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239

        121.
        2009.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PAHs(다환방향족탄화수소) 화합물은 해양환경으로 다양한 경로를 통해 유입되며, 연안역과 하구역에 있어서는 도시화와 산업활동 중 연소에 의하여 발생되어 주로 대기와 하천을 통하여 유입된다. 유입된 PAHs 화합물은 잠재적으로 해양 수서환경 생물에 대해서 발암 및 돌연변이를 일으키고 있다. 따라서 PAHs 화합물의 오염이 예상되는 진해만에 유입되는 주요하천에서 PAHs 화합물의 분포특성과 유입부하량을 조사하여 PAHs 화합물의 오염특성을 파악하였다. 진해만으로 유입되는 주요 하천수 및 하수처리수에서 용존 Total PAHs 화합물의 농도범위와 평균값은 9.79~128.25 (평균 36.94)ng/L를 나타내었으며, 부유입자물질 중 Total PAHs 화합물의 농도범위와 평균값은 1,814.34~8,893.37(평균 4,657.73)μg/kg dry wt.로 나타났다. 용존 PAHs 화합물과 부유입자물질 중 PAHs 화합물 모두 유사하게 도시화와 산업화가 이루어진 마산시로부터 유입되는 삼호천에서 기장 높은 값을 나타내었다. 하천수 및 하수처리수에서 PAHs 화합물의 조성 형태는 용존 PAHs 화합물은 저분자량 PAHs 화합물이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어 PAHs 화합물의 물리 화학적 성질에 의한 것으로 판단된다. 조사된 하천을 통해 진해만으로 유입되는 용존 Total PAHs 화합물의 유입부하량 범위는 0.06~12.05g/day, 평균 유입부하량은 1.86g/day 그리고 총 유입부하량은 14.85g/day로 산정되었다. 부유입자물질 중 Total PAHs 화합물의 유입부하량 범위는 0.12~16.00g/day, 평균 유입부하량은 평균 2.41g/day 그리고 총 유입부하량은 19.27 g/day로 산정되었다. 용존 PAHs 화합물과 부유입자물질 중 PAHs 화합물 모두 진해만으로 유입되는 유입부하량은 덕동하수처리장이 약 80% 이상으로 대부분을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타 연구들과 비교에서 진해만 주요 하천수와 하수처리수는 아직까지 낮은 농도를 나타내지만 진해만 연안에 PAHs 화합물의 오염발생원이 주변에 산재하고 있어 PAHs 화합물의 오염정도가 심화될 수도 있다.
        4,000원
        127.
        2009.03 KCI 등재 SCOPUS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Eu3+ -doped Y2O3 red phosphor was synthesized in a flux method using the chemicals Y2O3, Eu2O3,H3BO3 and BaCl2·2H2O. The effect of a flux addition on the preparation of Y2O3:Eu3+ red phosphor used asa cold cathode fluorescence lamp was investigated. H3BO3 and BaCl2·2H2O fluxes were used due to theirdifferent melting points. The crystallinity, thermal properties, morphology, and emission characteristics weremeasured using XRD, TG-DTA, SEM, and a photo-excited spectrometer. Under UV excitation of 254nm, Eu2O33.7mol% doped Y2O3 exhibited a strong narrow-band red emission, peaking at 612nm. From this result, thephosphor synthesized by firing Y2O3 with 3.7mol% of Eu2O3, 0.25mol% of H3BO3 and 0.5mol% of BaCl2·2H2Ofluxes at 1400oC for 2 hours had a larger particle size of 4µm on average compared to the phosphor of theH3BO3 flux alone. In addition, a phosphor synthesized by the two fluxes together had a rounder corner shape,which led to the maximum emission intensity.
        4,000원
        128.
        2008.12 KCI 등재 SCOPUS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Recently, Choe & Cheng (2002) have demonstrated that multiple magnetic flux systems with closed configurations can have more magnetic energy than the corresponding open magnetic fields. In relation to this issue, we have addressed two questions: (1) how much fraction of eruptive solar active regions shows multiple flux system features, and (2) what winding angle could be an eruption threshold. For this investigation, we have taken a sample of 105 front-side halo CMEs, which occurred from 1996 to 2001, and whose source regions were located near the disk center, for which magnetic polarities in SOHO/MDI magnetograms are clearly discernible. Examining their soft X-ray images taken by Yohkoh SXT in pre-eruption stages, we have classified these events into two groups: multiple flux system events and single flux system events. It is found that 74% (78/105) of the sample events show multiple flux system features. Comparing the field configuration of an active region with a numerical model, we have also found that the winding angle of the eruptive flux system is slightly above 1.5π.
        4,000원
        129.
        2008.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자연유기물을 처리하는 혼합 오존-세라믹 한외여과 수처리 시스템에서 막의 운전조건과 처리수의 화학적 조성이 세라믹 막의 투과플럭스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하였다. 오존주입량, 막간압력 그리고 교차흐름속도를 포함한 운전조건의 영향을 관찰한 결과, 막의 투과플럭스는 오존주입량과 교차흐름속도가 증가할수록 그리고 막간압력이 감소할수록 증가하였다. 오존주입으로 인한 막오염의 감소는 교차여과에서 오존기체방울에 의해 발생하는 오염물질의 물리적인 역수송보다는 촉매 금속산화물로 이루어진 세라믹막 표면에서 발생하는 오존과 자연유기물간의 화학반응에 의한 영향에 더욱 의존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그러나 이와 같은 막오염의 감소는 상대적으로 높은 막간압력을 적용 시 줄어드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모델 자연유기물을 이용하여 실험한 결과, 높은 pH에서는 칼슘의 첨가로 인해 투과플럭스가 급격하게 감소하였으나 상대적으로 낮은 pH에서는 투과플럭스 감소에 대한 칼슘의 효과는 저하되었다. 혼합 오존-세라믹만 시스템에서 연속적인 오존주입은 세라믹막 표면에서 발생하는 촉매오존산화에 의한 자연유기물의 분해로 운전 초기 막의 투과플럭스의 감소 후 궁극적으로는 막의 투과플럭스를 회복시킬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4,000원
        133.
        2008.06 KCI 등재 SCOPUS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Resonance doublets including O VI 1032, 1038, NV 1239, 1243 and C IV 1548, 1551 constitute prominent emission lines in symbiotic stars and planetary nebulae. Spectroscopic studies of symbiotic stars and planetary nebulae from UV space telescopes show various line ratios of these doublets deviating from the theoretical ratio of 2:1. Using a Monte Carlo technique, we investigate the collisional de-excitation effect in these emission nebulae. We consider an emission nebula around the hot component of a symbiotic star characterized by the collisional de-excitation probability Pcoll~10-3-10-4 per each resonance scattering, and the line center optical depths for major resonance doublets in the range T0~102-105 We find that various line ratios are obtained when the product PcollT0 is of order unity. Our Monte Carlo calculations show that the flux ratio can be approximately fitted by a linear function of logT0 when T0Pcoll~1 It is briefly discussed that this corresponds to the range relevant to the emission nebulae of symbiotic stars.
        4,000원
        137.
        2008.03 KCI 등재 SCOPUS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Blue-emitting BAM:Eu phosphor powders were formed by post-treatment of precursor powders with hollow or dense morphologies. The morphologies of the precursor powders obtained by spray pyrolysis were controlled by changing the preparation conditions and by changing the type of spray solution. The effects of the morphologies of the precursor powders on the characteristics of the BAM : Eu phosphor powders reacted with AlF3 flux were investigated. Precursor powders with a spherical shape and a hollow morphology produced BAM : Eu phosphor powders with a plate-like morphology, a fine size and a narrow size distribution. On the other hand, precursor powders with a spherical shape and dense morphology produced BAM : Eu phosphor powders with a plate-like morphology and a large size. AlF3 flux improved the photoluminescence intensities of the BAM : Eu phosphor powders. The photoluminescence intensity of the fine-sized BAM : Eu phosphor powders with a plate-like morphology was 90% of the commercial product under vacuum ultraviolet conditions.
        4,000원
        138.
        2007.12 KCI 등재 SCOPUS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Statistical analyses were performed to investigate the relative success and accuracy of daily maximum X-ray flux (MXF) predictions, using both multilinear regression and autoregressive time-series prediction methods. As input data for this work, we used 14 solar activity parameters recorded over the prior 2 year period (1989-1990) during the solar maximum of cycle 22. We applied the multilinear regression method to the following three groups: all 14 variables (G1), the 2 so-called 'cause' variables (sunspot complexity and sunspot group area) showing the highest correlations with MXF (G2), and the 2 'effect' variables (previous day MXF and the number of flares stronger than C4 class) showing the highest correlations with MXF (G3). For the advanced three days forecast, we applied the autoregressive timeseries method to the MXF data (GT). We compared the statistical results of these groups for 1991 data, using several statistical measures obtained from a 2x2 contingency table for forecasted versus observed events. As a result, we found that the statistical results of G1 and G3 are nearly the same each other and the 'effect' variables (G3) are more reliable predictors than the 'cause' variables. It is also found that while the statistical results of GT are a little worse than those of G1 for relatively weak flares, they are comparable to each other for strong flares. In general, all statistical measures show good predictions from all groups, provided that the flares are weaker than about M5 class; stronger flares rapidly become difficult to predict well, which is probably due to statistical inaccuracies arising from their rarity. Our statistical results of all flares except for the X-class flares were confirmed by Yates' X2 statistical significance tests, at the 99% confidence level. Based on our model testing, we recommend a practical strategy for solar X-ray flare predictions.
        4,000원
        139.
        2007.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에서는 호소수의 정수처리공정 중 폴리술폰계 중공사막을 이용한 침지형(흡인압)과 외압형을 동시에 적용한 분리막 공정으로 압력 및 공경에 따른 투과플럭스의 변화에 관한 성능을 평가하고자 하였다. 침지형(흡인압) 공정의 압력에 따른 최대 투과 플럭스는 공경이 0.3 μm에서 평균 282 LMH, 0.05 μm에서는 234 LMH를 나타내었으며 외압형(외압) 공정의 압력에 따른 최대 투과 플럭스는 공경이 0.3 μm에서 평균 443 LMH, 0.05 μm에서는 522 LMH를 나타내었다. 또한, 흡인압과 외압을 동시에 적용한 공정의 압력에 따른 최대 투과 플럭스는 공경이 0.3 μm에서 평균 674 LMH 0.05 μm에서는 648 LMH를 나타내었다. 따라서, 호소수를 이용한 정수처리공정에서 분리막으로 흡인압과 외압을 동시에 이용할 경우 단위 면적당 생산수를 최대로 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4,200원
        140.
        2007.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