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675

        121.
        2021.11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In this study, factors such as improvement of a fishing process and safety, reduction of the labor force and headcount and development of the automation technology for offshore (eel and crab) pot fishing vessels were analyzed. A questionnaire survey was conducted to analyze and select the key factors using independent/paired sample t-test and correlation analysis, and a living lab was operated with ship owners, skippers and experts to discuss practical needs of the site. From the result of questionnaire survey and field requirements, it was possible to understand the level of awareness of ship safety, general safety equipment, fishing work process and fishing safety equipment from the point of view of the field. In addition, there were differences in the measurement results of each items because the working environment and experience were different according to the position of the ship owner and the skipper. The results of the questionnaire survey and various perceptions of field stakeholders were reflected when analyzing the fishing system and fishing process to choose the development equipment applicable to the field. From the analysis results, the selected development equipment based on the fishing equipment and process currently in operation are pot washing device, catch separation and fish hold injection device, length limit regulations and bait ejection device after use, automatic main line winding device, bait crusher, automatic (crab) pot hauling separator and so on.
        4,600원
        122.
        2021.11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낚시어선 제도는 어촌관광의 활성화 및 어가소득의 증대 등을 위하여 1995년 에 만든 제도이다. 그러나 원래의 목적과는 달리 ‘낚시어선업’에만 종사하는 낚 시어선이 늘어나 현재는 하나의 레저산업으로 변형되고 있다. 해양안전심판원의 통계에 따르면 2016년부터 2020년까지 5년간 낚시어선에 서 발생한 사고는 모두 1,215건으로 나타났으며 이 기간 중 낚시어선에서 발생 한 사망‧실종자 수는 24명, 부상자는 120명으로 나타났다. 현재 낚시어선에서 발생하는 해양사고는 충돌, 좌초, 전복, 침몰, 화재, 기관 손상 등 다양한 양상으로 나타나고 있다. 2015년에 발생한 낚시어선 전복사고의 경우 낚시어선이 악천후에도 불구하고 무리하게 출항한 후 전복되어 승선인 원 총 21명중 낚시승객 3명만 구조되고 선장을 포함한 18명은 사망 또는 실종 되었다. 또한 2019년에 발생한 낚시어선의 충돌사고에서는 낚시어선이 다른 선 박과 충돌한 후 전복되어 승선인원 14명 모두가 물에 빠져 한겨울 바닷물에 노 출되어 5명이 사망하기도 했다. 또한 일부 선장들은 영업구역 위반 등을 숨기 기 위해 의도적으로 어선위치발신장치(V-Pass)를 꺼서 조난시 수색구조에 어 려움을 초래하기도 했다. 낚시어선은 여객선, 유선 및 도선 등과 함께 다중이용선박으로서 일반인 승 객들의 안전을 위한 제도적 장치가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중앙해양안전심판원이 매년 발행하는 「재결사례집」에 실린 지난 5년간의 낚시어선 관련 사고들을 분석하여 각 원인별로 관련 사고를 방지 혹은 저감하기 위한 방안들을 검토하였다. 검토 결과 낚시승객들의 안전을 위 하여 기본적으로는 낚시어선 선장들에 대한 “낚시어선 전문교육”의 내실화가 필요한 것으로 판단되었다. 뿐만 아니라 낚시어선의 안전을 위한 제도 개선이 나 일부 관련 법규정의 개정도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6,900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