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7

        1.
        2017.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Because freesia is a crop that is typically vegetatively propagated from offsets, a degradation in its genetic character or an onset of after successive culturing over a long period. To produce virus-free freesia corms, apical meristem culture and rapid mass propagation must be established. This study aimed to establish the rapid mass production of in vitro freesia corms using a bioreactor. Shoots (12 – 15 cm in height) obtained from tissue culture were used as the plant material in a balloon-type bubble bioreactor in which medium strength, sucrose concentration, inoculation plant volume, and medium exchange method were determined. Medium strengths tested included full strength (1), 1/2, and 1/4 strength MS medium; sucrose concentration 9% 12%, and 15%, and inoculation plant volumes were tested at 40, 80, 120, and 160 shoots/1L medium. MS medium was supplemented with a 1/2 volume of the initial volume or the medium was completely exchanged with a new medium or not exchanged at all throughout the experiment. Results indicated the best growth of freesia corms at 1/2 strength medium, 9% sucrose, 120 shoots/L medium, with complete medium exchange 4 weeks after initiating the experiment. Under these culturing conditions, corms with 0.5 g fresh weight, 0.15 g d ry w eight, 1 3 mm h eight, a nd 0 .9 mm diaeter were harvested from the bioreactor within only 6 weeks, which were large enough to be planted in field. Thus, our results indicated that the cost and period for the production of freesia corms in vitro can be markedly decreased.
        4,000원
        2.
        2016.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프리지아 구경을 기내에서 급속대량증식시킬 목적으로 액 체진탕배양을 이용한 신초 생육 및 구경 비대에 적합한 몇 가지 조건을 구명하기 위해 실험을 수행하였다. 기내에서 획득 한 프리지아 부정아를 MS 배지 농도와 sucrose 농도를 달리한 액체배지에서 배양했을 때, 1/2 MS배지와 3% sucrose 농도에 서 생체중과 건물중이 가장 높게 나타나는 등 생육이 가장 빠 르고 좋았던 것으로 나타났다. 액체진탕배양에서 프리지아의 구경을 비대시킬 목적으로 배양 온도, sucrose 농도, 광의 유 무가 구경비대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실험을 수행하였다. 구 경의 비대는 1/2 MS 배지에 9% sucrose를 첨가하여 17℃ 암 조건에서 배양했을 때 가장 우수하였다. 이런 조건에서 6주간 배양하였을 때, 구경 생체중과 구고는 각각 2.5g, 23mm로 농 가에 정식 가능한 크기로 생장되었음을 확인하였으며, 이는 대조구(고체배지)에 비해 5배 이상 증가한 크기였다. 광조건 하에서도 구경 비대는 양호하였으나, 구경의 측아로부터 자구 가 발생하는 문제가 확인되었다.
        4,000원
        3.
        2015.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국내 육성 프리지아(Freesia)가 농가에 보급되고 시간이 지나면서 바이러스에 감염되거나 품질이 저하되는 문제가 발생하고 있다. 고품질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생장점 배양을 통해 무병종구를 만들고 기내에서 급속 대량증식하여 농가에 보급하는 일이 시급하다. 본 연구에서는국내에서 육성된 프리지아 ‘Shiny Gold’와 ‘Gold Rich’의자구를 이용하여 효과적인 급속 대량증식 기술을 찾고자실험을 수행하였다. 배지는 MS기본배지에 호르몬을 첨가하지 않은 배지와 5.0mg•L−1 NAA+5.0mg•L−1 Kinetin를 넣은 호르몬배지 2종류를 이용하였다. 치상방법은 자구를 횡으로 절단한 절편체를 정상으로 치상(정상치상)한경우와 위아래를 거꾸로 치상(역위치상)하는 2가지 방법을 이용하였다. 치상한 절편체는 23oC의 암배양실에서 5주간 배양한 후, 광도 60µmol•m−2s−1 (16/8, 주/야)의 광환경으로 옮겨 주었다. 치상 10주째에 두 품종 모두 역위치상하였을 때, 정상치상에 비해 부정아 발생이 2~6배 정도 증가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호르몬 유무에 상관없이 비슷한 결과를 보였다. 역위치상하고 19주 후 ‘ShinyGold’의 신초수는 기본배지에서 절편체당 42.7개로 정상치상에 비해 약 2.5배 증가되었고, 호르몬 첨가배지에서는 17.7개로 정상치상에 비해 약 7.1배 증가되었다. ‘GoldRich’를 역위치상 하였을 때, 기본배지에서는 신초수가 절편체당 55.4개로 대조구에 비해 약 1.7배 증가되었고, 호르몬 첨가배지에서는 61.0개로 대조구에 비해 약 2.4배증가되었다. 결론적으로 프리지아 자구를 기내에서 급속대량증식 하고자 할 때, 호르몬 유무와 상관없이 자구를횡으로 절단하여 역위치상 하는 방법이 효율적이라는 것을 알 수 있었다.
        4,000원
        4.
        2013.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국내육성 프리지어 절화 ‘Shiny Gold’에 대한 습 식 저장의 효과를 알아보고, 적합한 저장 온도 및 기간을 구명 하고자 수행하였다. 프리지어는 1, 3, 5oC에서 4, 8, 12일 동 안 습식과 건식으로 저장되었다. 습식저장이 건식저장보다 프리지 어 절화 ‘Shiny Gold’의 수명을 연장시켰으며, 개화율을 약 10% 정도 향상시켰다. 1oC에 저장된 ‘Shiny Gold’는 3oC와 5oC에 저장된 것보다 절화 수명과 품질이 좋았다. 저장기간별 절화 수명은 4일 동안 저장이 12일 동안 저장된 것보다 약 1~2일 정도 연장되었고, 프리지어 절화 ‘Shiny Gold’는 8일 이상 저장이 어려웠다. 따라서 프리지어 절화 ‘Shiny Gold’의 수명을 연장하고, 품질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습식방법으로 1oC에 4일 동안 저장하는 것이 적합하다고 판단된다.
        4,000원
        5.
        2012.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프리지아 구근수확 시기를 달리하였을 때 2단구가 형성되지 않으면서 구근을 장기간 보관할 수 있는 온도 및 기간 등 저장방법을 찾고자 실시하였다. 프리지아 구근 수확시기는 절화 직후와 절화 후 45일 2처리로 실시하였다. 구근 저장온도는 5, 10, 15, 20, 30οC, 저장기간은 20, 40, 60, 80, 100일 등 각각 5 처리를 두었다. 2단구는 구근의 생장점 부위에 싹이 맹아하지 않고 작은 자구가 발생하는 형태적인 변화를 말하는 것으로 저장 중 온도가 맞지 않을 경우 나타 난다. 시험결과를 보면 절화 후 바로 구근을 수확 할 경우 이본느 품종은 30οC로 80일 이상, 샤이니골드는 20οC에서 100일 이상, 30οC는 60일 이상 정식 전에 저장하면 정식 이후 2단구가 회피되었다. 절화 45일 후에 구근을 수확 할 경우에는 이본느와 샤이니골드 두 품종 모두 정식 전에 20οC에서 100일 이상, 30οC 는 40일 이상 보관하면 정식 이후 2단구 발생이 억제 되었다. 절화 직후 구근을 수확한 처리에서 구근을 30οC로 100일 저장 후 정식한 결과 샤이니골드와 이 본느 품종의 맹아소요일수는 각각 34일과 31일로 나 타나 한달 이상소요 되었지만, 절화 45일 후에 수확한 구근은 같은 처리에서 두 품종 모두 맹아소요일수가 7 일로 나타나 절화 45일 후에 수확한 구근의 휴면이 빨리 타파되는 것으로 밝혀졌다.
        4,000원
        6.
        2017.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For rapid production of freesia ‘Shiny Gold’ shoots by using a bioreactor, several culture conditions were investigated. Young shoots (< 1 ㎝) obtained from freesia corm section in vitro were used as plant materials for this experiment. As a basic experimental environment, 20 young shoots were inoculated into a 5 L balloon type bubble reactor which contained 1 L 1/2 strength MS medium supplemented with 30 g sucrose (3%), and the aeration was 0.1 vvm (vessel volumes per minute). The bioreactors were placed in a growth room with 23℃ temperature, 60% relative humidity and 60 μmol·m-2·s-1 light condition (16 h/8 h, day/night). The concentrations of MS media were set with 1/4, 1/2, 1 strength, medium volume 10, 20, 40%, sucrose concentration 3, 6, 9%, and aeration 0.1, 0.2, 0.4 vvm. After 4 weeks of cultivation, the growth indexes including the fresh and dry weight, and plant height were evaluated. At the same time, the consumption, pH, and EC of medium were estimated 4 weeks after incubating. The best results were achieved when 40 young shoots were incubated in a bioreactor in which 1 L of 1/2 strength MS medium supplemented with 6% sucrose was used for the rapid production of freesia shoots. The shoots were 17 cm in plant height and 1.0 g in fresh weight only 4 weeks after incubation which could be a good plant material suitable for corm enlargement i
        7.
        2016.0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Freesia is one of the most popular flowers over the world including Korea, due to the fragrance and beauty of the plant flower. The first domestic freesia cultivar ‘Shiny Gold’ was developed by NIHHS, RDA, in 2003, which has yellow double and large petals and strong fragrance. Ten years have passed since ‘Shiny Gold’ was cultivated at floral farms, and the deterioration of cut flower quality and yield are reported from the farms. Virus infection causes a reduction in the quantity and quality of the cut freesia flowers and is one of the most serious problems in Korea. Virus detection was carried by reverse transcription polymer chain reaction (RT-PCR) for FreMV, FreSV, BYMV, CMV, and TRV, as known to infect freesia. FreMV, FreSV, BYMV, and TRV were detected single or multiply, and CMV was not found in the freesia leaves collected from the farms. To produce virus-free freesia, meristem culture of ‘Shiny Gold’ was conducted in MS medium added ribavirin at different concentration. As the increased of ribavirin concentration, the growth of ‘Shiny Gold’ plantlets was inhibited in freesia’Shiny Gold’. The plantlets produced by meristem culture in ‘Shiny Gold’ were virus free at the enzyme-linked immunosorbent assay (ELISA) leve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