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544

        124.
        2006.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마우스의 성숙 난자와 수정란의 유리화 동결을 위한 CPS, 기존 straw 및 OPS 방법의 효과에 대하여 비교하였다. 마우스 난자의 유리화 동결-응해 후 형태학적인 생존율을 조사한 결과, CPS (75%)와 기존 straw(72%)법이 OPS(68%)법에 비해 유의적으로 높은 생존율을 나타내었다(p<0.05). 과배란 처리 후 채란한 2-세포기 마우스 수정란을 유리화 동결-응해하여 일간 배양한 다음 수정란의 배 발달 상태를 비교한 결과, 동
        4,000원
        125.
        2006.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개 체외성숙 난자를 안정적으로 생산하기 위하여 채취시기, 난구세포 부착 여부 및 배양액에 EGF와 호르몬을 첨가 후 배양했을 때 체외성숙율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1. 미성숙 난포란을 TCM-199 배양액에서 24, 45시간 배양했을 때 체외성숙율은 각각 7.93%, 8.94%로서 48시간 배양했을 때 가장 높은 체외성숙율을 나타냈다. 2. 휴지기, 난포기, 황체기에 채취한 난소로부터 회수한 난자를 20 ng/ml의 EGF가 첨가된 TC
        4,000원
        126.
        2006.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개 난자의 체외성숙과 체외수정을 통해 수정란을 획득하기 위하여 개 난소를 채취하여 난자의 형태, 난소의 채취시기 등이 체외성숙과 체외수정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기 위하여 수행하였다. 1. 난구세포 부착 및 미부착 난자를 48시간 배양했을 때 체외 성숙율은 였다. 난구 세포 부착 난자의 체외 성숙율이 미부착 난자의 체외 성숙율보다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다(p>0.05). 2. 난소를 휴지기, 난포기 및 황체기로 구분하여 난자를 회수하여 배양했을 때 체외 성
        4,000원
        127.
        2006.03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체외성숙 배지에 첨가하는 PVP의 농도, EGF, cysteine 및 PVP의 단독 또는 혼합첨가가 한우 체외수정란의 체외발생에 미치는 영향을 검토하였다. 체외성숙 배지에 PVP의 첨가농도(0.1~3.0%)에 따른 분할율은 차이가 없었으나, 배반포 발달율은 0.5% PVP 첨가군이 가장 높았다(P<0.05). PVP, EGF 및 cysteine의 단독 및 혼합 첨가에 따른 분할율은 cysteine 단독첨가군이 높았으나(P<0.05), 배반포 발달율은 차이가 없었다. Inner cell mass 수는 대조군과 cysteine 첨가군이 PVP 첨가군에 비하여 유의하게 높았고(P<0.05), 총 세포수도 cysteine 첨가군에서 가장 높았다. 수정란이식 결과는 대조군, EGF, cysteine 및 EGF+cysteine 군의 임신율은 46.1~63.6%로서 비슷하였으나, PVP 첨가군은 10%로서 다른 군에 비하여 유의하게 낮았다(P<0.05). 본 연구 결과는 체외성숙 배지에 PVP의 첨가로 배 발생은 가능하지만, 세포의 품질에는 악영향을 미치는 것을 보여준다.
        4,000원
        128.
        2006.03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호르몬과 Na-pyruvate의 첨가가 개 미성숙난자의 체외성숙에 미치는 영향을 검토하였다. 개의 발정주기와 관계없이 암캐의 난소에서 회수한 난자를 NCSU-37 배양액에서 72시간 체외 배양하였다. 호르몬의 영향을 검토하기 위하여 배양액 중에 다양한 호르몬을 24{sim}72시간 첨가하여 성숙율을 검사하였으며, Na-pyruvate 첨가 농도의 영향을 검토하였다. E2 단독 첨가구에서는 제2감수분열 중기(MII) 단계까지 성숙이 관찰되었으나(5.7%), 타 처리구에서는 MII기까지의 성숙이 이루어지지 않았다(P<0.05), E2를 6~24시간만 처리하였을 때는 MII기로 성숙되는 난자가 없었으나 72시간 처리하였을 때는 6.0%로 유의적으로 높게 나타났다(P<0.05). Na-pyruvate의 농도를 0.25 mM 첨가한 구보다 2.5 mM 첨가한 구에서 제1감수분열 중기(MI) 단계까지의 성숙율이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으나, MII 단계까지의 성숙율은 차이가 없었다. 본 실험의 결과는 개 난자의 체외성숙시 E2가 첨가된 배양액에서 72시간 배양시에 성숙율을 증진시킬 수 있으나, Na-pyruvate의 농도는 개 체외배양에 있어 큰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을 나타낸다.
        4,000원
        129.
        2005.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한우 난구 복합체의 체외성숙에서 OA가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조사하였다. 도축 한우암소의 난소로부터 난구 복합체를 채취하여 PVA-TCM199로 3회 이상 세정 후 PVA-TCM 199, 0.2 uM, 2 uM, 20 uM OA를 각각 첨가하여 공기, 에서 6, 12, 24시간 동안 체외성숙을 실시하였다. 또한 체외성숙시 cycloheximide(CX)와 OA와 체외성숙 효과를 확인하기 위하여 0.1M-PVA TCM199, CX 25 ug/m
        4,000원
        136.
        2005.09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한우 난포란이 체외성숙된 환경의 변화를 단백질 측면으로부터 검토하기 위하여 체외성숙 배지와 세포질내 단백질 변화와 종류를 검토하였다. 그 결과 배지 내의 단백질 발현량은 배양 4.5시간째까지 감소하였고, 배양 13.5시간째까지는 변화가 없었다. 그러나 배양 13.5~18시간 사이에 증가한 후 배양 18시간 이후에 다시 감소하는 경향이었다. 세포질내의 단백질 발현량은 배양 4.5시간째까지 증가하였고 배양 9시간째까지 급격히 감소하였다. 배양 9시간째부터 18시간째 까지는 단백질 발현량이 유사한 경향이었으나 배양 18시간째부터 24시간째까지 다시 증가하였다. 한편 체외성숙한 배지와 세포질을 2차원 전기영동하여 각각 298개 및 35개의 단백질 spot을 확인하였고, 그 중 배지에서는 28개, 세포질에서는 5개의 spot이 유의적인 변화를 확인하였다. 이들 spot 대한MALDI-TOP분석으로 배지와 세포질에서 각각 8개 및 1개의 단백질을 동정하였다. 그 종류는 aldose reductase, alpha enolase, apolipoprotein A-1 precursor, 43M1a collectin precursor, heat shock 27kDa protein, plasminogen activator inhibitor-1 precursor, thrombospondin 1 transitional endoplasmic reticulum ATPase 및 β-tubulin이었다.
        4,000원
        137.
        2005.09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배양액의 종류에 따른 돼지 난자의 성숙 및 단위발생란의 배반포 형성율을 검토하였으며, 배양액의 삼투압과 발달 시기에 따른 배양액의 삼투압 변화가 돼지 단위발생란의 발달에 미치는 영향을 검토하였다. 실험 1에서 난포란을 NCSU-23 mWM 및 mKRB에 각각 성숙배양한 결과 성숙률은 62.1~71.3%로 배양액에 따른 차이가 없었다. 실험 2에서는 각각의 배양액으로 성숙된 난자를 활성화 처리 후 동일한 배양액으로 6일간 배양하여 발달율을 검토한 결과, 배반포 발육율은 NCSU-23에 배양 시 22.9%로 타 그룹(0~0.6%)보다 유의적으로 높게 나타났다(P<0.05). 실험 3에서는 단위발생란을 NaCl 안에 의해 256, 280 및 300 mOsmol(mOsm)로 조정한 NCSU-23에 6일간 배양한 결과, 배반포 발육율은 11.0~14.4%로 실험군 간에 유의적인 차이는 없었으나 삼투압이 낮을수록 난자의 fragment 비율이 높게 나타났다(P<0.05). 실험 4에서는 단위발생란을 삼투압이 조정된 세 종류의 NCSU-23에 48시간 배양한 후 삼투압이 높거나 낮은 NCSU-23으로 옮겨 4일간 추가 배양한 결과 배반포 형성율은 배양 48시간 후에 배양액의 삼투압을 낮춰 주었을 때(21.0%)가 높여 주었을 때 (11.8%) 보다 유의적으로 높게 나타났다(P<0.05).본 실험의 결과는 돼지 단위발생란의 발육이 배양액의 종류 및 삼투압에 의해 영향을 받으며, 배양액의 삼투압은 돼지 단위발생란의 발육 단계별로 영향을 주어, 초기에는 높은 삼투압의 배양액에서 배양하고 일정 시간 후 낮은 삼투압의 배양액으로 배양함으로써 발육이 증진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
        4,000원
        138.
        2005.09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139.
        2005.08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NCSU-23과 PZM-3 배양액에 EGF, 와 glucose의 첨가가 돼지 난자의 체외성숙에 미치는 영향과, 배양조건을 다르게 하여 계대배양한 섬유아세포를 이용한 핵이식 배를 다른 배양액과 산소조건에서 배양하였을 때 체외발생율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난자를 20ng/ml EGF를 첨가 또는 첨가하지 않은 NCSU-23 및 PZM-3 배양액에서 44시간 배양하였을 때 난자의 체외성숙율은 각각 와 였으며 EGF를 첨가한 배양액에서 배양한
        4,000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