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108

        101.
        2019.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NREX, an upper limb exoskeleton robot, was developed at the National Rehabilitation Center to assist in the upper limb movements of subjects with weak muscular strength and control ability of the upper limbs, such as those with hemiplegia. For the free movement of the shoulder of the existing NREX, three passive joints were added, which improved its wearability. For the flexion/extension movement and internal/external rotation movement of the shoulder of the robot, the ball lock pin is used to fix or rotate the passive joint. The force and torque between a human and a robot were measured and analyzed in a reaching movement for four targets using a six-axis force/torque sensor for 20 able-bodied subjects. The addition of two passive joints to allow the user to rotate the shoulder can confirm that the average force of the upper limb must be 31.6% less and the torque must be 48.9% less to perform the movement related to the axis of rotation.
        102.
        2015.10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Glenohumeral joint`s 를 나타내는 단순방사선 촬영법으로 전후사방향 자세에서 촬영하는 Grashey법이 있다. 이 촬 영법 자세는 선 자세에서 검사 측을 들어 올리고 촬영한다. 하지만 촬영 시 환자를 몸통을 들어 올리고 회전하는 정도 에 따라 관찰범위가 변화한다. Glenohumeral joint`s 를 가장 잘 나타내기 위한 몸통 회전 각도를 알아보기 위하여 총 20명(남:13명, 여:7명)을 대상으로 촬영을 실시하였으며, 정확한 영상의 판단을 위하여 정형외과 전문의 2명, 방사선 사 2명(경력 15년 이상자)이 관찰 평가하였다. 평가의 척도는 Glenohumeral joint`s 분리 정도의 점수를 0점은 ‘분리 안 됨’, 1점은 ‘불량’, 2점은 ‘보통’, 3점은 ‘양호’로 점수를 부여하였다. 몸통 회전 각도를 30° 인 영상은 Humerus head와 Glenoid fossa가 겹쳐서 나타났고, 35° 인 영상에서는 Humerus head와 Glenoid fossa가 약간 겹쳐서 나타났 고, 40° 인 영상에서는 Humerus head와 Glenoid fossa의 관절강이 가장 겹침이 적게 나타났고, 45° 인 영상에서도 겹침 정도가 많았다. 각 영상의 평가 점수는 30°는 0.40±0.499, 35°는 1.34±0.657, 40°는1.84±0.573, 45°는 0.76±0.649로 나타났고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다.(p < .05).선 자세에서 Glenohumeral joint`s 를 나타내기 위한 자세에서 환자 몸통을 40° 검사 반대 측을 들어 올리고 촬영하였을 경우 우리는 가장 양호한 접시오목 (Glenoid fossa)를 나타낼 수 있었다.
        103.
        2013.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이 연구는 동결견 진단을 받은 환자에 대한 한국전통 정골요법(이하 KTO)을 적용하여 통증완화에 대한 유의성 연구가 진행하였던 환자를 대상으로 통증의 감소가 견관절의 가동범위도 증가하는지를 추가적으로 확인하기 위하여 진행하였다. 대상자는 총 14명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두 개 그룹으로 나누어 7명의 실험군과 7명의 대조군으로 하여 2그룹으로 나누어 연구를 진행하였다. 7명은 KTO를 총 10회 시술하고, 7명은 시술하지 않았다. 견관절의 가동범위의경우 항목별로 살펴보면 KTO를 적용한 그룹은 가동치의 변화를 살펴보았을 때 굴곡(7.33) 신전(10.00) 외전(8.76)내전(9.05) 외회전(8.10) 내회전(10.00)의 변화가 나타났다. KTO를 적용하지 않은 그룹의 가동치의 변화를 살펴보았을 때 굴곡(4.67), 신전(7.50), 외전(7.14), 내전(9.14), 외회전(6.59), 내회전(9.31)의 변화가 나타났다. 동결견 환자에게 한국전통정골요법을 적용하면 견관절의 가동범위 증가를 가져올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104.
        2013.0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최근 자동노출제어장치에 의한 X선질 보정 및 다양한 수학적 보정 알고리즘 적용이 가능한 전산화단층촬영 장치를 이용하여 견부 강제 견인용 밴드의 사용 유‧무에 따라 영상의 질과 환자의 편의성 및 안정성 측면에서 견부강제 견인법에 대한 임상적 유용성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경부 통증을 호소하는 환자 79명을 대상으로 견부 강제 견인용 밴드를 사용하기 전‧후의 측면 투영 scout 영상과 횡단면 영상을 획득하여 횡단면 영상의 일정 크기의관심영역 내의 화소 및 평균 HU 값을 비교하여 정량적 분석을 하였고 인공물과 해상도 및 분해능에 대한 임상 영상평가를 정성적으로 분석하였으며 환자가 느끼는 불편 정도를 자가 진단 설문 평가하였다. 결과적으로 측면 투영 scout영상에서 견부 강제 견인용 밴드를 사용한 경우 묘출되는 경추의 수가 증가되었으나 횡단면 영상의 관심영역 내에서견부 강제 견인용 밴드를 사용하기 전‧후에 대한 화소 및 평균 HU 값의 변화는 거의 없는 것으로 판단되었으며 인공물과 해상도 및 대조도와 관련된 정성적 분석 결과에서 관찰자간 특이한 결과는 보이지 않았다. 따라서 견부 강제 견인용 밴드의 사용에 대한 자가 진단 설문 평가에서 환자의 82.27%는 불편함을 호소하였으며 정량적 및 정성적으로 영상의 질을 분석한 결과에서 사용에 따른 영상의학적 이점은 없는 것으로 판단되었다. 최근 다양한 수학적 보정 알고리즘에 의한 전처리 필터 과정의 적용과 더불어 절편 두께의 감소 및 자동노출제어장치 등에 의한 선질 보정 등이 가능한전산화단층촬영 장치가 보급되면서 선속 경화에 의한 영상의 잡음은 문제가 되지 않을 것으로 판단되어 영상의 질에영향을 주지 않으면서 환자에게 불편함을 주거나 추가적 위험성이 있는 견부 강제 견인용 밴드의 사용은 더 이상 임상적 유용성이 없는 것으로 판단되었다.
        105.
        2012.10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오른쪽 어깨관절에 칼텐본-에비엔즈컨셉 미끄러뜨림 등급Ⅱ와 Ⅲ으로 아래쪽미끄러뜨림적용시 위팔뼈머리의 이동거리 및 벌림각도(abduction angle)의 변화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미끄러뜨림 등급Ⅱ(Grade Ⅱ) 적용시 위팔뼈머리는 초기보다 아래쪽으로 5㎜ 가량 이동하였고 등급Ⅲ 적용시 8㎜ 가량 이동하였다. 이동거리에 대한 성별 비교에서는 남자가 여자에 비해 등급별로 이동거리가 높게 나타났으나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등급Ⅱ(Grade Ⅱ) 적용시 벌림각도는 초기보다 10°가량, 등급Ⅲ(Grade Ⅲ) 적용시 12°가량 증가하였다. 벌림각도에 대한성별 비교에서는 모든 등급별로 여자가 남자보다 벌림각도가 크게 나타났으나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본 연구를 통해 미끄러뜨림 등급 적용시 위팔뼈머리의 운동형상학적 변화를 알아보았으며 향후 추가 연구를 통해이들 변화가 주변 구조물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알아본다면 보다 과학적인 근거중심의 치료를 기대할 수 있을 것으로사료된다.
        106.
        2012.10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이 연구는 동결견 진단을 받은 환자 14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이들에게 한국전통 정골요법(이하 KTO)을 적용하여 병증의 완화가 실제 이루어 졌는지에 대한 연구를 진행 하였으며 자발적 방문을 한 환자로 구성이 되었다. 또한 약 6개월 이상의 통증을 호소하는 만성질환자를 대상으로 연구 되었다. 연구 결과 KTO를 적용 한 그룹의 경우 통증 수치가 감소되었다. KTO를 적용하지 않은 그룹의 경우 통증감소가 적었다. 이러한 결과들을 토대로 동결견 환자에게 한국전통정골요법이 미치는 효과는 유효하다라고 사료되며 정확한 적용을 위한 통일적 모델링과 효과가 증대 될 수 있는다른 치료 및 요법과의 병행이 필요 하다고 판단된다. 동결견 환자에게 한국전통정골요법을 적용하면 견관절의 운동범위 증가와 통증의 감소를 가져 올 수 있다. 그것은 발병의 원인이 너무 광범위하고 치료 방법도 정확하지 않은 현재의상황에 많은 도움이 될 것이다.
        107.
        2012.08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자기공명 관절 조영술(Shoulder MR Arthrography)는 견관절(Shoulder joint) 의 복잡한 해부학적 구조에 관하여 정확한 영상평가를 진단하기 위해 시행 한다. 우리는 어께 상완골(Shoulder humerus) 의 다양한 position인 Neutralposition, Internal rotation position, External rotation position 에 관하여 Shoulder joint의 해부학 적인 회전 변화가견관절 자기공명(Shoulder MRI) 영상에 어떤 진단적 결과를 가져오는가에 대해 상호 비교 하였다. 또한 환자의 정확한 촬영자세 유지를 위해 촬영 보조기구를 만들었다. 이 보조기구는 Modeling 설계에 의해 우리가 직접 제작한 자기공명 견관절 조영술 보조 기구이다. 이 보조기구를 사용하여 촬영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도출해 내었다. Externalrotation position 에 의한 Shoulder MRArthrography 검사가 Shoulder joint의 중요 해부학적 구조인 Biceps tendon,Supera-spiatus tendon, Sub-scapularis tendon, Labrum, Sub-acromial space 의 해부학적 평가에서 제일 적합하다는 진단적 평가를 얻었다.
        108.
        2010.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견갑골의 골절 유․무와 외상에 의한 탈구를 진단하는데 있어 견갑골의 정측면상의 영상을 얻는 것이 매우 중요하 다. 본 연구의 목적은 견갑골 측방향 촬영시 한국인 성인을 대상으로 견갑골의 정측면상을 얻는데 가장 적합한 회전 각도를 알아보는데 있다. 견갑골의 촬영을 위해 내원한 환자 20명(여 8명)을 대상으로 하였고 이들의 평균연령은 35.4 세(15세부터 66세)였다. 수동각도기의 거상각도를 30°, 40°, 45°로 하여 전 후방향 촬영하였다. 영상의 평가는 전문가 5명이 내측연과 외측연의 완전겹침이 있는 영상은 4점, 내측연과 외측연이 불완전 겹침이 있는 영상은 3점, 견갑골체 내측연과 외측연이 겹침이 없는 영상은 2점, 내측연과 외측연이 사방향으로 나타난 영상은 1점으로 4단계로 나누어 blind test를 하여 평가하였다. 평가한 각도별 평균점수는 30°가 1.53±0.39점, 40°가 3.83±0.15점, 45°가 2.17±0.43 점으로 나타났다. 또한 가 슴둘레가 100cm이상인 군과 100cm이하인 군 간에는 유의한 차이가(p<0. 05) 없었고, 남자와 여자 간에도 역시 유의 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지금까지 견갑골 정측면상을 얻는데 적합한 환자의 회전각도에 관한 연구가 없었으 나, 본 연구를 통해 검사측을 40° 회전하며 검사측 상완골을 반대쪽으로 들며 촬영하는 것이 한국인 성인에서 견갑골 의 정측면상을 얻는데 가장 적합하다는 결론을 얻었다. 본 연구 결과는 향후 견갑골의 측방향 촬영을 하는데 유용할 것으로 사료된다.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