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is study was conducted to examine the microbiological quality indicators (total bacterial count and coliform count) and physicochemical quality indicators (pH, redness, volatile basic nitrogen [VBN] content) of meat according to various storage temperatures (20~15oC) and packaging methods (wrap, vacuum). Based on these results, we proposed a safe consumption period. Redness, pH, and VBN content were not considered appropriate for setting the expiration date, as the redness and pH of the meat after spoilage were better than the standard values for both vacuum and wrap packaging (p<0.05). Additionally, the VBN content at 2 and 4oC increased slightly (fresh level) until the initial time of spoilage (1.0×106 colony-forming unit [CFU]/cm2) and then increased rapidly thereafter. Therefore, the results were not consistent with microbial spoilage. When the decay point was evaluated based on the presence of microorganisms, vacuum packaging extended the storage period approximately 2.5-fold when compared with wrap packaging, and the meat could be stored at 2 or 4oC for 40 or 23 days, respectively. Therefore, to evaluate meat quality, microbial indicators should be considered first. The microbiological standards proposed in this study can be used for safety management during the distribution of meat. However, to ensure meat safety, additional investigations of appropriate indicators of freshness must be conducted.
PURPOSES : The current research aims to evaluate the impact of coating materials and temperature on the percentage of bead loss in pavement markings. METHODS : Five mixtures with varying numbers of coating layers (C0, C1, C2, C3, and C4) were prepared to assess the effect of coating layers on bead loss. The effect of stripping was simulated using a modified Hamburg Wheel Tracking test. Furthermore, the influence of temperature and coating material on bead loss was examined using control mixture (without coating), YR, and SY coating mixtures. The percentage bead loss was evaluated by a developed image analysis program. RESULTS : The results demonstrated a substantial reduction in bead loss as the number of coating layers increased, with the C4 mixture showing an impressive 4.3% bead loss after 500 HWT braking cycles compared to 27.4% for the C0 mixture. Higher testing temperatures resulted in increased bead loss, with the control mixture exhibiting the highest percentage loss at 7,500 HWT rolling cycles. Conversely, the YR and SY coating mixtures displayed superior resistance to bead loss. Statistical analysis confirmed the significance of coating layers in reducing bead loss, further supporting the effectiveness of coatings in preserving bead adhesion during HWT cycles. CONCLUSIONS : The findings highlight the potential of coating materials as a key protective measure for enhancing the longevity and performance of pavement markings.
A magnetic abrasive finishing process was proposed for improving the surface accuracy of microscale -diameter STS 304 bar used in many applications such as, medical, aerospace, and nuclear industries. Most of the previous research has already explored the conventional finishing technique to improve the accuracy of material in terms of the surface roughness. However, their results are still not good enough for the requirement in the today’s engineering industry. Especially, when the workpiece is a material of microscale-diameter, use of such conventional processes becomes impossible because they entail the application of high pressures that may damage the surface to be finished. Moreover, less control is available over these conventional finishing processes. In this study, an ultra-high-precision magnetic abrasive finishing process was applied to the precision machining of microscale-diameter STS 304 bar and the experimental work are performed with many critical parameters such as, different workpiece revolution speeds, abrasive grain sizes, different finishing temperatures, and pole vibrations. The results showed that in The initial surface roughness of 0.20 μm (Ra) was decreased to 0.025 μm with 0.5 μm of abrasive grain size and pole vibration 12Hz at 40,000 rpm.
스테인레스 스틸에 대한 합성된 폴리우레탄-에폭시 수지의 기계적 특성은 SEM, FT-IR, 인장특성, 그리고 EIS에 의한 특정질량손실량, 입도분석 등에 의해 물성을 측정하였다. 친환경적인 중방식 도료에 관한 관심이 고조됨에 따라 스테인레스 등의 금속에 코팅하는 무용제 도료를 합성하였다. 폴리올, IPDI, 충진제, 실리콘 계면활성제, 촉매 등이 함유된 기존 중방식수지보다 폴리올, MDI, 충진제, 실리콘 계면활성제, 촉매가 함유되어 합성된 중방식수지의 도료가 온도변화에 따른 인장강도가 증가하였고, 전해성이 높은 용액 속에서 저헝력이 크게 측정되었으며, 내구력과 강도가 양호하였다. 견고한 중방 식수지의 기계적 특성은 가교와 부식환경의 차단력이 증가함에 따라 강도가 증가하였다. 결론적으로 중방식의 가교된 미세조직은 방청코팅이 어려운 스테인레스 스틸 같은 금속물질 코팅에도 좋은 실험결과를 보여주었다.
온도 구배에 따라 3가지 유형의 다양성 패턴(증가형, 종형, 감소형)이 보고되었다. 아직까지 이 세 가지 다양성패턴이 나타나는 원인을 종합적으로 설명하는 이론은 없었으나, 최근 권태성은 진화기반 다양성 모형으로 그것을설명하였다. 이 모형은 분류군이 최초에 진화한 지역의 온도조건에 따라 다양한 유형의 다양성 패턴이 나타날것으로 예측하였다. 열대기후에서 진화한 분류군은 우리나라에서 증가형의 다양성 패턴이, 온대기후에서 진화한분류군은 종형이나 감소형 패턴이 나타날 것을 예측한 바 있다. 이 가설을 검정하기 위해 연평균 기온이 7.4℃에서12℃ 의 온도구배에 따라 6개소 조사지(활엽수림)를 선정하여 함정트랩에서 채집한 노린재목 곤충(진딧물 제외)의다양성(종수)를 비교하였다. 노린재의 다양성은 기온이 높을수록 낮아지는 감소형 패턴이었다.
본 연구에서는 동양배 ‘진황’의 1-MCP처리 후 유통온도에 따른 과실의 품질 변화를 관찰하였다. 과실의 감모율의 경우 저장온도가 낮을수록 적었으며 1-MCP처리구가 무처리구 보다 유의하게 적은 감모를 보였다. 수확 후 1-MCP처리는 과육경도에서 유통온도(18, 25 및 30oC)와 관계없이 20N이상으로 무처리구보다 높게 유지 되었다. 과피색의 변화는 모든 처리구에서 저장기간이 길어질수록 어두워졌으며, a*값은 18 및 25oC에서는 처리구간 차이를 보이지 않았지만, 30oC에서는 1-MCP처리구가 유의하게 적은 변화를 보였다. 과실의 생리장해에서 과심갈변, 분질과 발생은 저장온도가 낮을수록 발생이 적었으며, 1-MCP 처리구가 무처리구 보다 낮은 발생을 보였다. ‘진황’과실에서 1-MCP처리후 유통온도에 따른 과실의 품위유지 기간은 18 및 25oC에서는 28일 내외이며, 30oC에서는 21일 내외로 1-MCP 처리로 유통 기간을 약 7일 이상의 품위유지에 효과를 보였다. 이러한 결과는 특히 고온의 시장조건에서는 조생종 ‘진황’ 과실에 1-MCP처리가 품위유지에 효과적인 것으로 사료 된다.
최근 신선 유통되는 퉁퉁마디는 식물 체내 수분 함량이 높고 조직이 단단하지 못해 저장성이 낮은 식물로 MA 저장을 통해 저장성을 향상시키고, 최근 새롭게 개발된 비천공 breathable(NPB) 필름을 적용하여 각기 5℃와 10℃로 저장하여 실제 유통 수준에서의 영향을 알아 보았다. 또한 신선 편이 제품으로의 유통 가능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3cm, 5cm, 그리고 10cm로 각각 절단하여 저장성을 상호 비교하였다. 그 결과 10℃에 비하여 5℃ 저장 조건이 NPB 필름을 적용 하였을 경우 저장력이 우수한 결과를 보였는데 저장중 생체중의 감소율은 5℃에서 25일 저장 종료일까지 2% 이내의 결과를 보였고 10℃에서는 저장 15일 후에 100,000cc NPB 필름을 제외하고 2% 이내의 감소율을 나타내었다. 5℃와 동일 기간인 15일을 기준으로 비교하면 5℃가 1% 이내의 감소율을 나타내 상대적으로 우수한 결과를 보였다. 동일기간 동안 측정한 이산화탄소와 산소 농도의 변화에서는 5,000cc NPB 필름이 MA 저장시의 특징을 보였다. 저장중 포장내 에틸렌 농도는 진공 필름에서 NPB 필름처리들보다 10~100배까지 높았으나, 크기별 차이에 통계적 유의성은 없었다. 각기 5℃에서 25일간 그리고 10℃에서 15일간 저장한 이후 항산화 활성을 측정, 상호 비교한 결과 5℃가 10℃보다 두배 이상의 항산화 활성도를 나타내었고 100,000cc NPB 필름에서 높은 활성도를 보였고 크기별로는 10cm 크기가 활성도가 낮아지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저장 종료후 관능검사를 통한 외관품질과 이취를 평가한 결과 5℃ 처리와 5,000cc 필름을 적용한 구에서 상대적으로 높은 수준으로 나타났다. 본 실험을 통하여 5℃, 저장시 5,000cc NPB 필름을 MA 저장에 적용하는 것이 타당하다는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다만 실제 유통 현장에서 사용되는 온도조건이 10℃임을 고려하면 10℃ 저장 시 10cm 크기에는 100,000cc NPB 필름이 단기유통이라는 측면에서 적용이 가능할 것 으로 판단되었다.
This research aim to investigate the qualitative and quantitative performance of concrete deteriorations using Pulse Square Thermography (PST) technique. An experimental test of ten cases was conducted on a concrete slab specimen under different meteorological conditions. The results showed that the absolute contrast between defective area and sound area decreases with the falling of ambient temperature. Besides, the delamination with identical size but placed at a deeper position indicates lower absolute contrast than the shallow del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