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2

        1.
        2025.01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현대 사회는 교사의 권위에 대한 많은 질문이 생기는 시대이다. 이러한 때에 루터의 직업윤리는 이러한 질문에 대한 답이 될 수 있을 것이다. 루터의 직업 윤리는 종교개혁의 위대한 결실이다. 그의 직업윤리는 중세의 이원론적 직업윤리를 배경으로 할 때에 잘 파악된다. 그는 구원, 목회직, 가족관계, 직업, 교회의 직분, 특별한 사명, 일상과 관련하여 7가지 의미의 “소명” 개념을 사용하였다. 1520년의 작품들에서 루터 의 직업소명론은 인간을 소외시키지 않고 오히려 인간의 삶과 직업에 더 큰 가치를 부여한다. 모든 일을 하나님과 이웃을 섬기는 일로 보기 때문이다. 디모데전서 3:13에 대한 주석(1527/28)을 보면, 영적 소명 과 외적 소명이 같은 자리를 차지하는데 그것은 후자가 전자보다 상위 자리를 차지해서가 아니라 두 소명 모두 그리스도를 기쁘게 섬기는 일이 되기 때문이다. 1530년대 창세기 주석에서 루터는 신자들이 감사하 면서 자신의 직업에 충실할 것을 권면한다. 여기서 루터의 의도는 바람직한 기독교인의 삶의 자세를 제시 하려는 것이지, 직업을 바꿔서는 절대 안 된다는 것이 아니다. 루터는 교육을 하나님께의 봉사를 위한 도 구로 보았다. 그는 신 앞에서는 모든 인간이 평등하며 그렇기 때문에 모든 사람이 교육의 대상이 되어야 한다고 하였다. 루터의 이러한 사상들이 오늘날 교사들에게 새로운 기준을 제시하여 그 사명감을 고취하 는데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으로 본다.
        6,100원
        2.
        2024.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이 연구는 기독교 신앙이 새뮤얼 존슨의 글쓰기와 작가로서의 소명 의식에 어떤 영향을 얼마나 깊이 미쳤는지를 그의 작품을 통하여 탐구한다. 존슨의 깊은 신앙적 배경은 인간의 본성과 사회적 책임, 그리고 문학의 역할을 인식하는 과정에 필요한 도덕적 틀을 제공했다고 볼 수 있다. 그에게 글쓰기는 사회를 계몽하고 인간의 미덕을 고양하는 수단이었고, 문학은 도덕적 책임을 지닌 매우 중요한 콘텐츠가 되어야만 했다. 이는 인간이 도덕적, 영적으로 성장해야 한다는 기독교적 신념과 일치한다. 동시에 존슨은 후원제도가 사라지고 출판이 발달하기 시작한 경쟁적인 18세기의 문화 속에서 작가의 지위가 변화하는 것을 깊이 인식하고 있었다. 가난과 질병의 고통을 겪었던 존슨에게 문학적 성취와 작가로서 독자의 인정을 받는 세속적 야망은 피할 수 없는 시대정신이었음을 의미한다. 이 논문은 이러한 기독교적 소명 의식과 세속적 야망이라는 두 가지 주제를 분석하며, 존슨은 여전히 기독교적 도덕주의자로서 영국 문학에 중요한 전통적 유산을 다음 세대로 이어간 작가임을 결론으로 제시한다.
        5,200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