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4

        1.
        2021.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유소년의 골연령에 따른 체력을 평가하는 데 있으며, 골연령에 따른 체력 표준지표 를 통해 유소년들의 균형적인 발달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 데 있다. 연구 대상은 골연령 11세∼13세 및 역연령 11세∼13세에 해당하는 730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골연령 산출을 위해 X-ray 필름을 촬영한 후 TW3 방법으로 평가하였다. 체격은 신장, 체중을 신장계(Hanebio, Korea, 2021), Inbody 270(Biospace, Korea, 2019)를 사용하여 총 2개의 체격 요소를 측정하였으며, 체력은 근력(악력), 평형성 (외발서기), 민첩성(플랫테핑), 순발력(제자리멀리뛰기), 유연성(좌전굴), 근지구력(윗몸일으키기), 심폐지구 력(셔틀런)으로 총 7개 체력 요소의 종목을 측정하였다. 자료처리 방법은 SPSS PC/Program(Version 26.0) 을 이용하여 기술통계, 독립표본 t-test 검정을 실시하였으며, p< .05수준에서 유의한 것으로 간주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11세∼13세 골연령과 역연령을 비교한 결과, 체력에서 남자는 근력, 순발력, 근지구력, 심폐지구력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여자는 근력, 평형성, 민첩성, 순발력, 유연성, 근지구력, 심폐지구력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둘째, 골연령에 따른 유소년의 성별과 연령(11∼13세) 별로 체력평가의 기초 자료인 골연령 체력 표준지표를 개발하였다.
        4,900원
        2.
        2021.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청소년들의 체격과 체력을 평가하는 데 있어 골연령이 더욱 효과적일 것이라는 점을 가정으로 진행하였으며, 본 연구의 목적은 청소년기의 학생들을 대상으로 골연령과 역연령을 통해 체격과 체력의 차이를 규명하여 청소년들의 체격, 체력의 균형적 발달과 학생들의 건강증진에 기여하는 데 있다. 연구 대상은 6세부터 16세까지의 총 1100명의 모집단 중 PAPS(학생건강체력평가)와 TW3 방법 연령 기준에 따라 총 874명(남자 483명, 여자 391명)의 11세∼16세 청소년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생물학적 성숙지표를 나타내는 골격성숙도는 X-ray 촬영 후 TW3(Tanner-Whitehouse 3) 방법을 이용하여 평가하였고 역연령은 출생년월을 사용하였다. 체격은 신장계, InBody270(Biospace, Korea)을 이용하여 2개 항목을 측정 하였고 체력측정은 총 7개 항목으로 근력, 평형성, 민첩성, 순발력, 유연성, 근지구력, 심폐지구력을 측정하였다. 자료처리 방법으로는 SPSS 25.0을 사용하여 독립표본 t-test를 실시하였고, p< .05 수준에서 유의한 것으로 간주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골연령과 역연령을 이용한 체격의 비교에서 11 세, 12세 남자는 키와 체중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으며, 13세 남자는 체중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11세 여자는 체중과 신장, 12세 여자는 신장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둘째, 골연령과 역연령을 이용 한 체력의 비교에서 11세 남자는 근력, 순발력, 유연성, 심폐지구력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고 12세 남자는 근력, 순발력, 심폐지구력, 13세 남자는 유연성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11세 여자는 근력, 순발력, 유연성, 근지구력, 심폐지구력, 14세 여자는 유연성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로 본 연구에서는 급격한 골 성장이 이루어지는 시기에는 골연령을 기준으로 체격과 체력을 평가하는 것이 역연령 기준으로의 평가보다 정확하다는 결과를 도출하였다.
        4,600원
        3.
        2007.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obtain baseline data of nutritional management for women's bone health according to age. This study was conducted through questionnaire, bone mineral density(BMD) measurement by DEXA and dietary survey by 24hr recalls to 134 adult women. Subjects were divided into three groups: young women group who aged 20-29(n=48), middle aged women group who aged over 30 and were pre-menopause(n=36), postmenopausal women group(n=48). The body fat percent of postmenopausal women group was the highest among the three groups. BMD of lumbar spine(L1-L2) were 0.93 g/cm2 for young women, 0.97 g/cm2 for middle aged women, and 0.88 g/cm2 for postmenopausal women, respectively(p〈0.05). BMD of femoral neck(p〈0.05), trochanter(p〈0.05), and ward's (p〈0.001) were significantly decreased as age increasement. Drinking alcohol and skipping meals were significantly higher in young women groups than in the other groups, however frequency of doing regular exercise was significantly lower in young women groups. Young women group consumed the significantly higher amount of cereals(p〈0.05), sugar and sweeteners(p〈0.001), meats(p〈0.01), eggs(p〈0.01), milks(p〈0.05) and oils(p〈0.001) than middle aged and postmenopausal women. Also, energy(p〈0.001), animal protein, (p〈0.01), plant oil(p〈0.001), animal fat(p〈0.001), retinol(p〈0.001), vitamin E(p〈0.01), and cholesterol(p〈0.001) intakes of young women were highest among the three groups. However, young women group consumed the significantly lower amount of dietary fiber(p〈0.05), vitamin C(p〈0.01), folate(p〈0.05) and fruits(p〈0.01) than the other groups. To summarized the our results, young women who were in still undergoing bone formation activity to develope peak bone mass, had more dietary habit and lifestyle problems than middle aged and postmenopausal women. The results of this study revealed that nutritional management and education for bone health should be emphasized in young women not only aged women.
        4,000원
        4.
        2015.10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TW3법에서 골성숙 가중치가 가장 높은 7부위를 선정하여 성장판과 골 말단부 사이의 길이를 측정하 여 연령과의 상관관계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실험은 2014년 3월에서 2015년 3월까지 성장판검사를 시행한 소아 72 명(남 36명, 여 36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소아 손 전후영상에서 성장판과 골 말단부 사이의 길이를 측정하여 회 귀분석을 하였다. 그 결과 각 연령마다 특정범위에 상응하는 평균과 표준편차 값이 나타났으며, 연령이 증가할수 록 성장판과 골 말단부 사이 길이가 감소하였다. 또한 여아가 남아에 비해 평균값이 작게 나타났으며, 회귀분석 결 과에서 성장판과 골 말단부 부위 측정 길이와 연령이 통계적으로 유의(p<0.001)한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소아 손 전후영상에서 TW3법의 응용을 통한 회귀방정식으로 골연령의 예측이 가능함을 알 수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