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156

        141.
        2001.04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e conflicts between environment protection and economic development are becoming increasingly important in environmental decision making of Nakdong River Basin. A science-based evaluation system is now needed to represent both the environmental values and the economic values with a common measure. EMERGY, spelled with an "m" evaluates both the work of river and that of human in generating products and services. The monetary cost-benefit analysis and the environmental accounting by EMERGY analysis were applied to determine whether there will have a net benefit in environmental decision making of Nakdong River Basin. Based on the results of the environmental accounting, all alternatives which related to environmental decision making of Nakdong River Basin show that more and more of EMERGY cost becomes needed than the EMERGY benefit from getting water to drink in the lower basin. From these results, for selecting alternatives to manage water quantity and quality that is sustainable in the environmental use and economic development, environmental accounting concepts must be considered, and the economic structure of Nakdong River Basin should be changed from the present industrial structure to social-economic structure based on ecological-recycling concept for the sustainable use of Nakdong River.
        142.
        2000.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수계규모에서 과거의 수원공 운영자료를 이용하여 농업용 저수지, 취입보 및 관정 등으로부터 논 관개지구에 공급된 농업용수 공급량의 조사방법을 개발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농업용 저수지에 의해 공급된 관개량은 일별 혹은 순별 저수율 자료와 DIROM 모형을 이용하여 추정하였으며, 일별 양수량은 연간 총양수량으로부터 일별 양수패턴을 적용하여 산정하였다. 관정에 의해 취수된 일별 공급량은 논벼의 조용수량과 관정의 설계유량을 고려하여 계산하였으며,
        143.
        2000.10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금강의 주요지류인 미호천 유역에 소재하고 있고 주요 텔레미터 수위표가 위치한 4개의 지점을 선정하여 유출량과 오염부하량의 상관성 분석을 통해 각 소유역의 전체 오염부하량을 추정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대상유역의 유량측정 지점을 중심으로 평·갈수시 및 홍수시의 유출량 및 수질을 분석하였다. 분석된 유출량 및 수질자료를 통해 유역의 수위-유량관계곡선과 농도변화를 분석하였다. 그리고, 유출량과 수질항목간의 상관관계를 분석하였고, 단위면적당 유출량 변
        144.
        2000.08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수자원 개발이 인문 사회적 여건으로 날로 어려워짐에 따라 공급위주의 물 관리 정책이 한계에 달하고 이어 수요관리개념에 따른 적용 가능한 수자원관리 기법의 개발이 필요해지고 있다. 무효방류량을 최소화하여 한정된 물 자원 배분을 합리적으로 이룰 수 있는 실제 적용 가능한 수요관리기법은 수자원의 효율적 이용과 유역물관리 시스템의 방법론적 완성을 위해 반드시 필요하다. 본 연구는 기존의 물수지분석 기법을 댐 연계운영 모형과 조합하여 MIP 기법에 의해 이수목적
        145.
        2000.08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에서는 한강 유역의 수문 시계열자료에 절단 수준법과 조건부 확률개념을 적용한 가문분석을 실시하였으며, 크리깅기법을 이용하여 산정된 조건부 확률의 유역 내 분포 경향을 알아보았다. 수문시계열자료는 일 하천 유량, 월 강수량, 일 최고기온자료를 이용하였고 자료기간은 일 하천 유량의 경우 86년부터 97년까지 총 12년 간의 자료를 사용하였으며, 월 강수량과 일 최고기온의 경우에는 86년부터 99년까지 총 14년 간의 기상청 관측자료를 이용하였다. 하
        146.
        2000.08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한강유역의 면적 확률강우량을 산정하는데 있어서 자료기간이 충분하고 신뢰할 수 있는 지속기간별 연최대치 강우자료를 구축하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 현재 이를 만족하는 강우자료는 9개 기상청 자료이며, 면적 강우량을 산정하기에는 그 분포가 너무 적은게 사실이다.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건설교통부와 수자원공사 산하 강우관측소 자료 (59개소)의 공간적 상관관계를 이용하여 기상청 강우관측소의 관측소밀도를 보정하였으며, 회귀분석을 실시하여 소유역별 면적 확률강우량을
        147.
        2000.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대유역의 지표면 수문현상은 추계학적 변동에 의해 야기되는 안정된 상태의 변이와 함께 몇 개의 발생빈도가 높은 안정된 상태의 영향을 받기가 쉬운데 그 이유는 지표면과 대기 상호관계의 밀접한 조합과도 관계가 있다. 따라서 각 안정상태에서의 체류기간 즉, 가뭄기나 홍수기의 지속기간이 중요한 연구 과제라 할 수 있으며 본 연구에서는 한강유역에 대하여 안정상태의 평균 변이기간을 분석하였다. 비선형 물수지모형을 한강 유역에 대하여 과거의 자료를 바탕으로 검정하였고
        148.
        2000.0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An EMERGY analysis of the main energy flows driving the economy of humans and life support systems consists of environmental energies, fuels, and imports, all expressed as solar emjoules. Total EMERGY use(720.0 E20 sej/yr) of the Nakdong River Basin is 96 per cent from imported sources, fuels and goods and services. EMERGY flows from the environment such as rain and geological uplift flux accounted for only 4 percent of total EMERGY use. Consequently, the ratio of outside investment to attracting natural resources was large, like other industrialized areas. EMERGY use per person in the Nakdong River Basin indicates a moderate EMERGY standard of living, even though the indigenous resources are very poor. Population of 6.66 million people in 1996 is already in excess of carrying capacity of the basin. Carrying capacity for steady state based on its renewable sources is only 0.226 million people. EMERGY yield ratio and environment loading ratio were 1.07 and 28.52, respectively. EMERGY sustainability index, a ratio of EMERGY yield ratio to environment loading ratio, is therefore less than one, which is indicative of highly developed consumer oriented economies. This study suggests that the economic structure of the Nakdong River Basin should be transformed from the present industrial structure to the social-economic structure based on an ecological-recycling concept for the sustainable use of the Nakdong River.
        149.
        1999.08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In this study, the regional frequency analysis is used to determine each subbasin drought frequency with reliable monthly precipitation and the L-Moments method which is almost unbiased and has very nearly a normal distribution is used for the parameter estimation of monthly precipitation time series in Nakdong river basin. As the result of this study, the duration of '93-'94 is most severe drought year than any other water year and the drought frequency is established as compared the regional frequency analysis result of cumulative precipitation of 12th duration months in each subbasin with that of 12th duration months in the major drought duration. The Linear regression equation is induced according to linear regression analysis of drought frequency between Nakdong total basin and each subbasin of the same drought duration. Therefore, as the foundation of this study, it can be applied proposed method and procedure of this study to the water budget analysis considering safety standards for the design of impounding facilities large-scale river basin and for this purpose, above all, it is considered that expansion of reliable preciptation data is needed in watershed rainfall station.
        150.
        1998.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한강유역 중소하천 계획하폭 산정공식을 결정하기 위하여 216개 구간의 중소하천에서의 계획홍수량, 유역면적, 하상경사, 실제하폭을 수집한 후, 1) 최소자승법(least squares, LS), 2) 최소중간치자승법(least median squares, LMS) 및 3) 재가중최소자승법(reweighted least squares, RLS)을 이용하여 경험적인 계획 하폭 공식을 결정하였다. 한강유역에서의 기존하폭 산정공식과 비교하기 위하여 계
        151.
        1998.08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In the rainfall-runoff relation, consideration of the spatial movement of storms is very important in designing a hydraulic structure or evaluating an environmental influence for land usage. Because of this reason, this study has suggested the finite element model which consider the spatial movement of a stome and it was applied on a small river basin(Wi stream basin). In the application of the model the basin was treated as a pivot point and the storms are simulated with movement in each directions. As a result, it shows that the storms moving from north to south have bigger peak discharge and faster peak time than the storms moving in other directions. So these characteristics have to be considered in the designation of a hydraulic structure or evaluation of an environmental influence.
        152.
        1998.0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낙동강 유역의 저수유출 해석을 위해 IS(integrated snowband) 유역모형이 포함된 SSARR 모형을 적용하였다. IS유역모형은 증발산, 침투 및 장기회귀 지하수 추적기능이 추가된 최신 버전으로서 연물수지분석에 관한 정보가 출력되며 대화식 구동방식인 IA(interactive)방식도 내재되어 있다. 고수시와 저수시 민감한 매개변수를 민감도 분석결과 도출할 수 있었고, 이를 토대로 모형의 보정이 이루어졌다. 7개 제어지점에서 유량의 관측치와
        153.
        1997.04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에서는 낙동강유역 진동, 현풍, 왜관 지점의 연평균 유량자료에 대하여 다변량 추계학적 모형올 적용하여 가뭄특성을 해석하였다. 추계학적 모형으로는 다변량 자기회귀 (MAR) 모형과 다변량 contemporaneous 자기회귀 (MCAR) 모형올 사용하였으며, 잔차계열의 왜곡도 검사, 계열상관도(correlogram) 등의 적합도 검정을 통하여 MCAR(1) 모형과 MAR(1) 모형올 적정 모형으로 선정하였다. 또한 MCAR(1) 모형과 MAR(1)
        154.
        1997.04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에서는 저류함수법과 Loopnet(부정류해석모형) 모형으로 홍수예측 시스템을 구성하여 대청댐의 방루에 따른 하류지역의 홍수영향을 에측하여 보았다. 대청댐 하류부에 지역빈도 분석방법(L-모멘트)으로 강우량을 산정하고, 홍수예측시스템으로 금강 하류부의 홍수추적을 실시하여 빈도별 홍수량을 산정하였다. 또한 대청댐의 방류에 따른 금강 하루 주요지점의 홍수량, 홍수위 및 방류량 도달시간을 산정하여 홍수발생시 대청댐 운영의 지표포 활동할 수 있도록 하였다.
        155.
        1996.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is study aims at the estimation of a river management flow in urban basin analyzing Sinchun basin to be the tributary of Kumho river basin. The river management flow has to satisfy a low flow as natural flow and an environmental preservation flow estimated by a dilution flow to satisfy a target water quality in drought flow. Therefore for the estimation of a river management flow in Sinchun in this study, first Tank model as a basin runoff model estimates a low flow, a drought flow from a flow duration curve in Sinchun, second QUAL2E model as water quality model simulates water quality in Sinchun and estimates environmental preservation flow to satisfy a target water quality, BOD 8 ㎎/ℓ by a dilution flow derived from Kumho river, Nakdong river and ground water. And the river management flow is estimated by addition of a use flow and a loss flow to more flow between a low flow and an environmental preservation flow.
        156.
        1994.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 linear reservoir model with Kalman filter using Kalman filter theory which removes a physical uncertainty of rainfall-runoff process. A linear reservoir model, which is the basic model of Kalman filter, is used to calculate runoff from rainfall in river basin. A linear reservoir model with Kalman filter is composed of a state-space model using a system model and a observation model. The state-vector of system model in linear reservoir model with Kalman filter takes the ordinate of IUH from linear reservoir model. The average value of the ordinate of IUH for a linear reservoir model with Kalman filter is used as the initial value of state-vector. A linear reservoir model with Kalman filter shows better results than those by linear reserevoir model, and decreases a physical uncertainty of rainfall-runoff process in river basin.
        6 7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