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국내에서 흔히 유통되는 박류 단미사료의 정확한 사료 유래 대사 단백질(metabolizable protein from feed, MPfeed) 함량을 제시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MPfeed를 측정하기 위해 반추위 미분해 단백질(rumen undegradable protein, RUP) 함량과 RUP의 소장소화율을 평가하였다. 시료 각각의 RUP 함량을 측정하기 위해 홀스타인 거세우 2두를 이용하여 in situ 반추위 분해율 실험을 수행하였다(0, 3, 6, 12, 24, 48, 72, 96, 120 h). 각 시료의 소장소화율을 측정하기 위해 12 h in situ 배양을 마친 시료들은 인공 4위액과 인공 소장액에 순차적으로 배양된 후 잔량 측정되었다. RUP와 소장 분해율을 측정을 통해 측정된 MPfeed는 전지대두가 45.1%로 가장 높았으며, 국산 대두박(44.3%), 팜박(42.7%), 옥수수 주정박(dried distiller’s grains with solubles, DDGS, 40.7%), 수입산 대두박(40.2%), 호마박(39.7%), 야자박(39.3%), 채종박(28.4%), 옥 글루텐 밀(26.5%), 옥 배아박(20.5%), 해바라기박(15.3%), 옥 글루텐 피드(14.5%), 아몬드박(5.25%) 순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 사용된 시료들의 MPfeed는 미국사양표준에서 제시하고 있는 수치와 차이를 나타내었는데, 이는 MPfeed를 측정하기 위해 사용되는 RUP 함량과 RUP의 소장소화율에서 차이를 보임에 의한 것으로 추정된다.
Diets different in crude protein (CP) and undegraded intake protein (UIP) contents were offered to sheep in a metabolism study to describe their effects on nutrient digestibility and nitrogen (N) metabolism. Six Corriedale sheep (body weight=56.2±2.3 kg) were divided in random within a Latin square design (replicated) to 1 of 3 diets: 1) a low-CP diet (LP; 12.2% CP with 35.1% UIP), 2) high CP with low UIP diet (HPLU; 14.9% CP with 33.7% UIP), and 3) high CP with high UIP diet (HPHU; 15.5% CP with 45.8% UIP). High-protein dried distillers grain and soybean meal were the main CP sources for the adjustment of UIP:DIP in the diets. No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found in feed consumption and nutrient digestibility; however, a greater proportion of CP was digested in sheep fed the HPLU diet (69.4%; P=0.04). Although N intake was greater in sheep receiving HPLU and HPHU diets, loss of N through fecal or urinary route was not different among sheep, which resulted in the highest (12.7 g/d) and lowest N retention (7.40 g/d) in HPHU- and LP-fed sheep, respectively. In conclusion, although CP or UIP content had marginal effects on feed consumption and whole-tract digestibility of the majority of nutrients, with the increased CP and UIP levels in the diet, the efficiency of N utilization was improved with regard to increased N retention with minimal differences in N excretion, which is important from an economic and environmental standpoint.
반추동물의 급여 단백질 효율성은 반추위 내 미생물 발효에 따른 우회단백질, 미생물체단백질, 사료 및 미생물체의 아미노산 구성 등에 의해 결정된다. 실험 1은 주요 단백질 사료원료 중 국내 한우 사육에 주로 이용되는 사료원료 15종[옥수수(남미), 옥수수(우크라이나), 단백피(국내), 단백피(중국1), 단백피(중국2), 대두박(국내), 대두박(미국), 대두박(브라질), DDGS(미국), 팜박(인도네시아), 채종박(캐나다), 루핀(미국), 미강(국 내), 주정박(국내), 타피오카(인도네시아)]의 반추위 내 단백질과 아미노산의 우회 수준을 측정하였다. 캐뉼라 장착 한우 암소를 이용하여 in situ 실험을 진행하였다. 우회 단백질 함량은 타피오카(인도네시아)에서 59.98%로 가장 높았다. 타피오카(인도네시아)는 총 우회 아미노산 함량이 73.73% 로 가장 높았으며, glutamic acid (Glu)와 alanine (Ala)이 72.17%, 75.23%로 가장 높았다. 실험 2에서는 실험 1과 같은 원료를 사용해 반추위 내 미생물 발효 특성에 따른 미생물체 아미노산 조성분석을 실시하였다. 실험 결과 채종박(캐나다)의 pH는 6.99 (p<0.05), 미생물 단백질 합성량은 326.53mg/100mL (p<0.05), NH3-N의 농도는 단백피(중국 1)가 48.20mg/100mL (p<0.05)로 높았다. 옥수수(우크라이나)의 총 VFA 농도는 97.92mM (p<0.05)이었다. 미생물의 총 아미노산 함량은 대두박(미국) 52.07%로 높았으며 아미노산 조성은 모든 시험 사료에서 Glu가 높았다. 따라서, 본 연구는 한우의 급여 단백질 사료원에 대한 반추위 내 우회단백질, 우회아미노산함량과 반추위 내 미생물 아미노산 조성에 대한 연구를 실시하였으며, 향후 한우 단백질 급여사료원에 대한 대사단백질(MP) 공급체계의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