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1,002

        101.
        2012.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지구적으로 양서류가 감소하고 있다. 오래전부터 중금속은 양서류 군집 감소의 원인 중 한가지로 지목받고 있다. 수정 후 변태에 이르는 생활사를 수중에서 진행하는 양서류는 수환경 내의 오염물질에 1차적으로 노출되며 독성효과에 대한 감수성이 높아 수환경의 오염에 특히 취약하다. 양서류는 수서생태계의 건강도 지표로서 유용할 뿐 아니라 분자 및 개체수준의 다양한 생체지표를 이용한 다양한 환경오염물질의 독성평가 모델로서도 유용하다. 양서류에서 얻어진 독성자료는 수환경 오염물질의 관리와 안전관리기준으로 사용될 수 있다. 본 논문에 서는 기존에 보고된 중금속이 양서류의 다양한 독성종말점에 미치는 영향들에 대해 검토하고 분석하였다.
        5,500원
        102.
        2012.10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국내에 서식하는 개구리의 배아를 이용하여 화학물질의 독성평가에 대한 가능성을 파악하기 위해 FETAX(Frog Embryo Teratogenesis Assay-Xenopus) 기법에 따라 청개구리(Hyla japonica)의 배아를 배양하면서 Cu2+과 Tebuconazole의 효과를 probit 분석법으로 조사하였다. 그 결과, Cu2+과 Tebuconazole의 농도에 의존하여 유생의 체장 길이는 감소하고 치사율과 기형율은 증가하였으며 Cu2+과 Tebuconazole의 teratogenic concentration(EC50)은 각각 0.05, 5.0mg/L을 나타내었고 embryo lethal concentrations(LC50)은 0.16, 39.1mg/L을 나타내었다. Teratogenic index(TI=LC50/EC50)는 Cu2+의 경우 3.0, Tebuconazole의 경우 7.7을 나타내어 청개구리 배아 발달에 최기형성 물질로 작용함을 알 수 있었다. 이상의 결과들로 보아 Cu2+과 Tebuconazole 모두 낮은 농도에서 청개구리 배아의 발달에 민감하게 반응하였으며 다량의 배아 확보가 가능하였고 배양이 용이하였으며 치사율, 기형율, 성장률, 기형양상 등이 기존의 연구들과 비교하였을 때 유사한 결과를 나타내어 청개구리 배아를 활용한 시험기법은 화학물질 및 환경오염물질의 독성검정에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4,000원
        119.
        2012.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Although embryonic stem cells (ESCs) or ES-like cells are reported from many mammalian species other than the mouse, the culture system for murine ESCs may not be suitable to the other species. Previously many other research groups have modified either human or mouse ESC culture systems for bovine ESC culture. In this study, we compared three different culture mediums consisting of DMEM, -MEM or KnockOut-DMEM (KO), which are modified from human or mouse ESC culture system, for the generation of bovine ESCs. In this study, some pre-requisite events which are important for establishment and long-term propagation of ESCs such as inner cell mass (ICM) attachment on feeder cells, primary colony formation and sustainability after passaging. Once the ICM clumps attached on feeder cells, this was designated as passage 0. In regards to the rate of ICM attachment, -MEM was superior to the other systems. For primary colony formation, there was no difference between DMEM and -MEM whereas KO showed lower formation rate than the other groups. For passaging, the colonies were split into 2~4 pieces and passed every 5~6 days. From passage 1 to passage 3, DMEM system seemed to be appropriate for maintaining putative bovine ESCs. On the other hand, -MEM tended to be more suitable after passage 6. Although -MEM support to maintain a ES-like cell progenies to passage 15, all three culture systems which are modified from human or mouse ESC culture media failed to retain the propagation and long-term culture of putative bovine ESCs. Our findings imply that more optimized alternative culture system is required for establishing bovine ESC lines.
        3,000원
        120.
        2012.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국내에 서식하는 개구리의 배아를 이용하여 화학물질의 독성평가에 대한 가능성을 파악하기 위해 FETAX (Frog Embryo Teratogenesis Assay-Xenopus) 기법에 따라 참개구리(Rana nigromaculata)의 배아를 배양하면서 Ni2+과 Tebuconazole의 효과를 probit 분석법으로 조사하였다. 그 결과, Ni2+과 Tebuconazole의 농도에 의존하여 유생의 체장 길이는 감소하고 치사율과 기형율은 증가하였으며 Ni2+과 Tebuconazole의 half maximal effective concentration (EC50)은 각각 0.07, 12.7 mg L-1을 나타내었고 half maximal lethal concentrations (LC50)은 4.2, 39.1 mg L-1을 나타내었다. Teratogenic index (TI=LC50/EC50)는 Ni2+의 경우 61.4, Tebuconazole의 경우 3.1을 나타내어 참개구리 배아 발달에 최기형성 물질로 작용함을 알 수 있었다. 이상의 결과는 참개구리 배아의 발달에 대표적 유해 화학물질인 Ni2+과 Tebuconazole이 민감하게 영향을 미침을 보여준다. 또한 참개구리 배아는 다량의 배아 확보가 가능하며 배양이 용이하고 치사율, 기형율, 성장률, 기형양상 등이 참고문헌들과 비교하였을 때 유사한 결과를 나타내어 참개구리 배아를 활용한 시험기법은 화학물질 및 환경오염물질의 독성검정에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4,000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