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 this paper, developing of a pool cleaning robot is addressed. First, we analyze commercial pool cleaning robot mechanisms, and the merits and demerits of wireless version of a pool cleaning robot is introduced. And then the water-jet moving mechanism for a pool cleaning robot is proposed to improve energy efficiency and mechanical design advantage, which is one of the strong candidates for wireless pool cleaning robots. Next, the method of cleaning performance evaluation of pool cleaning robots is firstly defined with five key factors, and it was verified by experimental results. If the cleaning performance can be quantitatively defined, we can design optimally a pool cleaning robot, which results in the cost down.
본 연구 (II)에서는 앞선 연구 (I)에서 개발된 지표 및 지표하 유출해석 모듈의 적용성과 수치해석적인 안정성에 대한 분석하였다. 개발 모듈의 유출해석에서 기존 강우-유출해석 모형에 비해 특징적인 침투해석에 관한 모의를 위해 침투해석 방식이 서로 다른 FFC2Q모형과 VfloTM을 비교대상으로 선정하여 동일한 투수층 유역에 적용하여 모의 결과를 비교분석해 보았으며, 강우의 크기와 토양의 유효토심 및 강우발생시점부터 강우종료 후 경과시간에 대한 모의조건을 설정하여 개발모듈의 적용성과 해석결과의 안정성을 검토해 보았다. 이상의 테스트에서 본 연구의 개발 모듈은 침투과정을 물리적으로 나타내는 전형적인 형태를 잘 나타내었으며, 토양조건 별 포화시점도 상이하였고, 수두가 증가되는 기울기도 다르게 구현함으로써 토양별 특성치를 비교적 잘 보여주었다. 또한, 강우강도가 유출에 미치는 영향과 시간분포에 대한 모의결과도 잘 반영하였으며, 마지막으로 타 모형과의 비교결과에서도 강우-유출해석에 대한 정확도가 높게 평가될 만한 결과를 도출하였다.
유역내에서 발생하는 유출은 지표 유출과 지표하 유출이 있으며, 서로 상호작용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일반적으로 지표와 지표하 둘 중 한 가지 알고리즘으로 해석이 힘든 유역에 대해 지표와 지표하 사이의 동적인 관계를 상세하게 모의해야 하는 경우 상호작용에 관한 요소를 고려하여야 한다. 동적인 상호작용 시스템의 구동에서는 시·공간적인 매개변수가 중요하며, 적절한 모의를 위해 시·공간적인 매개변수는 시스템 상에서 지표와 지표하 항에 대한 복합적인 메카니즘으로 구성되어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지표 및 지표하 유출의 상호작용에 관한 알고리즘을 위해 2차원 확산파 방정식을 이용하여 지표 유출을 해석하고, Darcy의 법칙과 Dupuit-Forchheimer의 가정을 이용한 Boussinesq 방정식을 적용하여 포화상태의 지표하 유출의 알고리즘을 구성하였다. 커플링 방정식으로 공간에 대해서는 유한체적법을 사용하고, 시간에 대해서는 Crank-Nicolson 방법을 이용하였으며, 지표와 지표하 흐름의 상호작용에 대해서는 질량보존의 법칙에 기반하여 구성하였다. 이상의 과정을 통하여 지표 유출해석, 지표하 유출해석, 상호작용, 수치해석 부분의 4가지 주요 모듈을 만들었으며, 4가지 주요 모듈을 통합하여 복합유역의 지표 및 지표하 유출해석 모듈을 개발하였다.
This study aims at choosing indicators to measure the effect of utilizing biotop map, and analyzing its effect by an indicator from the perspective of performer. The Primary performance indicators are made through specialist survey using SMART. As a result, three indicators are chosen: “Discussion of the period of an environmental effects evaluation(reduced effect)”,“Plan and execution of environment and ecology plan in an urban development site”,“Minimizing ecological damage in an urban development.” The result in each indicator is as follows. The indicator of discussion of the period of an environmental effects evaluation(reduced effect), the average reduction rate in statistically meaningful level reduced 6.08% and 11.64% respectively in 2004-2005. In this period, environment information system was established and the reduction effect is shown in this period by reinforcing environment effect estimation using biotop map. As to the indicator of utilizing biotop map in an urban development site, the Seongnam P site case shows that biotop map was used when they set up an development plan. In case of minimizing ecological damage in an urban development, the Gwangjingu G-dong case shows that it was used to appoint preservation sit, and mediate development restrict area.
Accordingly, the biotop map utilizing effect is confirmed through core performance indicators and verification of the indicators using SMART. The further research is encouraged to find evaluate indicators and verify the effect quantitatively to increase the use of biotop map.
기존 화물유통촉진법의 도시물류기본계획은 물류정책기본법의 지역물류계획이라는 명칭으로 변경되었으며, 그 내용도 지역물류산업과 지역민의 경제여건, 생활여건을 개선 지원해 가는 방향으로 조정되었다. 그러나 조정된 물류정책기본법에서도 아직까지 현실과 지역 상황에 맞는 목표의 설정과 이를 실현하기 위한 추진계획, 그리고 이 추진계획들을 과학적인 평가 지표를 통해, 평가 및 개선을 피드백 할 수 있는 시스템적인 체계가 구축되어 있지 않다. 이에 본 연구는 기존 지역의 물류기본계획들을 검토하고, 향후 인천시가 지역물류기본계획을 수립하는데 필요한 지표개발을 통해 중장기적으로 효율적인 지역물류기본계획을 운영하고 관리하는데 일조하고자 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indicators for low carbon planning in rural village. We made two indicators for inland area and waterside area to consider regional disparities. To develop indicators, a draft of the indicators was estimated with collected research materials and 52 experts reviewed this draft three times with Modified Delphi Technique to check the validity and revise the draft. As a result, the inland indicators were settled with 4 domains 8 items 20 indicators and the waterside indicators were 4 domains 8 items 22 indicators. The final indicators will be used to realize low carbon rural village planning in future which the government is pushing forward with construction of six-hundred low carbon green village.
본 연구에서는 기후변화 요소를 반영하여 홍수취약성지표 (Flood Vulnerability Index, FVI)를 개발하였고 이를 북한강 유역의 6개 중권역에 적용하였다. 기후변화 요소를 고려하기 위해 IPCC의 CGCM3 모형의 A1B와 A2 시나리오를 이용하였고 일단위로 축소화하기 위해 SDSM (Statistical Downscaling Model) 모형을 이용하였다. 홍수취약성 인자를 선정하기 위해 지속가능성 평가모형인 추진력-압력-상태-영향-반
산업화 및 도시화의 급속한 진전에 따라 도시통행량이 증가하고 있으며, 이러한 도시교통의 양상은 짧은 시간내에 많은 양의 눈이 내리면서 교통혼잡과 극심한 정체로 이어져 심각한 교통대란을 야기시키기도 한다. 이처럼 강설시의 원할한 통행을 도모하기 위한 방안의 하나로서, 도로의 구조 및 도로상의 다양한 위험요소들이 강설시의 차량통행에 어떠한 영향을 끼치는지에 대한 분석이 필요한 시점이며,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강설시 도로위험구간을 도출하기 위한 분석틀의 설정 및 중요도분석을 통해 보다 객관화된 지표를 선정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1)평가지표의 개발을 위해 표적집단면접(FGI) 및 전문가 브레인 스토밍을 거쳐 최종 평가지표(지리·지형특성, 도로시설, 도로기하구조, 교통특성)를 도출하였으며, 2)도출된 평가지표들을 토대로 AHP분석을 실시하여 각 평가항목별 가중치를 산정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 평가항목 측면에서 보면, 4가지 평가지표 중 교통특성이 강설도로 위험구간 선정시 가장 중요한 항목으로 도출되었는데, 이는 일반적인 시설이나 지리적인 특성보다는 강설시 가장 위험한 것이 교통량이나 대형차와 같은 교통적인 특성이라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지하수의 지속가능개발량을 산정하기 위해서는 유역 내에서 지하수 개발에 따라 시공간적으로 끊임없이 변화하는 하천과 대수층의 상호흐름을 포함한 물 순환계의 유동을 모의하여야 한다. 유역 단위의 지하수 함양 및 하천-대수층 상호흐름 특성을 모의하기 위한 강우-유출모형으로 탱크모형과 SWMM 모형을 선정하였다. 토양저류구조 표준3단 탱크모형을 하천과 대수층의 상호흐름을 모의할 수 있도록 개선하였다. 오차의 비등분산성을 고려하기 위한 분산함수를 가진 최우도추정법
This study has intended to elicit the definition of rural landscape, to classify rural landscape type, and to develop the evaluation indicators of rural landscape, meeting the definition through delphi expert survey method. The survey was performed five times for 80 days by 20 experts. The delphi expert survey asked experts as follows: 1) to fill out open-ended questions regarding the definition of rural landscape, and classification of rural landscape types, and evaluation indicators; 2) to provide their own feasibility evaluation regarding the results of the previous answer; and 3) to reevaluate the feasibility of the definition, types, and indicators. Based on the survey results, this study has found the appropriate definition of rural landscape like the comprehensive complex of physical (objective) and nonphysical (subjective) factors characterizing natural and/or artificial scenary of rural village itself Also, this study has developed the evaluation indicators of rural landscape in accordance with space types and landscape units classified. The developed indicators included areal ratio, the degree of green naturality, the building coverage ratio for physical landscape field, and skyline, landscape adjectives, color landscape, semantic scale.
The promotion of walking and bicycling is recently a hot topic in the urban planning and design field. Many planners have already examined the many components of the land use-transportation connection and built environment-physical activity link. A rapidly growing area of urban form research is to measure the level of walkability in urban environments. With this background, this research conducted a preliminary study to develop the evaluation indicators of pedestrian environments. Based on the literature reviews on walking or pedestrian environments, we proposed the seventeen indicators related with pedestrian facilities, road attributes and walking environment. We also performed a questionary survey to evaluate the satisfaction of their neighborhood pedestrian environments for 302 randomly selected adults living in the City of Changwon, Gyeongsangnam-do. Finally, this research provided the valid model to evaluate the effects of physical environmental factors on the walking satisfaction using factor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In terms of the indicators by the type for the landscape plan per the district nit, geographic ecology indicators were the items such as water, water system, topography and climate, while biological ecology indicators were the items such as green zone size, green zone ratio, biotope size and distribution. The sensory and visual indicators were the items such as view point, view axis and skyline, and the accessibility indicator items for the green zone were applied as the socially used indicators. As for the application method according to each indicator, the water or water system was expressed and applied through the slopes and elevation topographic analysis drawings, the climate was expressed and applied through the main direction of the wind and the cold wind pass alley drawings. As for the green zone size and green zone ratio, the land use according to the status and housing area development was compared to present the measured figures. In case of the biotop size and the distribution item, the range was limited to the preparation of the biotope drawings for the focused preservation. As for the view point and view axis, the view point was selected according to the view point to prepare and apply the view analysis drawing in which the view area to be preserved is analyzed. As for the skyline, its landscape photo was composed with the housing area shape, and then skyline photography was applied as the plan in order to propose and consider the various shapes of the skyline. As for the accessibility to the peen zone, the network drawing was drawn to reflect the users' accessibility and continuity of the green zone formed and preserved according to the land use plan and then the drawing was prepared and proposed as the applicable plan.
In this study, We developed an evaluation system for the interim check of Integrated Rural Village Development Project and analyzed its applicability to an actual evaluation process through a pilot evaluation on regions selected. The evaluation system consists of documentary assessments(30%) and field inspections(70%). The documentary assessments are quantitative assessments on check-lists reports by self-evaluation prepared by local governments. The field inspections are qualitative assessments by evaluation teams. Sixteen evaluation indices were developed for documentary assessments and seven criteria were designed for field inspections. For a pilot evaluation, one region in each province excluding Jeju Do, eight regions was selected and the field inspections due to circumstances was proceeded in two regions. The results of documentary assessments indicate that most of regions are evaluated low in project performance attributable to the delay in security for sites. In the field inspections, it appears that most of the regions evaluated high at the documentary assessments got a high point from them. They also show that coordination of action plans, rather than quantitative achievements, is a base determining success of the projects.
본 연구에서는 지표면 유출의 시간적 변화와 공간적 분포를 모의할 수 있는 격자기반의 도시유역 지표면 유출모형을 개발하였다. 개발된 모형에서는 지표면 유출의 메카니즘을 연속방정식과 Manning식을 결합한 비선형저류방정식으로 표현하고 있으며, 대상유역을 일정한 크기의 격자로 구성하고 개개의 격자마다 유출해석을 위한 지형정보와 수문정보를 입력하여 격자별 유출량을 계산 추적하게 된다. 본 모형을 이용하여 가상유역 및 실제 도시유역인 군자 배수구역에 대해서 시
본 연구에서는 낙도보조항로 운영사업자에 대한 경영평가제를 도입하여 사업자 스스로 지속적인 경영개선 노력을 유도하고자 AHP 기법을 이용하여 경영평가지표를 개발하였다. 이들 지표는 크게 3가지 형태로 구성되어 있다. 대기준에는 책임경영부문, 경영관리부문, 사업운영부문, 고객만족부문 등 4부문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중기준에는 책임경영을 위한 노력 등 15개 항목, 소 기준에는 관리자의 경영철학 및 전 직원의 책임경영에 참여도 등 44개 항목으로 이루어져 있다. 이들 지표 배점은 AHP 기법을 이용하여 각 항목별 가중치를 산정하여 배점한 결과이므로, 실제 업무를 집행하면서 운영선사 및 선박특성을 감안한 항목 간 가중치 조정에 의해 평가지표 기준별 배점 조정이 필요하리라 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