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3

        1.
        2023.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작업치료에서 과거와 비교하여 인지재활의 발전현황을 조사하고, 현재 인지평가와 인지중재에서 문제와 제도적 난제를 밝히며, 한국의 인지재활 발전을 위해 전략적 방향성을 제시하는 등 정책 제안을 도출하기 위함이다. 연구방법: 본 연구의 최초 조사대상자는 현재 작업치료 현장에서 직무수행을 하고 있고, 인지재활에 관심 있는 대한인지재활학회 정회원 3,448명을 선정하였다. 연구기간은 2022년 9월부터 2023년 2월까지 이루어졌 다. 이들 중 본 조사에 적극적으로 참여하여 성실하게 답변한 154명의 참가자가 최종 조사대상이다. 조사도구는 선행연구에서 인지재활 발전현황과 문제점 및 향후 발전방안을 델파이 조사를 통해 도출하고 타당성을 갖춘 104개 항목을 5점 리커트 척도로 정량화하여 사용하였다. 결과: 인지재활은 작업치료에서 지속적 발전을 거듭하였다. 법적으로 작업치료 업무범위로 보장을 받았고, 전문성 확보를 위한 전문 교육이 강화되었으며, 인지재활을 시행하는 기관과 치료사가 늘어났다. 그러나 작업수행 기반 인지재활 평가도구와 작업치료 시간 내 평가가능한 평가도구 개발이 필요하다. 제도적으로는 인지재활 의료보험 수가 확대와 인지재활 가이드라인 개발이 필요하다. 임상현장의 작업치료사들은 인지요소별 중재보다 작업수행 기반의 기능인지가 임상현장에서 실현되는 것이 필요하다고 인식하였다. 결론: 인지재활은 작업치료사의 주요 직무이고 지속적으로 발전하였다. 인지재활 발전을 위해 지난 과거부터 해결하지 못하고 난제로 남아있는 의료보험 수가 등의 제도 문제의 해결이 시급하다. 작업치료 현장의 발전을 위해서는 인지평가도구, 중재기술, 기능인지 중심 인지재활 적용 방법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5,500원
        2.
        2019.08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focused the recognition and preference of Korean traditional food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in order to make effective educational materials about Korean traditional foods for the elementary school students. According to the responses of 356 elementary school students participating in this research, they understood the concept of traditional Korean food and recognized positively, but did not have much interest. However, the more they liked Korean food, the higher their interest in Korean traditional foods and the higher utilization rates of Korean traditional foods. Most elementary school students enjoyed Korean traditional food occasionally, especially soup, jjigae, tang and jeongol. Elementary school students suggested that complicated recipes should be improved for the succession of Korean traditional foods and that the class for cooking traditional foods in schools should be expanded.
        4,000원
        3.
        2007.04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recognition and the perception for succession and development on Ge-Geol radish that has been grown in Icheon area. A total of 385 (male 118, female 267) aged over 20 years who lived in Icheon area were investigated from May to June 2006. Seventy five percent of the total subjects were recognized Ge-Geol radish, and only the 40.8% of them were recognized as regional special agriproduct exactly. And the rate of the subjects who had experience to eat Ge-Geol radish was just 40.8%. While preferences on Ge-Geol radish were relatively high among the subjects who have experience to eat. Reasons for liking were 'distinctive (43.8%)', 'eat from a child (24.5%)', 'tasty (15.1%)', and 'nutritious(8.3%)'. Reasons for disliking were 'rough texture (54.8%)', 'tasteless (9.7%)', 'unique smell (9.7%)', 'undesirable color (6.5%)', and 'indistinctive (6.5%)'. Also, most of the subjects considered the need for the succession and the development of Ge-Geol radish. Therefore, for expanding utilization of Ge-Geol radish, it should be contacted easily from a child and be developed as products suited to the consumer's needs by various cooking and processing methods.
        4,000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