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165

        121.
        2011.11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o establish a vessel safety management system for improving the safety of vessel's traffic and preventing vessel's traffic accidents, the state of marine traffic in the Busan South Port was investigated and analyzed as preliminary survey of the countermeasures. As a result of the study, there are 1,158 vessels in a day, 48 vessels in an hour, and the maximum traffic is about 118 vessels between 16:00 and 17:00 hours everyday, which requires to establish and operate a traffic control system necessarily for ensuring vessel's traffic safety. Furthermore, passages of tanker, passenger ship, cargo vessel and government vessel showed to sail along main traffic lane to be obtained enough sea depth at the survey area. However, passages of fishing vessel and launch showed to sail freely at all survey area owing to outstanding maneuverability and a shallow draft. Some vessels of launch sailed along main traffic lane, but other vessels crossed to sail it. The passages to cross main traffic lane is higher the risk of collision. Therefore, safety measures are urgently needed for the operation of the Busan South Port management system and the prevention of marine pollution.
        4,000원
        122.
        2011.11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이 연구는 2011년 춘계 학술대회 “다중이용선박 안전관리시스템 구축에 관한 연구”를 바탕으로 한 연구이다. 본 연구에서는 다중이용선박의 이용 및 관리에 대한 안전관리현황 분석을 통하여 문제점을 도출하고 외국의 사례 및 국내 유사 운영체제와의 비교를 통하여 대처방안을 모색한다. 나아가 다중이용선박의 안전관리 조직을 위한 단계별 추진 전략 및 법․제도적, 운영․관리적, 시스템적 측면에서 기반설계를 통하여 다중이용선박 안전관리시스템의 선진화 방안에 대하여 연구하고자 한다.
        4,000원
        123.
        2011.06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세계적으로 선박을 운항하고 있는 베트남 선박운항자 출신이 많이 있다. 일본 및 일부 선진국에서는 이러한 선박운항자의 안전이격거리를 바탕으로 안전운항지원시스템 기술이 개발되어 이를 이용함으로써 안전한 해상교통에 큰 도움을 주고 있다. 우리나 라에서는 이러한 안전운항지원시스템 개발을 위하여 우리나라 선박운항자의 안전이격거리를 조사하였고 이를 바탕으로 시스템 개 발을 진행 중이다. 그리고 이러한 안전운항지원시스템 개발을 위해 외국 선박운항자의 경우에는 안전이격거리를 어떻게 생각하고 있는지에 대해 참조할 필요성이 있었다. 이를 위해서 우리나라 선박운항자의 설문 조사시와 마찬가지로 항내, 항계 밖 그리고 선종, 총톤수, 전장, 폭, 속력, 조우 형태 및 승선 경력에 따라 어떠한 차이점이 있는지를 설문조사하였다. 설문결과 베트남 해기사가 안전거리에 대 해 국내의 선박운항자들보다 안전이격거리를 더 작게 두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3,000원
        124.
        2011.06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세계적으로 선박을 운항하고 있는 필리핀 선박운항자 출신이 많이 있다. 일본 및 일부 선진국에서는 이러한 선박운항자의 안전이격거리를 바탕으로 안전운항지원시스템 기술이 개발되어 이를 이용함으로써 안전한 해상교통에 큰 도움을 주고 있다. 우리나 라에서는 이러한 안전운항지원시스템 개발을 위하여 우리나라 선박운항자의 안전이격거리를 조사하였고 이를 바탕으로 시스템 개 발을 진행 중이다. 그리고 이러한 안전운항지원시스템 개발을 위해 외국 선박운항자의 경우에는 안전이격거리를 어떻게 생각하고 있는지에 대해 참조할 필요성이 있었다. 이를 위해서 우리나라 선박운항자의 설문 조사시와 마찬가지로 항내, 항계 밖 그리고 선종, 총톤수, 전장, 폭, 속력, 조우 형태 및 승선 경력에 따라 어떠한 차이점이 있는지를 설문조사하였다. 설문결과 필리핀 해기사가 안전거리에 대 해 국내의 선박운항자들보다 안전이격거리를 더 작게 두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3,000원
        125.
        2011.06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소득의 향상 및 연안지역 접근성 개선으로 해양관광 활동에 대한 관심증가 및 해양레저에 대한 수요가 증가하고 있으나, 해상에서의 레저선박과 인명의 안전을 위한 시스템 개발은 미비한 실정이다. 레저선박의 경우 구조안전성에 관한 규정 및 적용 기준이 명확히 정립되어있 지 않으며, 안전성 평가를 위한 시스템 개발이 전무하여 레저보트의 운항안전성 확보를 위한 레저보트 구조안전모니터링시스템의 개발이 필요 하다, 본 연구에서는 도파로 어레이 격자(AWG)와 광섬유 브래그 격자센서(FBG)를 이용하여 레저보트의 실시간 구조안전모니터링 가능한 시스 템을 개발하여 해상에서의 인명과 레저보트의 안전성을 확보하고자 한다.
        126.
        2011.06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연간 우리나라 전체 인구의 약 1/3에 해당하는 약 1,500만 명이 해상여행을 즐기고 있는 오늘날, 국민의 생명과 재산을 보호하며 안전 하고 즐거운 해상여행을 위하여 다중이용선박의 이용 및 관리에 대한 안전관리 시스템 구축 방안에 대하여 연구해 보고자 한다. 다중이용선박의 근거 법령 및 운영 기관의 현황과 해상사고 사례분석을 통하여 현재 실태 분석 및 문제점을 도출하여, 선진국 사례 및 국내 방안 벤치마킹을 통한 대처방안을 모색하고자 하며 나아가 법제도적, 운영관리적, 시스템적 측면에서 종합적인 안전관리 시스템을 설계하고자 한다.
        3,000원
        127.
        2011.06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최근 국가정책적으로 국가어항 및 지방어항에 다기능 시설이 도입되고 있으며, 지역경제 활성화와 국민의 여가생활 및 레져활동에 기여하는 바가 크다고 볼 수 있음. 그러나, 이에 따른 중소형선박의 출몰, 레져보트의 무분별한 이용행태, 지역어민과의 마찰 등 항내 혼잡도 및 이해집단과의 마 찰은 매우 증가될 것으로 예상되나, 이에 따른 대책과 올바른 방향제시가 부족한 실정임. 또한, 초보자의 선박조종 등 수역내의 입출항이 매우 혼잡할 경우 이에 따른 선박충돌 사고위험도 증가되어, 사전 안전사고 예방 및 사후 사고처리방안과 선박에서 유출될 수 있는 오염원의 신속한 차단 등이 필요할 것 임. 본 연구는 다기능 어항에서 출몰될 수 있는 선박 등의 조사와 수역을 이용하는 선박의 안전사고에 대한 원인을 분석하여 대책 방안을 제안하고자 함.
        3,000원
        128.
        2011.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선박화재는 육상화재와 달리 숙련된 인원과 다양한 장비에 의한 소화활동이 곤란하므로 거의 자체적으로 소화되어야 하므로 소화가 쉽지 않다. 화재발생시 온도 상승에 의한 사망보다 연기에 의해 질식사의 경우가 더 많다. 그 이유는 화재현장에서 충분한 가시거리를 확보하지 못하여 신속하게 피난하지 못하기 때문이다. 이 연구에서는 피난에 필요한 시간을 좀 더 확보하기 위해 선박 거주구역의 높이를 기존의 2.0m에서 공동주택(아파트)의 높이에 해당하는 2.3m로 상향하여 연기거동을 상호 비교하였다. 비교 방법은 기존의 실습선 한바다호의 도면을 바탕으로 30cm 상향조정된 도면을 추가 제작하여 미국의 NIST에서 제작 운용중인 FDS를 이용하여 시뮬레이션을 실시하고 결과를 예측하였다. 온도에 의한 피난 안전시간을 예측한 시뮬레이션 결과, 화재구역에서 10m 떨어진 지점에서 피난 안전시간은 55.8초 증가하였다. 가시거리에 의한 피난 안전시간을 예측한 시뮬레이션 결과, (1) 화재구역에서 10m 떨어진 지점에서 피난 안전시간은 27.1초 증가하였고, (2) 화재구역에서 20m 지점에서는 피난 안전시간이 109.2초 증가하였으며, (3) 화재구역에서 30m지점에서는 피난 안전시간이 73.3초 증가하였다. 즉, 선박의 거주구역 높이를 육상건축물과 동일하게 할 경우 승무원의 피난안전성이 증가하는 것으로 예측되었다.
        4,000원
        129.
        2010.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해상에서의 선박운항자는 선박을 운항 중 장애물 혹은 타선에 대하여 적정한 이격거리를 두고 항행하고 있다. 다시 말해 시정 상태, 풍속, 조류 등에 따라 선박 전 후 거리, 좌 우현 정횡거리를 주관적인 안전 의식에 근거하여 이격하여 통항하고 있다. 현재 우리나라에서는 통항 선박 간 최소 안전이격거리 개념을 1980년대 초 외국에서 조사된 자료로 사용하고 있고, 항계 내(제한수로)와 항계 밖의 통항 선박의 안전거리가 상이함에도 불구하고 구분 없이 사용되고 있다. 또한 선박 조종학적 안전거리는 선박 전후 거리보다는 선박 측면거리가 중심이며, 선박 종류에 따라 최소 안전이격거리가 상이하지만 고려되고 있지 않은 실정이다. 따라서 이 논문에서는 상황에 따른 선박운항자의 안전 의식을 고려한 적정 이격거리를 정량화하여 해상교통안전성 평가모델의 충돌 판정 영역 개발을 위한 기초 자료로 활용하고자 하고, 우리나라에 적합한 해상교통 혼잡도 모델 개발 및 상황 선박별 해상교통관제에 필요한 가이드라인으로 이용할 수 있는 기초자료를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연구결과, 시정이 양호한 주간의 경우 선수전방 4.4 L, 선미후방 3.1 L, 정횡 2.6L로 기존에 사용되고 있는 최소 안전이격거리와는 차이가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으며 시정 및 주야간 등과 같은 파라미터를 다양하게 고려하였다.
        4,000원
        130.
        2010.11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project which was used in KOICA Funds took into account international standards and relevant system of ship safety management through feasibility study and establishment of the ship safety management system and transfer of the ship survey skills and training of relevant government officers from 2007 into 2008. As a consequence, it resulted in the prosperity of maritime technology for ship construction, ship design and ship survey system and improvement of the relevant regulatory system of ship safety management, in particular, in the field of a registration system for fishing vessels and domestic ship survey system. This paper introduce the successful project through the technical cooperation and transfer in the fields of maritime safety and environment between the Republic of Korea as a member of A group Council of IMO and the Algeria in Africa which recently carry out the large scale of a following project.
        3,000원
        131.
        2010.11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컴퓨터 비젼을 이용하여 해상에서 항해하는 선박의 항적 계산 및 교통량 측정은 인명과 재산을 보호하고 해양사고를 예방하기 위하 여 사고발생 가능성 여부를 미리 시뮬레이션해 볼 수 있어 아주 유용한 방법이다. 본 논문에서는 컴퓨터 비젼을 이용하여 영상축소, 미분연산자, 최소 최대값 등을 이용하여 선박을 인식한 후 실세계 상에서의 좌표 값을 계산하여 전자 해도에 표시함으로서 해상 구조물과의 충돌여부를 직 접 육안으로 확인 할 수 있 있는 알고리즘을 개발하였다. 본 논문에서 개발된 알고리즘은 영역 정보를 기반으로 개발되었기 때문에 점 정보에 의존하고 있는 기존 레이더 시스템의 단점을 보완하는 장점을 지니고 있다.
        3,000원
        132.
        2007.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해월송전선의 해상고에 의하며 선박의 항로가 제한되는 해역에 있어서, 해월송전선에 관하여 현재 알 수 있는 정보는 아주 제한적인데, 주어진 정보를 토대로 송전선철탑들 사이의 임의의 위치에서도 해월송전선의 해상고를 알아낼 수 있는 방법을 제시하였다. 그리고 해월송전선의 하부를 선박이 항해할 경우의 안전성을 평가할 수 있는 방법론적 모델을 제시하였다. 실제 표본선박이 항해한 궤적을 조사하여 통계처리를 한 결과, 선박이 안전통항구간을 벗어날 확률은 약 0.00001 정도로 밝혀졌다. 따라서 네델란드 응용과학연구소의 보고서에 의한 안전기준(항만 내, 방파제 입구 부근에서는 0.0001 이하이면 안전하다고 판단.)보다 10배 정도 더 안전하다고 판단된다.
        4,000원
        133.
        2004.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1970년대의 해기사들의 선박의 안전에 대한 비판과 연구에서 문제를 제기한 후, 오늘날 국제해사기구(IMO)를 비롯하여 선박안전 평가 방법의 개발과 소개가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다. 선박안전의 상당부분이 인적과실에 기인하여 이에 대한 고려 요구가 높아지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선박안전평가 방법의 개요를 살피고 인적과실의 구조 인식을 통한 문화적, 교육적 영향인자에 대해 고찰함으로써 선박안전성 제고에 기여하고자 한다.
        4,000원
        134.
        2003.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최근 우리나라는 육지와 도서 및 도서간을 연결하는 해상교량을 건설하는 공사가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다. 이러한 교량은 보통 그 하부를 선박이 통항하기 때문에 건설 이전에 통항 선박의 안전성을 충분히 검토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건설예정에 있는 목포대교를 사례로 하여 교량하 통항 안전성을 검증한다. 이를 위해 인접 수로의 특성을 분석하고 교량하 통항 안전성에 관한 문헌을 검토한 후 선박 조종 시뮬레이터를 이용하여 그 타당성과 안전성을 평가한다.
        4,000원
        135.
        2001.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prevention of marine accidents has been a major topic in marine society and various policies and countermeasures has been developed, applied to the industries. Formal Safety Assessment is a structured and systematic methodology, aimed at enhancing maritime safety, including protection of life, health, the marine environment and property, by using risk and cost-benefit assessments. In addition, it provides a means of being proactive, enabling potential hazards to be considered before a serious accident occurs. In this paper, we has been screening and ranking of hazards using fuzzy structural modeling method and quantitative risk assessment for the ship's collision in the last 10 years marine accidents.
        4,600원
        136.
        1998.07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5,700원
        137.
        1998.07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Generally, the navigational safety of a ship under various loading conditions is evaluated by a loading manual. However, the loading manual handles only statical factors such as weight and buoyancy of ship without including any wave conditions. Practically ship's safety is much concerned with the occurrences on the rough sea as propeller racing, rolling, deck wetness, vertical acceleration, lateral acceleration, slamming and so on.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present a synthetic and practical evaluation method of navigational safety using the integrated seakeeping performance index(ISPI) under loading conditions of ship in seaways. The method is calculated by means of the ISPI by measuring only vertical acceleration. Judgement of dangerousness is carried out for four lading conditions : homogeneous full loaded, half loaded, heavy ballast loaded, and normal ballast loaded conditions. In developing the practical evaluation system of navigational safety, it is useful to solve the difficulties in measuring factors by sensors. And by applying the evaluation diagrames, navigators are able to avoid dangerousness by keeping away of the danger encountering angle of wave direction which the diagram shows.
        4,000원
        138.
        1998.07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Marine casuality causes not only loss of lives and ships, but also severs damages to marine environment and related economic activities such as fishing industry, sea farming, and tourist industry. Basically, the great effort should be made to prevent the occurrence of maritime accidents by any means. However, once accident has occurred, the salvage works should be done rapidly and properly based on theoretical and technical informations, which could minimize the risk during salvage operation and the overall damage from the maritime accidents. Generally, to calculate accurate hydrostatics of a stranded ship, a large amount of input data is needed. But, an availability and a reliability of input data cannot be guaranteed in most situations, and the adequate time required for preparing all input data is not allowed to perform the timely operations of salvage. In this paper, the development process of simple computer program for salvage operation using limited input data is introduced and its application example is presented. This program was developed to provide technical support for planning salvage operations in the grounding accident.
        4,000원
        139.
        1997.01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It is well known that simulation study in the preliminary design stage of harbors or berths is of great use, since it can provide helpful informations to the designer from the view point of ship navigations. In this paper, a brief review is made in the safety assessment of ship navigation for a 320,000 DWT VLCC entering Yecocheon harbor area, which is carried out by shiphandling simulator system. The geographic data base for the harbor as well as the mathematical models of the ship and environmental effects are designed and developed. Based in the on-site inspections and interviews with pilots in Yeocheon area, basic maneuvering plans and consistence with real operation conditions. Berthing and deberthing maneuvering simulations as well as approaching and departing simulations are carried out by 3 experienced navigators according to the maneuvering plans and environmental scenarios. The simulation results are analysed in various ways to evaluate the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maneuvering difficulties and thereby to assess the safety of ship navigation in that area.
        5,400원
        140.
        1995.01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Although the studies carried out in recent years have provied much new information about channel widths and alignment, they are not consistent in their results. In addition, as a result of variations in local condition and type of traffic accommodated, the dimensions of the channel widths vary over a wide range. Therefore, the recommendation made by the maritime engineering organizations over the world, do not offer detailed and decisive optimal design criteria and are all different. It, therefore, was attempted in this paper to draw a decisive guideline on the optimal widths and alignment of the navigational channels, which can be utilized by the port designers at the stage of the planning. The guideline was drawn through the comparison and analysis of the existing guidelines of the U.S.A, Japan and PIANC and simulation experiment. The simulation experiment was carried out using the "Off Line Port and Waterway Design Simulator" to find the optimal dimensions of the widths of the navigational channels. 90 different simulation runs were conducted at the 3 different secenario channels. New guidelines, the result of the study, is expected to be used usefully by the Korean port designers when designing the rapodly developing ports in Korea. in Korea.
        5,100원
        6 7 8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