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189

        165.
        2007.04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양상추(Lactuca Sativa L.)의 정식 후 42일 경과한 결구 초기부터 결구가 형성(정식 후 67일 경과)되어 제품으로 출하될 때까지의 품질 변화와 잔류농약에 대해 알아보았다. 양상추의 정식 후 결구가 형성되면서부터 전체 중량과 가식부 중량이 모두 증가하였는데, 결구 형성 초기에는 전체중량의 약 40% 정도가 가식부였지만 제품 출하 시점에서는 약 80%까지 큰 증가추세를 보였다. PH, 당도, 수분의 경우는 양상추 결구과정 중 약간의 증
        166.
        2006.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A new high yield and storability lettuce (Lactuca sativa L.) cultivar Jeokdan was developed from a cross NAAES DL14 (late bolting and high yield) and NAAES DL 108 (late bolting and disease resistance) in 1997. We selected desired charac-2003 year, and we
        167.
        2006.03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is study was to verity that the uptake inhibition and accumulation of nitrogen in different potassium levels. Lettuce was used as model plant in this study and grown in pot of 10cm's in diameter and depth with mixture media of vermiculite and perlite under supply of different culture solution for three weeks. Nitrogen absorption at root was inhibited by increased potassium concentration in nutrient solution, and nitrate accumulation of plant was depended on absorption of nitrogen because nitrate content of 0 K level was 4-5 times higher than that of 2 K level, Concentration of ascorbic acid was decreased by increasing the nitrogen absorption, since ascorbic acid (AsA) content of 2K level was higher than those of OK level in both of old leaf and flesh leaf
        168.
        2006.02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상추의 포장 방법 및 저장 온도가 저장성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기 위하여, 저장중 감모율, 외관변화, 색상차, 안토시아닌 및 크로로필의 색소함량, 수분 함량을 측정하였다. 중량감모는 저온이라도 무포장(대조구)에서 급격히 일어났으며, 상온에서 저장할 경우, 유공 필름 순으로 중량감모가 나타났으며 LDPE와 PP 필름종류에 따라서는 30일간 저장하여도 차이가 크게 나타나지 않았다. 외관변화도 감모율과 비슷한 경향으로 대조구를 제외하면 온도, 천공여부
        169.
        2005.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혼합유기질비료는 대두박, 채금박, 어분, 철분, 골분 및 황토를 원료로 광합성 미생물 SA16 균주를 접종하여 pellet 상태로 제조하여 사용하였다. 1. 혼합 유기질비료 시용이 시설상추의 생육 및 토양의 생물학적 변화에 미치는 영향 화학비료 3요소와 성분량이 동량인 혼합유기빌비료 90 kg/10a 처리구는 대조구보다 주당 엽수는 2장 정도 많았고 뿌리길이도 2cm 정도 길었으며 생체중은 51% 증수되었다. 혼합유기질비료 시용량별 수확량은 45>90>135 kg/10a 순으로 많았고 처리간에 유의성이 인정되었으며 최대 수확량을 얻을 수 있는 시용량은 73kg/10a로 나타났다. 상추수확량에 대한 소득 분석결과 혼합유기질비료 90 kg/10a 처리구에서 소득이 37% 증가되었고 최대 수량을 얻을 수 있는 혼합유기질비료를 73 kg/10a를 시용하면 소득이 41%증가될 것으로 생각된다.수확 후 토양 용적밀도는 혼합유기질 비료 90 kg/10a 처리구가 1.09 g/㎤로 가장 낮았으며 혼합유기질 비료 45 kg 처리구의 용적밀도가 1.19 g/㎤로 가장 높았다. 공극율은 혼합유기질 비료 45 kg 처리구가 58.8%로 가장 좋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혼합유기질 비료 45 kg 처리구가 55.0%로 가장 낮았다. 토양 염류농도는 혼합유기질 비료 45 kg/10a을 제외하면 시험전 EC 농도 1.35 dS/m에 비해 모든 처리구에서 높아졌다. 특기할 사항은 토양의 NH4-N 함량으로 화학비료를 시용한 대조구에서 43 mg/kg으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혼합유기질 비료 시용구간에는 10 mg/kg 내외로 차이가 없었다. 혼합유기질 비료 처리에 따른 토양중 호기성세균의 분포는 혼합유기질 비료 90 및 135 kg/10a 처리구가 12.4, 및 12.8×106 CFU/g로 가장 높았으며, 생육기보다 수확기의 호기성세균의 분포가 전체적으로 낮게 나타났다. 곰팡이수의 분포는 생육기에 혼합유기질 비료 90 kg/10a 처리구가 0.74×104 CFU/g로 가장 낮은 분포를 보였으며, 수확기의 곰팡이 수는 모든 처리구에서 고른 분포를 보였다. 2. 혼합유기질 시용이 얼갈이 배추 생육 및 토양의 생물학적 변화에 미치는 영향 얼갈이 배추의 포장 시험재배에서 엽수, 엽폭, 지하부 생체중, 지상부 건물중, 그리고 지하부 건물중 등은 혼합유기질 비료 시용구가 대조구인 퇴비구와 화학비료구보다 생장량이 양호하여 수량은 퇴비구에 비해 7.6%, 화학비료구에 비해 181% 증가하였다. 혼합유기질 비료 처리에서 통계적으로 F-test에서 유의한 형질은 지상부 생체중과 지상부 건물중이었고, LSD 0.05에서는 엽폭이 유의한 차를 보였다. 광합성 미생물 Rhodobacter azotoformans의 개체수는 105개로 표시되어 있었으나 수확 후 토양 중 개체수는 1.93×104 CFU/g으로 나타나 세균의 토양 토착능력이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170.
        2005.08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Lettuce (Lactuca sativa L.) is known to contain water-soluble substances that improve antioxidant status due to the richness in antioxidants. Greenhouse experiment was carried out under different shading conditions during spring lettuce growing season. Shade significantly reduced shoot weight, number of leaves and chlorophyll content, while it increased shoot length of lettuce plants. The antioxidant potential of the individual fraction was in order of n-butanol 〉 ethyl acetate 〉 water 〉 n-hexane fraction, although was less than that of commonly used antioxidants, BHT and ascorbic acid. Fractions from lettuce plants dose-dependently increased DPPH free radical scavenging activity, in vitro test. By means of HPLC analysis, BuOH fraction of cultivar 'Hwahyang' (57.93 mg 100g-1) had the highest amount of antioxidant chi orogenic acid. Shading treatment increased average amount of chlorogenic acid of all cultivars in BuoH, EtOAc, hexane and water fractions by 33, 120, 144, and 58%, respectively. These results suggest that lettuce plants had potent antioxidant activity, and their activities were differently exhibited depending on cultivar and fraction.
        174.
        2004.12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신선편이 양상치를 대상으로 전해수와 유기산의 단독 또는 병용처리에 의한 위해미생물의 살균효과를 조사하였다. 산성전해수는 액상배지에서 L. monocytogenes를 60초 내에 완전히 사멸하였으나, 알칼리전해수는 약 1.7 log CFU/g 정도 감소하였다. 그러나 L. monocytogenes를 접종한 양상치에서 산성전해수는 현저하게 살균력이 감소하여 3분 침지시 약 2.5 CFU/g의 감소를 나타내었으나 알칼리전해수는 산성전해수와
        175.
        2004.09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갈변과 미생물 증식으로 인해 저하되는 양상추의 품질을 향상시키기 위해 양상추를 최소처리하여 이들 품질저하요인을 제어하고자 하였다. 갈변억제방법으로는 다양한 침지수에 따른 화학적인 방법을 사용하였고, 미생물 증식억제방법으로는 염소처리법과 전기분해수 그리고 유기산 처리에 의한 방법을 사용하였다. 그 결과 양상추의 갈변은 색도에 있어서 ascorbic acid 1와 citric acid 1 혼합침지수로 처리하였을 때 초기 L 값이 5 수준에서 유의적으
        176.
        2004.08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It is difficult to produce lettuce in the summer season owing to bolting and several diseases, especially soft rot (Erwinia carotovora supsp. carotovora). We developed a bred the new red leaf lettuce cultivar “eokhagye” which is crisp, delicious and toler
        177.
        2004.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Adam” is a crisphead lettuce cultivar introduced by the National Institute of Highland Agriculture, Republic of Korea in cooperation with the New York State Agricultural Experiment Station. It was bred to be late bolting and to be resistant to cucumber m
        178.
        2004.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Mansang” (Lactuca sativa L.) is new romaine type lettuce cultivar developed from a cross between Late Texasgreen and Ithaca by the lettuce breeding team of National Institute of Highland Agriculture (NIHA), RDA in 2002. The preliminary, advanced, and reg
        179.
        2004.04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e new leaf lettuce cultivar “Cheonghagye” has been selected for summer season cultivation. The new cultivar is crisp, delicious, bitter taste and tolerant to soft rot (Erwinia carotovora supsp. carotovora). Breeding of “Cheonghagye” began in 1997 with a
        180.
        2004.04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Origin of “Chensang” began in 1997 with a cross between PI 342539 (late bolting and high yield) and PI 342498 (late bolting and disease resistance). We selected desired characteristics from advanced lines generated by pedigree selection until 2002. Especi
        6 7 8 9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