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사람과 조직 그리고 이들을 둘러싼 환경 내에 존재하는 가치 있고 우수한 요인을 협력 기반의 질문을 통해 찾아 개발하고 발전시키는 변화의 방법인 Appreciative Inquiry(긍정적 가치탐색)를 활용하여 사교육기관의 지속가능경영 연구의 방향과 과제에 대한 체계적 문헌고찰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해 긍정적 가치탐색 방법이 소개된 1986년 이후 의 국내외 문헌을 웹 기반 전자데이터베이스를 활용하여 총 321건(국외 298편, 국내 23편)을 검토하고 분석하였다. 지속 가능한 사교육기관의 교육 경영을 위해서는 문제 중심의 접근법이 아닌 가치와 강점 중심의 접근법을 활용할 필요가 있 다. 사교육기관의 지속 가능한 변화와 발전을 위한 가치 중심적 접근과 연구의 중심에는 긍정적 가치탐색이 있다. 사교 육기관은 긍정적 핵심 가치탐색과 활용을 통해 이상적인 교육 경영 모델을 수립하고, 이해관계자들의 의미요소를 파악하 여 소통방안을 마련하며, 기관과 기관 종사자들의 강점과 장점 및 우수요인과 성공 경험을 통해 발전 전략을 세우고, 기 관의 잠재력 활용과 적극적인 구성원들의 참여를 통한 효용성 있는 협력체계를 구성해 나가야 한다.
본 연구의 목적은 미래학교 연구학교인 C 중학교의 스마트 기기를 활용한 과학 수업이 과학긍정경험과 과학 학습자 정체성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기 위함이다. 이를 위하여 미래학교 1학년 학생들을 대상으로 입학 당시와 1학년 을 마무리하는 시점에 과학긍정경험(Shin et al., 2017)을 탐색하기 위하여 대응표본 t 검증을 실시하였다. 또한 1학년과 2학년 학생들에게 과학 수업에서의 나의 이미지를 그림으로 그리고 간단히 그림에 대해 서술하도록 하여 수정·보완된 분석틀(Luehmann, 2009)에 의거하여 스마트 기기를 활용한 미래학교의 과학 수업에서 학습자 정체성을 살펴보았다. 연구 결과 스마트 기기를 활용한 과학 수업을 통해 과학관련 진로포부, 과학관련 자아개념, 과학학습 정서에서 유의미한 효과가 나타났다. 스마트 기기를 활용한 과학 수업은 주체성과 능동성의 수준을 향상시키고, 즉각적이고 충분한 피드백 을 통해 궁금한 것을 해결하고, 과학의 본성에 대한 의미 있는 인식을 경험하는데 도움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스마트 기기를 사용하는데 미숙한 학생들은 수업 시간에 적지 않은 부담감을 느끼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 결과는 향후 이루어질 스마트 기기를 활용한 다양한 수업 맥락을 구상하는데 기초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본 연구는 코칭과 긍정심리학과의 이론적 관계를 고찰하고, 긍정심리학 이론이 코칭 에서 어떻게 적용되는가를 탐색하기 위한 목적으로 코칭과 긍정심리학의 이론적 연계 성, 코칭의 핵심역량 및 코칭 기술과의 관련성에 대하여 살펴보았다. 이에 구체적 연구문제는 긍정심리학의 출현 배경, 정의와 접근방식, 핵심 연구주제를 기술하고, 긍정심리학 이론이 코칭 철학과 코칭 핵심역량의 이론적 토대가 되고 있는지, 마지막으로 코칭의 중요 기술인 경청하기, 질문하기에 긍정심리학 이론이 어떤 영향을 미치고 있는가이다. 연구결과, 긍정심리학 이론이 코칭 철학 및 코칭 핵심역량인 ‘관계의 공동구축’ 및 ‘학 습과 결과 촉진’의 이론적 토대가 되고 있음을 확인하였으며, 긍정심리학 이론은 코칭의 중요 기술인 ‘경청하기’와 ‘질문하기’ 기술의 이론적 배경이 될 수 있음을 탐색하였다. 따라서 긍정심리학은 코칭의 학문적인 기반을 강화하고, 코칭 현장에서 효과성을 향상 시키기 위해 주목해야 할 이론이라는 점에 주목할 수 있다.
본 연구는 긍정적 탐색(Appreciative Inquiry)을 활용하여 교사교육을 실행 한 사례로 부적 응 유아 지도를 위한 교사교육에 참여한 유아교사 54명을 대상으로 이루어졌다. 교사교육은 긍정적 탐색의 4-D 프로세스 수업모형에 따라 이루어졌고, 수업 종료 후 교육의 만족도를 살 펴보았다. 긍정적 탐색을 활용한 교사교육은 첫째, 4-D프로세스 운영을 위한 긍정 주제를 선 정하고, 둘째, 긍정 질문을 통해 과거와 현재의 부적응 유아 지도 최고의 경험을 발굴하고, 이 루고 싶은 이미지를 꿈꾸고, 이미지를 달성하기 위한 디자인하기, 실현하기 등의 단계로 진행 되었다. 그리고 교사교육의 만족도는 비교적 높게 나타났는데, 긍정적 탐색을 활용한 교사교육 은 교사자신을 긍정적으로 바라보게 되는 계기를 만들고 부적응 유아에 대한 인식의 변화를 꾀한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유아교사 대상 교사교육의 방법론으로 긍정적 탐색을 처음 시도해 보았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고, 긍정적 탐색 활용의 실제 적용 가능성 및 그 효과를 보 여줌으로써 유아교사 대상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본 연구의 목적은 개인의 경력개발역량이 긍정심리자본과 경력탐색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는 데 있다. 이를 위해 2개 전문대학 1학년 재학생 223명을 대상으로 실증연구를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경력개발역량은 긍정심리자본의 자기효능감, 희망, 복원력, 낙관주의에 유의미한 영향 을 미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둘째, 경력개발역량은 경력탐색행동의 직업에 대한 탐색과, 자신에 대한 탐색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긍정심리자본의 자기효능감과 희망은 경력탐색행 동에 정(+)의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검증하였다. 넷째, 긍정심리자본은 경력개발역량과 경력탐색행동 간 의 영향관계에서 부분 매개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는 전문대생의 긍정심리자본이 높아지도록 동기부여 환경을 제공하는 것이 경력개발역량과 경력탐색행동의 성과로 연결될 수 있음을 제시하였다. 연구결과를 토대로 연구의 시사점과 향후 연구방향 을 제시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