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101

        88.
        2005.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dung beetle species living in grazing pasture in Korea and their life cycle such as characteristics of habitation and hibernation were investigated for five year. Eleven species belonging to five genera of dung beetles were found in the grazing pastur
        4,000원
        91.
        1997.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소바구미과(Anthribidae)는 현재까지 15속 18종이 우리 나라에 기록되어 있다. 조사 결과 Enedreytes gotoi Shibata, Sympaector rugirostris (Sharp), Litocerus securus(Boheman)와 Rhaphitropis truncatoides Morimoto는 미기록종이다. 이로서 우리 나라의 소바구미과는 총 19속 22종이 된다.
        3,000원
        92.
        1995.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From a chemist's perspective, Scarabaeidae is one of the most exciting group of insects to work on the isolation, identification, and synthesis of sex pheromones because-as opposed to Lepidoptera, which by and large utilizes straight chain alcohols, aldehydes, and acetates-the pheromonal chemistry of scarab beetles is remarkably diverse. While species in the subfamily Rutelinae utilize pheromone constituents, which are presumably fatty acid derivatives, the more primitive species in the subfamily Melolonthinae use phenolic, amino acid derivative, and terpenoid compounds. Here, I discuss the recent advances we have accomplished in the identification of scarab sex pheromones with especial emphasis on their chemical diversity. Also, I discuss the potential role of these sex pheromones in insect pest management. Field tests revealed that, in contrast to what has been frequently observed in the Lepidoptera, the higher the dosage of sex pheromone loaded in the traps the greater the capture of scarab beetles. These data suggest that mass trapping is more likely to be useful for scarab pest management than mating distruption.
        4,000원
        93.
        1989.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1987년 1종의 긴나무좀과 52종의 나무좀이 채집되었다. 그중 Hylurgops Palliatus와 Xyleborus amputatus 2종은 미기록종이었다. 한편 기록뿐인 나무좀들로 몇몇 확인되지 않았던 종들도 조사기간동안 채집되었으며 미기록종의 형태적 특징을 기술하였다.
        4,000원
        94.
        1988.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유인제에 유인된 20종의 나무좀과 2종의 미동정 나무좀을 목록화 하였으며, 유인된 나무좀 종 Trypodendron signnatum 과 Xyleborus defensus는 우리나라에서 처음으로 기록되는 종들로 그 특징을 기술하였다.
        3,000원
        95.
        1988.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야외에서 갱도를 이용한 나무좀 분류에 도움을 주고자 한국산 주요 나무좀 19속에 대한 갱도의 검색표를 마련하였으며 한국산 기주식물에 형성된 갱도를 그림으로 표시하였다.
        4,000원
        96.
        1986.12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A sum of 84 species belonging to 44 genera under 9 families of Korean water beetles are reviewed and listed tentatively, among them 14 species are newly recorded from Korean fauna.
        4,600원
        97.
        1985.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미기록종(*) 12종을 포함 95종의 한국산 긴나무좀과와 나무좀과 해충 및 그 기주식물 62종 14아종을 기록하였다. 이들중 새로 추가된 기주식물(#)은 10종이다.
        4,000원
        98.
        1985.05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paper is a provisional check list of Staphylinidae n Korea which the available synonyms for each species are arranged. In this paper, a total of 109 species belonging to 50 genus under 13 subfamilies are listed. Among them, 32 species are reported for the first time from Korea.
        8,000원
        99.
        1983.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과수 및 원예식물을 가해하는 나무좀류를 확인하기 위해 1980-82년간 기주식물별로 분포상태를 조사하였으며 동정된 6종, 미동정 1종을 정리하였고 이들중 Cryphalus malus Nijima, Hypothenemus eruditus Westwood와 Xylesandrus borealis Nobuchi 등 3종은 우리나라 미기록종이었다.
        3,000원
        100.
        1982.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자두 살구나무에 기생하는 나무좀의 종류와 생태를 조사하였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자두살구나무를 하는 나무좀은 서울나무좀 (Scolytus seulensis), 뽕나무좀(Xyleborus atratus), 오리나두좀(X. germanus, 붉은목나무좀(X. rubricollis) 및 감나무좀(X. saxeseni)을 채집하였고 기주로는 서울나무좀은 자두와 살구나무에 뽕나무좀 오리나무좀, 감나무좀은 살구, 밤나무에 붉은목나무좀은 자두, 밤나무등에 각각 침입함을 확인하였는데 자두, 살구나무에 발생량과 피해가 심한 종은 서울나무좀이었다. 2. 서울나무좀의 발생소장을 보면 1980년 7월 10일과 8월 25일 1981년에는 7월 15일과 8월 20일로 1화기는 7월 중순에 2화기는 8월 하순의 1년 2회로 추정되었다. 3. 살구품종중 서울나무좀에 의한 m당 충공수는 Henderson(Apricot)과 V-49057(Apricot)은 100개 이상이었으며 Derbyroyal(Apricot)은 12개 이하로 적었다. 대체로 한국재래종과 일본계도입종들에 비하여 구주계품종에 치해공이 많았고 방향별 차이는 적었으나 동서남북순이었으며 모공의 길이가 길수로 유충공수도 많았다. 4. 성충의 교미는 내외가 많았으며 5.6월의 교미는 7.8월에 비하여 교미시간이 다소 길었다. 5. 자두나무 과실중의 변화는 피해주에서 개화 4주일 후인 6월 23일에 12.25g으로서 과중증가가 없었으나 건전주의 과실은 6월 23일에 32.23gr이었고 수확기인 7월 7일에는 63.5gr이었다. 6. 서울나무좀의 천적으로 어깨넓적좀벌과의 일종인 Eurytoma sp.를 서울나무좀의 노숙유충이나 용에서 용상태로 발생하였고 5월 초부터 6월 25일 사이에 우화하였으며 성충의 일주일 내외였다.에 따라 충영엽율이 낮었으며 방사상식고랑처리는 고랑수에 따른 충영엽율에 현저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그리고 현행 근계주변 원형식고랑처리는 점식 3구멍처리와 대등한 솔잎혹파리의 방제효과가 있었다. 결론으로 과 의 토중처리효과는 대등하여 의 대체 가능하다고 보며 의 점식 3구멍 처리방법을 도입함으로서 토중처리에 소요되는 노동력을 크게 절감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0℃,25℃,30℃에서 각각 였다. 6. 발육영점온도는 난이 , 유충이 , 용이 였고 유효적산온도는 난, 유충과 용이 각각 60.41일도, 319.35일도와 222.66일도였으며 담배나 방의 발육영점온도는 였고, 유효적산온도는 60 2.42일도였다. 7. 발육과 온도와의 관계에서 Y=-4.272X+155.39 (r=0.9105), (Y=전 생육기기간을 완료하는데 소요되는 일수, X=처리온도)를 얻었으며 실측치와의 오차는 일로 생육단계 특히 유충기와 개체간 생리적 차가 현저함을 알 수 있었다. 8. Thuricide 분무처리 시 치사율은 평균 였고 Bait처리 시 치사율은 평균 였으며 처리간에는 유의성이 있었으나 처리시기나 약
        4,000원
        1 2 3 4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