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155

        141.
        2002.10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운동스트레스, 사회적 지원, 대처기술과 운동상해의 빈도나 정도간에 어떠한 인과 관계가 있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러한 목적을 수행하기 위하여 광주·전남 지역의 전국체전 대표선수로 선발된 377명을 운동스트레스, 사회적 지원, 대처기술, 운동상해의 빈도와 정도를 조사하였다. 그 결과 운동스트레스와 대처기술만이 유의한 상관(p<.05)이 나왔고, 다른 변인간에는 상관이 없었다. 그리고 세변인 즉, 운동스트레스, 사회적 지원, 대처기술이 운동상해의 빈도를 설명하는 전체 변량은 1.6%(R2)이었고, 상해 정도를 설명하는 변량은 2.5%(R2) 이었다. 마지막으로 운동스트레스를 독립변인, 사회적 지원과 대처기술을 매개변인, 운동상해의 빈도와 정도를 종속변인으로 설정하여 각 변인별 인과분석(경로 분석)을 한 결과 운동스트레스와 대처기술만이 인고관계가 있었고, 다른 변인간에는 관계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상해 발생원인을 찾는 향후 연구에서는 기술적인 병인학과 분석적인 병인학에 관심을 가지고 접근하는 것이 더 합리적인 것으로 판단된다.
        142.
        2002.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학원 운동선수로 활동한 경험이 있는 중·고등학생을 추적하여 그들이 스포츠를 중도에 포기하게된 탈퇴요인의 구조를 요인분석을 통해 확인하고, 이러한 요인들이 성별과 경력, 탈퇴시기, 종목유형에 따라 차이가 있는지를 검증하였다. 개방형 질문지의 반응을 토대로 탈퇴요인 척도를 제작하여 409명의 운동탈퇴자를 대상으로 문항분석, 요인분석, 내적일관성 분석을 실시한 결과, 과도한 훈련, 장래 불안, 경제적 부담, 자신감 상설, 부정적 교우관계, 학업퇴보, 흥미·재미 상실, 부당한 위계구조의 8개 요인이 도출되었다. 아울러, 탈퇴 요인들은 성과 경력, 탈퇴시기, 종목유형에 따라서도 차이가 발견되었다. 전반적으로 이러한 변인들에서의 차이는 경제적 부담이나 과도한 훈련, 부당한 위계구조 요인에서 크게 나타났다. 이 결과는 서구 연구결과의 비교를 통해 우리 청소년 스포츠 문화가 갖는 부정적 구조와 패턴을 제시하는 측면에서 논의하였다.
        143.
        2002.0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고교축구선수 한 팀을 대상으로 집단운동상담의 프로그램을 고안하고 적용하여 그 효과를 두 가지로 나누어 제시하였다. 첫째, 7회기로 나누어 이루어진 집단상담 과정에서 선수들을 보다 깊게 이해하고, 스스로를 인식하도록 상담주제와 관련된 내용을 일정양식에 기입하게 하여 내용분석 하였다. 선수들의 참여소감, 성격의 장점 또는 단점인식, 선수활동동안의 기분 좋은 경험들이 탐색되었다. 또한 상대에 대한 이해와 배려, 존경, 더불어 선배와 지도자, 훈련에 대한 이해가 깊어진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수업받는 과정에서 겪는 어려움을 호소하였다. 축구선수들이 생각하는 목표 우선 순위는 최선과 인간적 성장이었다. 둘째, 다양한 질문지를 이용하여 상담의 효과를 평가하였다. 선수들이 직면하는 실질적인 문제의 일순위는 시합성적, 이순위는 훈련과 연습이었고, 상담에 의한 정서 변화는 부정적인 정서는 낮아지고, 긍정적인 정서는 높아진 것으로 나타났다. 선수들의 심리기술은 불안조절을 제외하고 더 낮아진 것으로 나타난 반면에 자기관리는 대인관리를 제외하고 상담전보다 미세하지만 높아졌다. 본 연구는 집단상담 프로그램이 심리기술이나 자기관리의 증진보다는 선수들의 심층이해와 다양한 문제들을 확인하기 위한 것이다. 따라서 미래연구는 현장의 요구에 부응하고, 확인된 문제들을 바탕으로 문제해결과 대처전략, 또는 심리기술과 자기관리를 증진시킬 수 있는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충분한 시간을 갖고 다양한 종목과 운동수준, 발달수준을 대상으로 응용연구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154.
        1992.0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Mahoney et al.(1979, 1984, 1987)은 운동수행에 영향을 미치는 인지심리적 기술요인들(불안제어력, 자신감, 집중력, 동기, 정신적준비, 목표설정)을 이론과 실제 연구를 통하여 구체화하였다. 이에 따라 본 연구는 스포츠 심리검사지(PSIS)을 사용하여 사격, 양궁, 핸드볼, 농구 종목에서 선정된 최우수/우수 남녀 선수 283명의 인지 심리적 기술요인들을 측정하고 일련의 통계분석을 시행하였다. 수준×종목×성별 다원 변량분석(MANOVA) 및 단일 변량분석(ANOVA) 결과 전반적으로 의의있는 주효과와 상호작용 효과를 보이고 있었다. 좀 더 구체적으로, 정신적 준비 요인을 제외한 모든 요인에서 최우수 선수들이 우수선수들 보다 전반적으로 효율적인 인지심리적 기술특성을 지니고 있었으며, 남성들이 여성들 보다 동기와 자신감 요인에서 높은 수준을 나타냈다. 또한 양궁, 사격, 농구종목에서 최우수선수들이 우수선수들 보다 높은 불안제어력을 보였으며, 여자 농구 최우수선수들이 남자 핸드볼과 남자 농구 최우수선수들을 제외한 다른 모든 집단보다 더 팀 목표를 강조하는 경향을 나타냈다. 이러한 결과들을 선행연구들과 실제 상황을 바탕으로 구체적인 논의를 하였다.
        155.
        1990.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is paper aims at creating the measurement of athletes` stress. About 340 athletes attending high schools or universities were selected as the subjects for the purpose of this study, but 316 of them were the real subjects for the ultimately operated data on the factors causing stress. Questionaires adapted from Competitive State Anxiety Inventory(CSAI) designed by Martens, Burton, Rivkin and Siman were used to put Competitive Anxiety Factor to the test ; questionaires included in Sports Cohesion Instrument (SCI) developed by Yukelson, Weinberg and Jackson were used to test Team Cohesion Factor ; questionaires presented in A Study on the Measurement of Job Stress (I) by Lee Jong-mok and Park.Han-ki were modified to be suitable for athletes and used to test communication factor and family factor. 54 questions were selected out of preliminary questionaires for testing the above -mentioned factors, and principal component factor was analyzed by means of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 matrix on the basis of the responses to 54 questions. As a result, 12 factors and variable quantities that they could take turned out to be 60.20% . 47 questions, which had more than .30 as each factor loading in 12 factors, were selected out of 54. questions as a resultof Uarimax Rotated Factor Analysis of these 12 factors. The selected 12 factors game, counsel, sports-external disturbance, team cohesion, athletic sports, communication, training, spectators. We suggest that athletes undergo stress while they are under situations-competitive or ordinary-concerned with these 12 factors.
        6 7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