렷하였으며, 하계에는 녹조류와 규조류의 비율이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이 결과를 통하여 본 조사지점에서는 봄과 가을에 높은 생체량을 보이며, 겨울에는 정체된 수계에서 우점하는 Euglena가 나타나는 것으로 보아 정체(lentic)수역의 성향이 강하였으며, 하계에는 장마에 의한 유량의 증가로 유수 (lotic)역의 성향이 강한 것으로 나타났다. 우리 나라 중소하천에서의 보의 생태적 역할은 앞으 로 규명되어야 할 중요한 연구분야의 하나이다. 특히 보의 물리적 특성과 저서 및 유영 생물의 이동, 갈수기 수 중생물의 피난처로서의 역할, 부분적인 퇴적으로 인한 하천 내 물질순환의 변화 등 보가 하천생태계의 구조와 기능에 미치는 영향은 시급히 연구되어야 한다.
        4,000원
        87.
        1999.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섬진강 수계의 옥정호 하류 수역부터 임실군 남부의 적성면에 이르는 섬진강 중류 수역을 대상으로 이화학적 환경요인, 식물플랑크톤의 종조성과 현존량 및 부착 조류에 대한 조사를 1998년 8월부터 1999년 4월까지 5개 정점에서 실시하였다. 이화학적 환경요인 중 pH는 중성에서부터 약알카리성을 나타내었고, 출현한 식물플랑크톤은 137 종류이었으며 모든 정점에서 돌말류는 고르게 출현하였다. 조사 정점 중 하류수역인 정점 1 및 정점 2에서는 남조류 및 녹조류의 출현빈도가 높아 정점간의 차이를 나타내었다. 출현한 돌말류는 대부분이 막대 모양의 깃돌말류였다. 계절별로는 동계에 적게 출현하였고 춘계 및 하계에 많이 출현하였으며 정점별로는 하류 정점으로 갈수록 출현종류 수가 증가하였다. 식물플랑크톤 현존량은 1998년 8월에 정점 3의 15,100 cells/l이 최저였으며 1999년 4월 정점 4의 1,771,700 cells/l이 최대였다. 정점별 현존량 변이는 정점 1 및 정점 2 에서와 정점 3, 정점 4 및 정점 5에서는 다른 양상을 나타내었다. Cymbella minuta가 모든 정점에서 최고의 점유율을 나타내었으며 이외에 Cymbella affinis, C. silesiaca, C. turgidula, Fragilaria fragilarioides, Navicula cryptocephala, Nitzschia frustulum, N. sp. 1 등이 주요 우점종으로 출현하 였다. 부착조류는 106 종류가 출현하였으며, 돌말류의 출현 빈도가 매우 높았으며 출현종류는 식물플랑크톤 군집과는 약간의 차이를 나타내었다. 출현종류 수는 비교적 사계절 고르게 출현하여 식물플랑크톤의 출현상황과는 차이를 나타내었다. 출현한 식물플랑크톤 및 부착조류 중 각각의 돌말류를 대상으로 Van Dam et al. (1994)의 Ecological indicator values를 적용시켜본 결과, 본 조사 수역의 수질 오염정도는 β-중부수성을 나타내었으며, 영양상태는 중-부영양과 부영양 사이 단계 및 부영양에 근접한 상태를 나타내었다. 부유돌말류 및 부착돌말류의 출현에 따른 Ecological indicator values에는 큰 차이가 없었다.
        4,300원
        88.
        1999.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득량만 식물플랑크톤 군집의 시.공간적 분포특성을 파악하기 위해 1992년 6월부터 1993년 4월까지 만내 38개의 관측점을 대상으로 월별 조사를 실시하였다. 결과, 득량만에서 출현이 확인된 식물플랑크톤 종은 식물성 편모조류 33종을 포함 50속 75종이 동정되었다. 계절별로는 여름과 가을에 비교적 다양한 종이 출현을 보이고 있는 반면, 봄과 겨울에 단순한 종 출현 특성을 나타내었다. 우점종은 연간 규조류에 의해 지배되고 있으며, 여름에 P. alata
        4,300원
        89.
        1999.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조사는 임하댐을 대상으로 상.중.하로 구별하여 호수내에 16개 정점, 유입하천에 3개의 정점등 모두 19개의 정점을 선정하여 1996년 8월 5일과 9월 10일에 식물플랑크톤의 군집구성, 현존량, 우점종 그리고 각 지수를 조사하였다. 본 조사에서 동정된 식물플랑크톤은 6강 13목 6아목 25과 66속 143종 27변종 1품종으로 모두 171종류였다. 현존량 변화에서 표층은 47.350×103 ~184.65×103 ind
        5,700원
        90.
        1999.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고리원전 주변 해역에서 1995년 11월부터 1996년 12월까지 총 13회의 현장조사를 수행하였다. 그 결과 식물플랑크톤은 총 162개 분류군(미동정종 포함)이 출현하였으며 그중 규조류가 총 120종이 출현하여 가장 많은 종수를 보였고 규질편모류 3종, 와편모조류 34종, 유글레나조류 2종, 녹조류 1종, 기타편모류 2종 등이 출현하였다. 규조류 종인 Skeletonema costatum은 연중 우점종으로 기록되었다. 식물플랑크톤 현존량의 월 평균값
        4,000원
        92.
        1998.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4,000원
        94.
        1997.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5,200원
        1 2 3 4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