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153

        104.
        2000.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양단이 단순지지 상태이고, 정현상으로 taper진 부재의 두 고유치(탄성임계하중과 횡방향 고유진동수)를 유한요소법으로 산정하였다. 그 결과로 얻어진 고유치의 계수들을 실무에 종사하는 구조 기술자들이 쉽게 이용할 수 있도록 각각의 경우에 대하여 간단한 대수 방정식으로 표시하였다. 유한요소법으로 구한 고유치 계수값과 대수 방정식에 의한 추정 계수값들의 상관계수는 어느 경우에나 거의 단위치(1)에 가까운 값으로 대수 방정식의 정당성을 뒷받침 하였다. 횡방향 진동수에 미치는 압축하중의 영향도 검토하였다. 이를 위하여 부재에 작용하는 축방향력을 차례로 증가시키면서 여기에 대응하는 진동수를 산정하였다. 그 결과 압축하중비 (P/Pcr)와 진동수 비의 제곱 ((ω/ω0)²)의 합은 어느 경우에나 거의 단위치(1)로 나타났다.
        4,000원
        105.
        2000.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구조물-지반 상호작용에서 알려진 것처럼 구조물 지진응답은 구조물하부 지반조거에 따라 영향을 받는데 UBC-97을 포함한 여러내진설계규준에서 지반사태 영향을 반영하고 있다 이 연구에서는 기초크기 기초밑 지반깊이, 입력지진 작용점 및 기초 근입깊이 등의 영향을 살펴보고 깊은 지반 위에 세워진 구조물의 평균응답스펙트럼을 UBC-97 탄성응답스펙트럼과 비교하기 위해 구조물-지반 상호작용을 고려한 지진해석을 가상 3차원 유한요소법과 부구조물법을 이용하여 1952년 Taft와 1940년 El Centro 지진기록을 주파수영역에서 수행하였다 연구결과에 의하면 기초크기는 구조물 응답에 별 영향이 없고 기초저면 지반깊이는 구조물체계의 고유주기와 최대가속도를 변경시켰다 또 입력지진의 합리적 작용점은 기초저면이라는 것이 확인되었으며 깊은 지반위에 놓인 기초의 근입은 저주기영역에서 구조물 응답을 상당히 줄어들게 하였다 한편 30m 깊은 지반위에 세워진 구조물의 평균가속도와 UBC-97 가속도를 비교한 결과 UBC-97 탄성응답스펙트럼에 의한 구조물 내진설계가 안전하지 못할 수도 있으므로 UBC-97 지진계수의 할증이 필요하다.
        4,600원
        106.
        2000.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1998년 5월부터 9월에 걸쳐 진도 진도읍, 의신면, 고군면, 군내면 4개 지역에서 양서ㆍ파충류의 분포를 조사한 결과 양서류 2목 4과 6종, 파충류는 1목 2아목 4과 8종이 확인되었다. 확인된 14종(청문에 의해 발견된 2종 포함)중 환경부지정 보호야생동물인 까치살모사(Askistrodon saxatilis)가 의신면 일대에서 발견되었다. 희소종으로 줄장지뱀(Takydromus wolteri), 도마뱀(Scincella laterale latera
        4,000원
        108.
        1999.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논문에서는 다지지점 가진에 의한 구조물의 동적응답을 구하기 위하여 유한요소모형을 수정하고 등가하중을 도입하는 간단한 기법을 제안하였다. 제안방법은 다지지점 입력에 대한 해석기능이 있는 기존의 범용구조해석 S/W를 이용한 선형 및 비선형 해석결과와 비교하여 검증하였다. 이 기법은 다지지점 입력에 대한 해석기능이 없는 범용유한요소해석 S/W 및 비선형 구조해석을 위하여 특별히 개발되었던 전산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다지지점 입력에 대한 지진응답해석을 수행할 때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4,000원
        109.
        1998.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혈중 글루코우즈의 농도를 측정하기 위한 진단막의 제조를 위해 다층 젤라틴 필름이 사용되었다. 혈당치를 얻기위해 glucose dehydrogenase와 diaphorase를 이용하여 다층 젤라틴 필름을 통과하는 글루코우즈의 확산속도를 측정하였다. 글루코우즈의 최대 확산속도에 미치는 코팅의 간격거리, 효소의 양, 필름의 두께, 그리고 외부 온도의 영향에 대해 조사하였다.
        4,000원
        111.
        1997.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was conducted to assess present situiatioq of oversowing grassland yield and vegetational succession of abondoned since 6 years passed grassland in Wonju. The highest annual h s h weight yield was 28ton/ ha and the lowest was I lton/ha and the
        4,000원
        112.
        1997.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1996년 12월 13일 강원도 영월에서 발생한 지진에 대한 설문 조사를 남한 전지역에 걸친 262개 지역에서 실시하고 진도 평가를 실시하였으며 남한 지역에서의 지진 에너지 감쇠특성을 분석하였다. 진도평가 결과 이번 지진은 남한지역에서 진도II~진도VIII 사이의 분포를 보이나 남한 일대의 전반적인 진도분포를 잘 보여주고 있다. 진도 VI이상의 지역에서는 벽에 금이 가는 등 상당한 지진피해가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등진도도에서 나타난 가장 현저한 특징은 이 지진의 규모가 기상청에서 4.5로 보고된 점을 감안할 때 감진 지역이 제주도를 제외한 남한 전지역을 포함하여 타 지진의 경우보다 두드러지게 넓다는 점이다. 이러한 사실은 이 지진도 규모가 실제 보다 낮게 평가되었거나 진원의 심도가 보다 깊다는 것으로 해석된다. 이 지진이 기상청 발표과 같이 진원심도가 10km 이하인 천발지진이라고 가정할 때 등진도도에서 진도 IV에서 VII사이의 등진도 등고선에 의해 둘러싸인 감진 지역의 면적으로부터 규모를 산정한 결과 규고가 평균 5.4로 나타났다. 따라서 앞으로 원거리 지진기록을 이용한 보다 정밀한 규모 및 진원 깊이의 산정이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4,000원
        113.
        1997.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그 동안 구조물에 대한 지진해석이 기초와 지반의 특성을 무시하고 기초가 매우 단단한 것으로 가정하고 수행되었다. 최근 구조물-지반 상호작용에 관한 연구결과 구조물 지진거동이 기초와 지반의 특성에 따라 심하게 영향을 받을 수 있다는 것이 알려졌다. 전형적인 구조물-지반 상호작용 영향은 무한강성 무질량 기초의 운동학적 상호작용과 지반과 구조물 사이에서 발생하는 관성상호작용이다. 운동학적 상호작용은 묻힌 기초의 경우에는 중요하지만, 수직으로 전달되는 지진파를 받는 지표면상 기초의 경우에는 무시될 수 있다. 이 논문에서는 멕시코시티 4개 건물에 대해 관성상호작용만을 고려하고 1985년 멕시코시티 동서방향 지진기록을 사용하여 구조물의 지진거동을 조사하였다. 연구는 지표면상 기초나 말뚝기초를 가진 구조물에 대해 선형 및 비선형 지반조건을 고려하여 수행하였으며, 연구결과를 매우 견고한 기초를 갖는 구조물에 대한 것과 비교하였다.
        4,000원
        114.
        1996.08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생물종자원 및 경관자원으로서의 보존가치가 큰 난온대 상록활엽수림의 식생구조를 정량적으로 파악하여 국토자원관리와 식재설계의 기초자료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연구대상지는 전남 진도군 의신면의 선연기념물(107호)인 상록수림을 포함하는 첨찰산 일원이었다. 식생구조분석을 위하여 총 52개의 조사구(조사구면적 300m2)를 설정하고 식생조사를 실시하였으며 TWINSPAN 및 DCA 기법을 적용하였다. 그 결과 7개의 식물군짐이 분리되었는데 이들 군집은 굴참나무-개서어나무군짐, 정가시나무군집, 구실잣밤나무-참가시나무군집, 구실잣밤나무-동백나무군집, 붉가시나무, 참식나무 등 상록활엽수로 천이되고 있는 천이 도중상의 식생구조이었다. 수종과 토양 및 입지환경과의 관계에서 참식나무, 종가시나무, 동백나무는 비옥한 토양에서 상대우점치가 컸고 소사나무는 고지대 능선부, 개서어나무는 저지대 곡간부나 산록부의 양호한 환경조건에서 분포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앞으로 난온대림 지역의 관광지 주변이나 국,공유림의 삼림식생관리는 식생구조와 천이계열을 고려하여 상록활엽수림 복원을 촉진시키는 계획이 필요하며, 도시구역이나 공단조성시에는 황견 입지조건을 고려한 상록활엽수종의 식재가 바람직하다.
        4,000원
        117.
        2019.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에서는 한옥식음공간의 인테리어 디자인 기획 시 활용 될 수 있는 서비스스케이프 요인에 기반 한 디자인적 요소 제안을 목적으로, SNS상에 업로드 된 익선동 한옥 식음공간의 이미지들을 활용하여 공간적 특성을 분석하였다. 연구방법으로는 문헌조사를 통해 식음공간과 서비스스케이프에 대한 고찰을 실시하고, 식음공간의 서비스스케이프와 관련된 선행 연구를 조사하였다. 다음으로 이론고찰을 통해 도출된 서비스스케이프 요인을 기준으로 사례를 수집하였다. 사례 수집은 사용량이 많고 성장률이 높다고 조사된 두개의 매체에서 해시태그를 적용해 수집하였다. 173장의 이미지 중 이론고찰에서 도출된 서비스스케이프 요인에 해당하는 69장을 조사 및 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매력성 요인에 서 외관은 한옥의 모습을 많이 변형하지 않고 내부공간을 현대적으로 스타일링 한 사례가 많아 현대의 라이프스타일 속에 조화롭게 구성 된 한옥 식음공간을 소비자들이 선호함을 알 수 있었다. 입구는 나무소재 그리고 간판은 전등을 사용하는 디자인이 다수였으며, 한옥식음공간 방문 후 가장 많이 업로드하는 이미지의 공간이 입구와 간판이라는 것을 보았을 때, 입구공간에 대한 중요성을 밝힐 수 있었다. 공간성요인으로는 기와지붕이 보이는 테라스 공간, 정보성요인에서는 개별 메뉴판과 장식이 없는 카운터 디자인에 대한 선호도가 높음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결과가 한옥식음공간을 기획 할 시 중요한 자료로 활용되기를 기대한다.
        118.
        2019.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노래로 만들어진 가사가 매우 뛰어난 시적, 문학적 성취를 보여주는 사례는 매우 많다고 할 수 있다. 밥 딜런(Bob Dylan)의 노벨문학상 수상은 그런 대표적인 경우라고 할 수 있고, 딜런 만큼 노래의 문학성을 인 정받고 있는 톰 웨이츠(Tom Waits)의 가사 역시 문학적인 성취가 매우 높다는 평가를 받고 있으며, 이 외에도 죠니 미첼(Joni Mitchell), 레오나 드 코헨(Leonard Cohen), 루 리드(Lou Reed)와 같은 가수들은 종종 시인 으로 여겨지며 그들의 노래 역시 훌륭한 시로 평가받기도 한다. T. S. 엘리엇의 많은 작품들은 음악과 매우 밀접한 관계를 갖고 있다. 헬렌 가드너에 의해 엘리엇의 『네 사중주』가 음악적 구성을 갖고 있다 는 사실이 지적된 후로, 많은 연구들은 엘리엇의 작품이 갖고 있는 음악적 요소에 많은 관심을 가져왔다. 하지만 반대로 엘리엇의 작품이 음악에 영향을 준 것도 충분히 고려해 볼 만한 이유가 될 수 있을 것이 다. 엘리엇과 대중문화의 관계를 생각해 볼 때, 엘리엇의 몇몇 시들은 1960년대 이후 대중음악에 산발적인 영향을 주었던 것이 명확해 보인다. 그런 면에서, 엘리엇의 문학이 현대 대중음악에 어떤 영향을 주었고, 또 그 문학적 영향이 어떻게 남아 있는지를 1960년대 이후 대중적 으로 널리 알려진 노래의 가사를 중심으로 살펴볼 것이다.
        119.
        2018.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논문에서는 긴 파이프 이뤄진 세장형 부이 구조물의 파랑 중 거동특성에 관한 모형시험과 수치해석 연구를 수행하였다. 대상 부이 구조물은 긴 파이프를 기본 뼈대로 하여, 상부구조물, 부력재, 중력식 앵커로 구성된 아티큘레이트(Articulated)형 부이 구조물이다. 대상 해역인 서해에서의 본 부이 구조물의 생존성을 평가하기 위하여, 축척비 1/22의 축소 모형을 제작하여 선박해양플랜트연구소 해양공학수조에서 일련의 모형시험을 진행하였다. 이 때 50년 재현주기의 극한파 조건을 고려하였으며, 또한 조류 및 주기 효과를 검토하기 위하여 추가적인 실험을 수행하였다. 생존성 평가를 위한 주된 평가항목으로는 구조물의 거동, 앵커 지지력, 침수 횟수를 고려하였다. 모형시험 결과와의 상호검증을 수행하기 위하여 상용계류해석 프로그램인 OrcaFlex를 이용하여 수치 시뮬레이션을 병행하였다. 평가결과로써 먼저 조위차에 따른 본 부이 구조물의 거동 특성에 대해 살펴보았다. 고조위와 저조위 조건에서의 종동요 응답, 앵커지지력의 변화를 살펴보았으며, 수치 시뮬레이션 결과와의 직접 비교 검토하였다. 두 번째로는 파도 주기와 조류의 유무에 따른 부이 구조물의 응답 특성 변화에 대해 고찰하였다. 세 번째로는 상부구조물의 침수와 관련하여 비디오 분석을 통한 침수 횟수를 수치해석 결과와 비교 제시하였다. 마지막으로 모형시험에서 직접 계측하지 못한 구조응답과 관련하여 수치 시뮬레이션 결과를 제시하고, 극한파 중 구조적 안전성에 대해서 논하였다. 일련의 생존성 평가 연구를 통하여 본 부이 구조물의 극한파 중 거동 특성에 대해 살펴볼 수 있었으며, 파도, 조류, 조위차에 따른 민감도 특성을 통해 본 부이구조물의 취약점 및 활용성에 대해 고찰해 보고자 하였다.
        120.
        2018.0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In this paper, a method for estimation of external force on an end-effector using joint torque sensor is proposed. The method is based on portion of measure torque caused by external force. Due to noise in the torque measurement data from the torque sensor, a recursive least-square estimation algorithm is used to ensure a smoother estimation of the external force data. However it is inevitable to create a delay for the sensor to detect the external force. In order to reduce the delay, modified recursive least-square is proposed. The performance of the proposed estimation method is evaluated in an experiment on a developed six-degree-of-freedom robot. By using NI DAQ device and Labview, the robot control, data acquisition and The experimental results output are processed in real time. By using proposed modified RLS, the delay to estimate the external force with the RLS is reduced by 54.9%. As an experimental result, the difference of the actual external force and the estimated external force is 4.11% with an included angle of 5.04° while in dynamic state. This result shows that this method allows joint torque sensors to be used instead of commonly used external sensory system such as F/T sensors.
        6 7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