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102

        101.
        2019.07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We aimed to evaluate antithrombotic efficacy of Protaetia brevitarsis extract during 21 days. Rats (SPF rat, weight 240~260 g) were divided into 16 groups (5 rats per group), they were: control group and Protaetia brevitarsis extract groups with dose of 0.1, 0.5, 1, 2.5, 5, 10, 25, 50, 75, 100, 200, 250, 500, 750, 1,000 mg/kg kg of body weight. Thromboplastin time (PT) and activated partial thromboplastin time (aPPT) as antithrombotic efficacy were tested in this animal experiment (at 7, 14 and 21 days). Overall, the admistration dose of Protaetia brevitarsis extract over 50 mg/kg at 7, 14 and 21 days for PT and over 25 mg/kg at 7, 14 and 21 days for aPPT tented to be longer than that of other groups. In addition, the optimal admistration doses of Protaetia brevitarsis extract to improves antithrombotic efficacy were 75, 100, 200 and 250 mg/kg at 7, 14 and 21 days for PT (p<0.05) and 50 and 100 mg/kg at 7 days, 75 mg/kg at 14 days, or 50, 100, 200 and 250 mg/kg at 21 days for aPPT (p<0.05). It can be concluded that Protaetia brevitarsis extract at optimal levels have antithrombotic efficacy.
        102.
        2016.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에서는 화장품 신소재 개발을 위해 한의약적 포제법을 적용하여 흰점박이꽃무지 추출물을 제조하 고 포제방법에 따른 항염 및 미백활성을 평가하였다. 모든 실험은 생(生), 1회 초법(炒法), 2회 초법(炒法), 3회 초법(炒法), 증법(蒸法)을 적용한 흰점박이꽃무지를 이용하였다. 각 포제법을 적용한 흰점박이꽃무지의 용매별 (80% 에탄올, 50% 에탄올, 에틸아세테이트, 헥산) 추출물에 대한 1,1-diphenyl-2-picrylhydrazyl (DPPH) 라디칼 소거 활성은 각각 85.5, 22.4, 37.0 및 19.4%의 효과를 나타내었다. 따라서 이후의 실험은 항산화 활성 이 가장 큰 80% 에탄올 추출물을 이용하였다. 포제법을 적용한 흰점박이꽃무지 추출물과 포제법을 적용하지 않은 추출물 모두 농도 의존적으로 항산화능을 나타냈으며, 500 μ g/mL 농도에서 포제법을 적용한 3회 초법 및 증법은 superoxide dismutase (SOD)-like 활성이 각각 62.9 및 55.9%를 나타냈다. Lipopolysaccharide (LPS)로 염증이 유도된 RAW 264.7 세포에 포제법을 적용한 흰점박이꽃무지 추출물을 처리하였을 때, LPS를 단독으로 처리한 양성 대조군보다 포제법을 적용하지 않은 흰점박이꽃무지 추출물(38.0%), 1회 초법(41.0%), 2회 초법(69.8%), 3회 초법(70.1%), 증법(78.5%) 순으로 염증 매개물질인 NO・ 생성이 유의적으로 감소하였 다. 세포 내 tyrosinase 저해 활성 및 멜라닌 생합성 저해 효과를 확인한 결과, 농도 의존적으로 tyrosinase 저해 활성 및 멜라닌 생성 억제 활성을 나타내었다. 포제하지 않은 흰점박이꽃무지 추출물은 500 μ g/mL 농도에 서 α-MSH만 처리한 대조군과 비교하여 멜라닌 생합성을 90.7% 감소시켰다. 이상의 결과들은 항염이나 미백 활성이 있는 화장품 소재 개발에 포제법을 적용할 수 있음을 시사한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