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9

        1.
        2015.04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국립생물자원관 곤충표본실, 서울대학교 곤충표본실 및 국립농업과학원 곤충표본실에 소장된 표본 조사와 문헌조사 결과 국내에는 말벌과에 총 5개 속의 31개 종이 존재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그 중 말벌 속에 속하는 Vespa analis parallela Andre (좀말벌), Vespa crabro flavofasciata Cameron (말벌), Vespa ducalis Smith (꼬마장수말벌), Vespa mandarinia Cameron (장수말벌), Vespa simillima simillima Smith (털보말벌)의 독액을 오염 없이 분리하여 내는 방법을 개발하였다. 발굴된 표준 독낭 분리 방법을 이용하여 5종의 말벌 독액을 채취하였다. 그 중에 현재까지 단백체와 발현 유전체 분석이 이루어지지 않은 Vespa analis parallela Andre에 대한 분석을 실시하였다. 발현 유전체 분석을 위해서는 살아있는 말벌의 독샘을 적출한 후 전체 RNA를 추출하여 RNA seq을 실시하였다. 단백체의 분석을 위해서는 독액을 Tandem Mass-spectroscopy를 이용하여 분석을 하였다. 대사체의 분석을 위해서는 High-resolution magic angle spinning NMR (700mHZ)를 이용하여 분석을 하였다. 연구결과 분석된 기능성 물질에 대한 활용성 연구를 실시할 예정이다.
        2.
        2014.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국립생물자원관 곤충표본실, 서울대학교 곤충표본실 및 국립농업과학원 곤충 표본실에 소장된 표본 조사와 문헌조사 결과 국내에는 말벌과에 총 5개 속의 31개 종 이 존재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그 중 말벌 속에 속하는 Vespa analis parallela Andre (좀말벌), Vespa crabro flavofasciata Cameron (말벌), Vespa ducalis Smith (꼬마장수말벌), Vespa mandarinia Cameron (장수말벌), Vespa simillima simillima Smith (털보말벌)의 독액을 오염 없이 분리하여 내는 방법을 개발하였다. 발굴된 표준 독낭 분리 방법을 이용하여 5종의 말벌 독액을 채취하였다. 그 중에 현 재까지 단백체와 발현 유전체 분석이 이루어지지 않은 Vespa analis parallela Andre에 대한 분석을 실시하였다. 발현 유전체 분석을 위해서는 살아있는 말벌의 독샘을 적출 한 후 전체 RNA를 추출하여 RNA seq을 실시하였다. 단백체의 분석 을 위해서는 독액을 Tandem Mass-spectroscopy를 이용하여 분석을 하였다. 대사 체의 분석을 위해서는 High-resolution magic angle spinning NMR (700mHZ)를 이용하여 분석을 하였다. 연구결과 분석된 기능성 물질에 대한 활용성 연구를 실시 할 예정이다.
        3.
        2012.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지구적으로 양서류가 감소하고 있다. 오래전부터 중금속은 양서류 군집 감소의 원인 중 한가지로 지목받고 있다. 수정 후 변태에 이르는 생활사를 수중에서 진행하는 양서류는 수환경 내의 오염물질에 1차적으로 노출되며 독성효과에 대한 감수성이 높아 수환경의 오염에 특히 취약하다. 양서류는 수서생태계의 건강도 지표로서 유용할 뿐 아니라 분자 및 개체수준의 다양한 생체지표를 이용한 다양한 환경오염물질의 독성평가 모델로서도 유용하다. 양서류에서 얻어진 독성자료는 수환경 오염물질의 관리와 안전관리기준으로 사용될 수 있다. 본 논문에 서는 기존에 보고된 중금속이 양서류의 다양한 독성종말점에 미치는 영향들에 대해 검토하고 분석하였다.
        5,500원
        4.
        2011.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4,000원
        5.
        2011.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지구적으로 양서류가 감소하고 있다. 수정 후 변태에 이르는 생활사를 수중에서 진행하는 양서류는 수환경 내의 오염물질에 1차적으로 노출되며 독성효과에 대한 감수성이 높아 수환경의 오염에 특히 취약하다. 양서류는 수서생태계의 건강도 지표로서 유용할 뿐 아니라 배아 또는 유생에서 분자 및 개체수준의 다양한 생체지표를 이용한 내분비계장애물질을 비롯한 다양한 환경오염물질의 독성평가 모델로서도 유용하다. 양서류에서 얻어진 독성자료는 수환경 오염물질의 관리와 안전관
        4,000원
        8.
        2013.08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Copper Chloride (CuCl2)는 수계생물에 매우 강한 독소로 작용한다. 이에 한국 토착 양서류인 무당개구리(Bombina orientalis)의 배아를 이용하여 CuCl2의 독성에 대하여 알아보고자 하였다. 배아 발생 독성 실험, Trypan blue 염색, 동물극 분리체의 예정 중배엽 유도, MTT 분석, real-time PCR을 수행하였다. 결과로, 생존율에 근거한 반수치사농도는 6.50 μM, 기형율에 근거한 반수기형농도는 2.13 μM로 확인되었다. 주요 기형패턴으로는 head malformation, bent tail이 관찰되었고, 3 μM 이상의 농도에서 두부와 미부의 유의적인 성장 저해가 관찰되었다. 10 μM 이상의 농도에서 배아 전체의 세포사멸이 이루어짐을 확인하였다. 동물극 분리체의 길이신장과 길이/폭 비율이 1 μM 이상의 처리군에서 유의적인 감소를 보였다. MTT 분석 결과, 10 μM 이상의 농도에서 유의적인 감소를 보였다. 중배엽 관련 유전자 중 goosecoid, noggin, chordin, follistatin가 1 μM 이상의 처리군에서 유의적인 감소를, epidermal keratin가 10 μM 이상의 농도에서 유의적인 증가를 보였다. Apoptosis 관련 유전자 중 BAK와 BAX는 각각 10 μM 이상의 농도에서 유의적인 감소와 증가를 보였다. 이 연구를 통하여, CuCl2가 무당개구리 배아의 중배엽 관련 유전자의 발현을 저해함으로서, 발생 과정의 장애를 유발하는 것으로 사료된다.
        9.
        2012.09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무당개구리(B. orientalis)의 수정란은 수정 후 약 24h에 원구입술을 형성하며, 이 원구의 고리를 통해 이동하는 세포가 중배엽을 형성하고, 중배엽의 수렴확장에는 noggin, chordin, follistatin이 큰 영향을 미친다. Mercuric chloride는 높은 독성, 생물 농축적 특성을 갖는 가장 위험한 중금속 중 하나이다. 본 연구는 양서류 초기배아의 중배엽 형성과정에서 수은 이온에 의해 유발되는 중배엽 발생저해 효과를 DMZ explants를 이용하여 체외분석 및 유전자 발현 분석하였다. 무당개구리 배아는 hCG를 주사하여 획득하였으며, 획득한 배아는 22℃에서 발생시켰다. 동물극 유도 시에는 후기 포배의 배아 동물극 정중앙을 1~2 mm 크기로 절개하여 이용하였고, DMZ 분리는 원구입술의 크기가 배아 둘레 기준으로 약 1/8 정도 확장된 배아가 되었을 때 절개하여 실험에 사용하였다. 24-well tissue culture plate에 1X MR로 조제한 1.5% agarose 고체배지 500μl에 1X MR, penicillin(1μl/ml), streptomycin(10μl/ml), BSA(0.25μl/ml)로 조제한 액체 배양액 500μl를 첨가하여 배양하였다. 동물극의 중배엽 유도를 위한 실험군에는 추가적으로 Activin-A를 2.0 ng/ml의 농도로 처리하였다. Mercuric Chloride는 3차 증류수에 녹인 후 0(vehicle control group), 0.1, 1, 10 μM의 농도로 배양액에 처리하여 20℃에서 배양하며, 12시간 경과 후 DMZ explant의 수렴확장 정도를 이미지 분석프로그램을 통해 수치화 하였다. 배양된 explants는 RT-PCR을 이용하여 cDNA로 합성하고, noggin, chordin, follistatin의 발현량을 측정하였다. 실험결과, 동물극의 중배엽 유도 실험에서는 확장 정도를 의미하는 길이신장은 10μM(2.715 mg/L) 처리군에서 유의적으로 감소하였다. 수렴 정도를 의미하는 동물극 신장 부위의 두께는 10μM(2.715 mg/L) 처리군에서 유의적으로 감소하였다. 반면, 종합적인 수렴확장 정도의 비교를 위한 길이/폭 비율에서는 유의적인 차이가 발견되지 않았다. DMZ explant의 확장 정도를 의미하는 길이신장은 10μM(2.715 mg/L) 처리군에서 유의적으로 감소하였다. 반면, 수렴 정도를 의미하는 DMZ explant 두께는 수은이온처리에 따른 차이가 발견되지 않았다. 종합적인 수렴확장 정도의 비교를 위한 길이/폭 비율은 10μM(2.715 mg/L)의 수은이온 처리군에서 유의적으로 감소하였다. 유전자 발현량 측정 결과, 동물극의 중배엽 유도 실험에서는 noggin의 경우 1, 10μM에서, chordin의 경우 0.1, 1, 10μM에서, follistatin의 경우 1, 10μM에서 감소하는 양상을 보였다. DMZ explant 배양에서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수렴확장저해가 확인되지 않았다. 무당개구리 배아를 이용한 Mercuric Chloride의 중배엽 형성저해 분석 결과, 10μM(2.715 mg/L) 이상의 농도는 DMZ의 길이 성장, 길이/폭 비율을 저해시키며, 동물극의 중배엽 형성 유도에서는 길이 성장, 폭 성장을 저해시키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동물극의 중배엽 유도군에서 수렴 확장 정도에서의 변화가 나타나지 않은 것은 길이와 폭의 성장이 모두 저해되었기 때문에 비율의 변화값이 고정되었음에 따른 것으로 사료된다. 또한 유전자 발현양상을 분석한 결과 길이 측정결과에서 보였던 결과와 마찬가지로 농도 의존적으로 감소하는 양상을 보였으므로 수은이 중배엽 형성을 저해하는 효과를 가졌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단, DMZ explant 군에서의 변화양상이 없는 것으로 보아, 차후 중배엽 형성 저해 실험을 관찰할 때에는 동물극 유도 실험군을 이용하는 것이 더 바람직할 것으로 사료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