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148

        128.
        2006.11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is study aims at analyzing relationships between land use and habitat types of winter wildbirds to provide basic understanding of ecosystem for preservation and restoration of urban ecosystem in the future. The research area is Hanam City. Researches on land use types showed Hanam City had 79.1% of greenspace and openspace, but intensive urban development has been taking place in greenspace that is adjacent to urban districts. This has brought the problems of lack of greenspace in urban districts and damages to cultivated areas and grassland. A total of 61 and 8,642 populations of winter wildbird species were observed in research areas. Paradoxornis webbiana(16.91), Passer montanus(11.93), Pica pica(6.88) were dominant species. When they were divided according to habitat types, 20 species of interior species, 8 species of interior-edge generalist species, 12 species of edge species and 3 species of urban species were observed. When which land use type was mostly served as wildbirds habitats was examined, urban species(3 species and 290 populations) was a dominant species in urban districts while in greenspace and openspaece, water species(19species and 3,075 populations) including winter migratory birds was. Among greenspace and openspaece, edge species was dominant in forest while urban species was a dominant species in cultivated areas. This shows there is a need to improve diversity of wildbirds through restoration of cultivated areas in the central part of Hanam City.
        134.
        2003.06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수천 년 전부터 인간생활에 이용되어온 일라이트-운모는 다른 광물자원에 비하여 사용량은 많지 않지만, 요업, 도료, 종이, 건축용 재료, 화장품 소재 및 전자부품과 전기 재료 등 여러 산업 분야에 널리 사용되고 있다. 일라이트-운모는 광물학적으로 같은 계열의 광물군임에도 불구하고 산출상태, 입도 및 용도의 차이에 따라 다른 광물자원으로 취급되고 있다. 특히 국내에서 일라이트는 용어상의 혼란과 불명확한 법정 등록광종 때문에 효율적인 자원관리와 연구개발이 곤란한 실정이다. 그러므로 일라이트를 비롯한 점토광물 자원에 대한 광업법규상의 개선과 제도적 정비가 시급히 요구된다. 국내에서 개발되고 있는 일라이트-운모의 광석 유형은 그 광물상과 산출상태에 따라 페그마타이트상 백운모, 운모편암상 백운모, 납석상 일라이트 및 점토상 일라이트로 구분된다. 일라이트와 운모는 서로 다른 용도로 사용되고, 그 용도에 따라 그 품위 및 품질 개념이 다르다. 일라이트-운모 광석의 품위 및 품질 면에서 가장 기본적인평가방식은 (1) 육안 및 편광현미경 관찰, (2) X-선회질 분석 및 (3) 화학분석인 것으로 생각된다. 특히 리트벨트법을 응용한 X-선회질 정량분석법은 일라이트의 품위를 산정하는데 유력한 수단이 될 수 있을 것으로 여겨진다. 국내 일라이트-운모 자원의 자원잠재성과 부가가치를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광석에 대한 정확한 품위 평가를 바탕으로 가장 적절한 이용 분야를 모색해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138.
        2002.12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일본은 기후적으로도 쌀의 생산에 적합하며 쌀은 일본의 주곡이다. 1893년 국립농업연구소가 설치된 이래로 쌀은 품질과 단보당 생산량이 꾸준히 개선 되어와 1/6의 노동시간으로 생산량은 2.5배의 증가 를 가져왔다. 이러한 진전은 재배방법의 개선, 비료, 농약, 재배기술, 기계화, 관개배수, 농지개량 등의 요인들로 볼 수 있다. 현재 일본에서 생산되고 있는 주요 쌀 품종으로 는 묘시히카리 (35.5%), 히토메보레 (9.7%), 히노히카 리 (9.0%), 아키다코마치 (8 .5%), 키라라(4.8%) 등 10 여 품종이며 최근에는 형질전환 품종의 연구와 함 께 생물공학적 연구, 생리, 품질, 곤충과 잡초, 토양, 식품가공 등 기본적인 연구에 심혈을 기울이고 있 다. 새로운 형태의 쌀 품종으로는 냉동조리쌀밥, 초밥, 레토르트룡 쌀 등 가공용으로 적합하도록 하기 위하여 아밀로오즈의 함량을 5-15%로 낮춘 쌀이나 카레, 필라프, 튀김 쌀 등의 용도에 적합하도록 아 밀로오스의 함량을 30% 이상으로 높인 쌀 뿐만 아니 라 곡립의 크기와 길이 등을 변형시킨 쌀, 유색미, 향미(香米), 단백질 함량 조절 쌀, 거대 배아미, lipxygenase 활성을 없앤 쌀, 단맛나는 쌀 등이 연 구, 생산되고 있다. 일본에서의 쌀이용은 먼저 가공용 쌀을 들 수 있 다. 밥, 청주, 스댁, 쌀가루, 미소발효 등 다양하게 이용이 되고 있으며 parboiled rice와 이의 색과 향을 개선한 converted rice, 현미를 이용한 가공쌀, 쌀빵, 현미가루,세척미,쌀국수,쌀스댁,당과,죽,짧은 채소아 함께하는 타키코미고한, 초밥, 냉동쌀밥, 무 균포장밥, 건조밥, 즉석밥 등 매우 다양하다.
        139.
        2002.12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쌀은 중국에서 중요한 식량작물로 체9차 5개년 으로 소비되었다. 계획 (1966-2αm년) 동안 재배면적 3 1.4백만 ha이며 생산량은 단위 ha당 6,303kg으로 198백만톤에 이르 며 이는 재배면적으로는 식량작물의 27.7%, 그리고 생산량으로는 전체식량작물의 40%를 각각 점하고 있다. 이러한 재배면적과 생산량은 각각 세계전체 면적과 생산량의 20.7%와 33.7%를 차지하는 많은 량이다. 중국의 남부지역은 전지역의 73 .5%가 이모 작으로 재배되며 주품종은 Indica이다. 중국의 중부 지역은 이모작과 일모작의 재배형태가 2:3으로 공 존하고 있으며 양쓰강 이북은 주로 일모작의 형태 이다. 중국의 쌀 재배면적은 1960년대 이후 점차 증 가하다가 1980년대 후반부터 정체되었다가 최근 90 년대 말에 이르러서는 재배면적의 감소가 가속화되 고 있으나 단보당 생산량은 푸준히 증가하고 있다. 2001 년 중국의 쌀 소비량은 138백만톤으로 이의 85.2%는 식량용으로, 5.8%는사료용으로, 1.3%는 가 공용, 1. 5-2.0%는 수출용으로 그리고 1.2%는 종자용 쌀은 중국에서 중요한 식량작물로 체9차 5개년 으로 소비되었다.WTO체제에 들어서도 중국의 쌀 생산에는 크게 영향을 받지않을 것으로 여겨지는데 그 이유로는 충분한 생산능려과 자급률, 쌀의 낮은(4%) 국제교역 비율, 총생산량에 대한 낮은 쿼터비율 등을 들 수 있다. 그러나 WTO체제 가입에 따른 압력 또한 존 재하는 것이 사실인데 그것은 낮은 품질, 국제가격 보다 높은 국내가격 등을 들 수 있다. 향후 중국 쌀의 발전적 전략들로는 쌀의 안정적 발전을 지속하는 일, 쌀 재배구조 조정과 함께 높은 미질을 가지는 품종육종, 기계화를 비롯한 정작기 술의 발달, 쌀과 부산물 가공기술의 개발연구, 특정 기능을 함유하는 유전공학적 기술의 적용, 토지와 도시화 그리고 식량순환에 시스템의 개혁 등 과학 기술을 고양하는 일 등을 들 수 있다.
        6 7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