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130

        121.
        2002.09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칡 추출물에 감마선을 조사하여 색상 개선, 항산화성 및 항균성에 미치는 영향을 검토하였다. 칡 추출물은 methanol 과 acetone으로 추출하였으며, 감마선은 10, 20 그리고 30 kGy로 조사하였다. 칡 추출물은 감마선 조사 선량이 증가할수록 명도(Hunter color L-value)가 증가하였으며, 적색도(a값) 와 황색도(b값)은 감소하는 경향을 보여줬다. 칡 추출물의 항산화력(TBARS)은 acetone 추출물보다 methano
        123.
        2001.03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밤(Castanea crenata, 은기)의 수확 후 품질유지에 있어서 지연 감마선 조사와 CA 저장의 영향을 확인하기 위하여, 밤을 수확하여 에서 3개월간 보관한 후 0.25kGy의 감마선을 조사하고 의 CA (3%O+5% ) 및 air조건에서 6개월간 저장한 다음 이화학적 품질특성들을 측정하였다. 밤의 발아(근)는 지연 감마선 조사에 의해 완전 억제되었으며 부패는 CA저장과 병행시 더욱 적게 발생되었다. 중량감소는 CA저장 밤이 air 저장
        124.
        2001.03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밤(Castanea crenata, 은기)의 저장특성에 대하여 수침처리와 감마선 조사의 영향을 검토하기 위하여, 수확된 밤을 48시간 동안 수침 처리한 후 0, 0.15, 0.25 및 0.35 kGy의 감마선을 조사하고 와 952%의 상대습도에서 9개월 동안 저장하면서 품질변화를 측정하였다. 발아현상은 수침 처리된 밤에서만 저장말기에 나타났으며, 감마선을 0.35 kGy 조사한 밤에서는 발아되지 않았다. 수침처리 밤에서는 조사 선량에 무관하게 저
        125.
        1999.09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백삼의 저장해충 방제를 위하여 사용되고 있는 phosphine gas 훈증법의 대체방안 연구의 일환으로, 살충 및 살균 효과를 지닌 5 kGy의 감마선 조사와 훈증처리가 상업적 조건으로 포장된 백삼의 수분, 사포닌, 당, 아미노산 등의 함량에 미치는 영향을 처리 직후와 2/70% RH 조건에서 6개월 간 저장 후에 비교되었다. 백삼의 초기수분 함량은 8.44%로 살충처리에 따라 변화되지 않았으며, 6개월 간 저장 후에도 10% 수준이 유지되어 비
        126.
        1999.09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감마선 조사 시기, 강도 및 조사 후 보존제 처리가 절화장미와 국화의 수명에 미치는 영향을 알기 위하여 시행하였던 바 얻은 결과는 다음과 같았다. 절화장미의 경우 감마선 조사 강도가 0.5 KGy 까지는 절화품질에 미치는 영향이 적다고 할 수 있었으나, 이 보다 강한 조사구에서는 절화장미의 품질이 매우 악화되었으며, 조사 후 설탕용액에 침지한 것은 0.75 KGy 처리구까지 절화의 품질 유지효과가 인정되었다. 조사 후 절화보존제 침지
        127.
        1999.03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Commercial red ginseng, which was manufactured for the past 6 years, showed a microbial level of 2.010\ulcorner to 7.210\ulcorner CFU/g of total aerobic bacteria and molds. The moisture content of commercial products was ranged from 13.54 to 17.26%, which were higher than that of the product standard, 14%. Irradiation of red ginseng at 2.5 kGy resulted in the reduction of microorganisms contaminated to below the detectable level. Irradiation prevented mold growth on red ginseng during storage at RH 90% and 25; molds were found at the 72nd day after storage in 2.5 kGy-irradiated sample, while 41st day in the nonirradiated control. At this point of time, irradiated samples showed an increased level of moisture content required for mold growth, 22.2% in 2.5 kGy group and 21.5% in control group. Based on the above results, microbiological qualities of red ginseng could be effectively improved by the optimum dose of irradiation, which was expected to secure the quality stability of red ginseng during distribution under the high-moistured conditions.
        128.
        1999.03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Microbial populations (total bacteria, lactic acid bacteria and coliforms), TBA, VBN and POV were investigated for evaluating the shelf life of pork loins gamma-irradiated at doses of 1, 3, 5 and 10 kGy with air-contained and vacuum-packaged methods. The initial microbial populations decreased with gamma irradiation depending upon the dose and microorganisms in the vacuum-packaged samples were inhibited more than those in the air-contained samples. POV, TBA and VBN values were higher in the air-contained samples than in the vacuum-packaged samples. In conclusion, the combination of gamma-irradiation and vacuum-packaging could extend the shelf life of chilled pork loin.
        129.
        1998.09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전분 추출용으로 대부분 사용되고 있는 도토리 종실의 가해해충 사멸방법을 연구할 목적으로 현행 검역해충 사멸방법인 methyl bromide (MBr) 훈증처리와 감마선 조사법에 대하여 살충효과와 이들이 몇 가지 이화학적 품질에 미치는 영향을 비교 검토하였다. 국내산 도토리의 가해해충은 도토리밤바구미 (Curculio drntipes Roelofs)와 복숭아명나방 (Dichocrocis punctiferalis Guenee)으로 확인되었다. 이들
        130.
        1989.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수도 재배품종의 단점형질을 수양코자 상풍벼와 섬진벼 종자에 λ -선을 20kR로 조사하여 단간 및 조숙돌연변이 계통을 선발하는 과정에서 얻은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품종간에 변이출현율은 섬진벼보다 상풍벼에서 높게 나타났으며 조신선량간에는 두 품종 모두 20kR보다 25kR 조신구에서 높게 나타났다. 2. M2 세대에서 단간 조숙 및 유성변이체의 출현율은 상풍벼 20kR와 25kR에서 각각 1.10%와 1.47%, 섬진벼 20kR와 25kR에서 0.51%와 1.25%이었다. 3. M3 세대에서 단간돌연변이 계통중 상풍벼와 섬진벼의 두 품종 모두 25kR 조신구에서 모품종에 비해 각각 간장이 57%와 40%RK지 단축된 단간변이계통을 선발할 수 있었고, 모품종에 비해 10%정도 단축된 계통이 많이 출현하였다. 4. M3 세대에서 출수기의 변이분포는 비교적 넓었고 상풍벼와 섬진벼에서 모품종보다 출수기가 각각 30일과 20일 빠른 조숙돌연변이 계통을 선발할 수 있었고 모품종에 비해 7일 정도 단축된 계통의 출현은 많았다.
        6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