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89

        81.
        2004.12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육포에 대한 염성분의 침투정도를 알고자 침지온도, 침지액의 농도 그리고 시간에 대한 염침투량을 조사하였다. 시간의 변화에 따른 소금의 확산량은 침지 2시간 내에 평형농도의 이상으로 급격히 증가하다가 그이후에 증가 폭이 둔화 되는 것으로 나타났고, 침지액의 염농도와 침지 시간은 증가할수록 확산량도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조미 침지 육포의 건조 시간에 따른 수분감소 정도는 열풍건조가 가장 크고 냉풍건조 그리고 천일건조의 순으로 나타났으며, 수분
        82.
        2004.03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η분자량에 따라 다양한 생리활성을 나타내는 아가리쿠스버섯에서 분리한 조단백다당류를 고부가가치 기능성 소재로 개발하기 위하여 막분리 및 분무건조 공정에 따른 특성을 조사하였다. 아가리쿠스버섯 조단백다당류를 분자량 크기에 따라 여과하는 동안 공정온도에 따른 투과플럭스의 변화는 10 kDa와 130 kDa 모두에서 유사하였는데, 막분리 온도 및 압력이 증가함에 따라 비례적으로 증가하였으며, 4에서의 투과플럭스가 가장 높았다. 시간에 따른 투과플럭스의
        83.
        2003.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중소하천의 건천화 원인분석 기술개발을 위해 500여개 하천에 대하여 19개 조사항목으로 현장조사를 통해 취득된 조사자료를 기반으로 건천화 하천특성을 분석하였고, 현지조사 대상 하천 중에서 가용할 수 있는 수문자료의 확보여부, 하천의 연장 및 유역면적, 지역별 특성에 대한 선정기준을 수립하여 최종적으로 8개의 대상하천을 선정하였다. 선정된 8개하천에 대하여 현장의 상세조사를 수행하였고, 하천 시설물 및 수문자료가 비교적 잘 구축된 5개 하천을 중심으로 G
        84.
        2003.12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아가리쿠스 버섯에 있어 각 온도별 건조 품질을 살펴보았다. 우선 갓과 대의 건조시간은 5에서 모두 29시간이었으며 10의 경우 갓과 대 모두 10시간 소요되었으며 실온에서 음건할 때에는 갓과 대가 모두 3일 정도 소요되었다. 수분감소율은 온도가 높을수록 켰으며, 부위별로는 5에서 초기감소율이 갓보다 대가 크게 나타났으며 최종수분함량은 갓이 대보다 적었다. 반면에 10와 실온에서 갓의 수분감소율이 켰으며, 최종수분함량은 갓이 적었다. 수분활성도는
        85.
        1999.09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키위를 이용하여 새로운 가공식품을 개발하고자 삼투건조로 전처리하여 열풍, 진공, 동결건조한 후 삼투처리 유무에 따라 각각의 품질특성을 비교 평가하였다. 수분함량은 무처리 및 삼투처리한 키위를 열풍 진공, 동결건조 하였을 때 무처리가 삼투처리한 경우 보다 낮았다. 건조방법에 따른 vitamin C의 함량은 무처리보다 삼투처리가 낮았으며 건조시간에 따른 vitamin C의 함량변화는 동결, 진공건조시 완만한 감소를 보이는 반면 열풍건조한
        86.
        1998.12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개체당 중량과 과육부의 중량은 천일건조한 것이 2.80.03g/ea로 다른 건조방법에 비해 낮았다. 수분함량도 역시 천일건조한 것이 열풍건조를 비롯한 다른 방법에 비해 낮았다. 수분재흡수율은 열풍건조한 것이 다른 건조방법에 비해 높았으며 천일건조한 것이 가장 낮았다. 건조대추의 경도는 천일건조한 것이 8.6106dyne/으로 다른 건조방법에 비해 월등히 높았다. 부패율은 천일건조대추는 15.3%로 다른 건조방법에 비해 매우 높았고, 갈변도는 천일
        87.
        1997.12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e effect of drying temperature (30, 40, 50, 60) on chemical components of Shiitake mushroom(Lentinus edodss) was investigate. When compared proximate composition on pileus and stipe of raw and dried materials, all of them were found to be higher in the stipe part than in the pileus part. The major components of organic acid were oxalic, citric, malic, malonic and pyroglutaric acid. The contents of free and total amino acids in pileus and stipe were 3458.4, 7640.2mg% for pilueus; 2298.0, 6171.5mg% for stipe on dry basis, respectively. On the other hand,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changes of crude ash and organic acids content of Shiitake mushroom among drying temperatures. But the amount of crude fats was increased and that of reducing sugars was decreased with increase of drying temperature. The contents of crude proteins of pileus part of dried materials were increased with increased drying temperature, but those of stile part were gradually decreased. The contents of free amino acids decreased with increase in drying temperature, but those of total amino acids were gradually increased.
        88.
        1997.12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Drying of Shiitake mushroom was investigated to see the effect of temperature, relative humidity of drying air and diameter of the pileus on its rates. The drying rate was increased with the increase of the air temperature and the decrease of the relative humidity. The external color was dark brown at higher drying temperature and higher relative humidity. Exponential and Thompson nodel were found to describe well the raying process of the Shiitake mushroom.
        89.
        1995.06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We examined the drying characteristics and the drying rate model equation of garlic(allium sativum L.) using computer aided convective drying. The drying chanacteristic curve of garlic divided into constant rate drying period and 2 stage of falling rate drying period. The drying rate was fairly affected by hot air temperatures during the total drying period, but air flow rates has nearly no effect on the drying rate except initial drying period. Of the several model equation, r2 values of page model equation was the highest, and the estimated drying profiles were comparatively coincided with the observed drying profiles. Page model equation was suitable to predict the drying rate and moisture content during drying of sliced garlic.
        1 2 3 4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