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적 : 본 연구의 목적은 복지 사회가 요구하는 작업치료서비스의 질 관리와 역량 있는 작업치료사를 양성 하기 위하여 국내 실정에 맞는 한국작업치료인증기준 평가항목을 개발하는 것이다. 연구방법 : 국내 작업치료학과 교수를 대상으로 2016년 6월부터 8월까지 한국작업치료인증기준 평가항목 의 타당성을 조사하였다. 평가항목은 문헌고찰 및 자료조사를 통하여 작업치료교육인증기준에 대한 6개 영역으로 구성하였으며, 항목의 타당도는 4점 척도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1차 조사를 통하여 회수된 84부의 타당도 분석결과를 바탕으로 포커스집단 회의를 통해 내용을 재검토하고 수정 보완하여, 작업치 료 핵심실무역량 평가요소 및 항목을 포함하여 최종 한국작업치료인증기준 평가항목을 구성하였다. 최종 평가항목은 작업치료교육전문가 10명을 대상으로 내용타당도를 조사하였다. 결과 : 한국작업치료인증기준 평가항목은 총 6개 영역, 15개 부문, 31개 하위항목으로 구성하였으며, 항목 별 타당도 평균은 3.3~4.0점까지의 범위로 최종 내용타당도 지수(Content Validity Index; CVI)는 0.8~1.0까지로 나타났다. 작업치료 핵심실무역량 평가항목은 상담/평가 및 중재/기타 2개 영역, 21개 하위항목으로 분류하였으며, 타당도 평균은 3.0~3.6점까지의 범위로 CVI값은 1.0이었다. 핵심실무역량 평가 방법으로는 실제 테스트가 상담/평가에서는 40.6%, 중재/기타에서는 37.5%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결론 : 한국작업치료인증기준을 확립하고 적용하여 역량 있는 작업치료사를 양성할 수 있는 교육시스템을 권장하고, 국내 모든 대학의 작업치료 교육의 질을 향상시킴으로써 작업치료서비스의 국제적 호환성 및 사회적 책무성을 달성할 수 있어야 할 것이다.
Under the WTO system, global standardization of professionalism in architecture practice calls for transformation of curriculum in architectural education in Korea. This paper compares the curriculum standards of international accrediting authorities such as NAAB and RIBA based on UIA accord which defines fundamental knowledge and abilities of an architect. As a result this paper extracts 51 achievement oriented criteria of architectural education in Korea. It can be categorized as communication, design, cultural context(history and theory, human behavior and social aspects), technical systems(structural systems, environmental control systems, construction material and assemblies) and practice(project process, project economics and business management, laws and regulations). Based on this recommended Korean curriculum standards, current curriculum is analyzed focusing on the 5 architectural programs in Seoul. Through this analysis, it became clear that some area - social and economic aspects in architecture, sustainability in architecture, understanding and selection of construction material, assemblies and environmental control system, recycling of existing building, professional liability, professional rules of conduct, project economics and project management - need to be covered and emphasized to meet the international standards in professional education in architecture. The result in this paper will be used as a basic data in the process of finding the direction of restructuring curriculum for professional architectural education in Kore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