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22

        1.
        2020.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개미사돈아과의 미기록종인 멧개미사돈(Parapyxidicerus carinatus Sawada, 1964)(신칭)을 한국에서 처음으로 보고하며 이들이 속한 한국 미기록족 Bythinoplectini에 대해 함께 보고한다. 털어잡기 방법으로 세 개체의 표본이 경기와 강원도의 물가에서 확보되었다. 정확한 동정을 위해 외형과 진단형질의 사진 그리고 분포지도를 함께 제공한다.
        3,000원
        2.
        2019.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개미사돈아과의 미기록종인 Philoscotus rostralis Nomura를 한국에 처음으로 보고한다. 정확한 동정을 위해 외형과 진단형질의 사진과 분포 지도를 함께 제공한다.
        3,000원
        3.
        2019.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갈색어깨무늬뾰족반날개[Bolitobius princeps (Sharp)]를 한반도에서 처음으로 보고한다. 외형사진과 식별형질의 그림을 제시한다.
        3,000원
        4.
        2018.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붉은뾰족반날개[Tachinus (Tachinus) javanus Cameron]를 한반도에서 처음으로 보고한다. 기재문, 외형사진과 식별형질의 그림 및 북방뾰 족반날개속의 검색표를제시한다. 큰갈색뾰족반날개[Tachinus (Tachinus) yezoensis Li]의 수컷형질을 추가하여 재기재한다.
        4,000원
        5.
        2017.04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반날개과는 지구상에서 가장 성공적인 분류군으로 바다를 제외하고 모든 육상 서식처에서 발견된다. 이들은 현재까지 약 32아과 3,643속 59,966종이 기록되어 있으며, 국내에는 16아과 202속 575종이 알려져 있다. 대부분의 종들은 포식성으로 토양생태계에서 유기물을 섭식하고 분해하는 등의 매우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고 있으며, 일부는 균식성, 부식성, 식식성 등 다양한 섭식 형태를 가진다. 반날개과는 국내 여러 연구자가 존재하기 때문에 종 다양성과 분류학적 정보가 풍부하고 정량적인 채집과 종 동정이 가능하여 우리나라 산림생태계 연구를 수행하는데 매우 효과적이다. 최근 국외에서는 산림 토양생태계 먹이사슬에서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는 반날개를 이용하여 다양한 연구가 수행되고 있으며, 산림 내 토양환경과 식생에 따른 반날개의 다양성을 확인하고 서식지 유형을 나타낼 수 있는 지표종 탐색을 시도해왔다. 국내에서도 산림 내 반날개 다양성 연구를 비롯해 이들을 이용한 산림생태계의 다양한 연구들을 제안하고, 그 중요성 및 필요성을 논의하고자 한다.
        6.
        2017.04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뉴질랜드산 Faronitae 상족의 형태 및 분자데이터를 이용한 분류학적 연구를 수행하였다. 이 상족에 속한 대부분의 속과 종들은 1800년대 후반과 1900초반에 기재되었고 그 당시의 분류기법의 한계로 인해 대부분이 색이나 겉모양에 근거를 하여 기재가 되었다. 이번 연구를 통해 8신속 143신종을 발견하였으며 이미 알려진 3속에 대해서도 종 수준의 재검토를 수행하였다. 84종의 동명이명이 수정되었으며 7개의 후기준표본을 선정하였다. 더 정확한 분류와 이들의 진화적 유연관계를 알아보기 위해 형태와 분자 데이터를 사용하여 계통분석을 실시하였다. 형태와 분자 계통도에 분지형태의 차이는 이었지만 가장 큰 속인 Sagola속이 단계통이라는 점과 두 그룹으로 분리되는 Stenosagola속 이 측계통이라는 점, 그리고 호주산 Sagola속이 뉴질랜드산의 종들과 단계통이 아니라는 점은 일치 하였다
        7.
        2016.0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반날개과(Staphylinidae)의 도랑넓적반날개아과(Micropeplinae Leach)를 국내에 처음으로 소개하고, 이 아과의 도랑넓적반날개 (Micropeplus fulvus japonicus Sharp)를 보고한다. 성충과 수컷의 생식기에 대한 사진을 제공한다.
        3,000원
        8.
        2016.0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반날개과(Staphylinidae)에 속하는 미기록아과인 입치레딱부리반날개아과(Megalopsidiinae)를 처음으로 소개하고, 그에 따른 입치레딱 부리반날개(Megalopinus japonicus (Nakane))를 보고한다. 성충 사진, 수컷의 생식기 및 9번째 복판에 대한 사진을 제공한다.
        3,000원
        9.
        2015.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한국산 딱부리반날개속(Stenus Latreille)의 8종에 대해 보고한다. 이들 중, 3종(Stenus burjaetus Puthz, S. depressus Puthz and S. gibbicollis J. Sahlberg)은 한반도산 미기록종이고, 나머지 5종은(S. coronatus coronatus L. Benick, S. decoratus L. Benick, S. koreanus Puthz, S. rugipennis Sharp and S. sharpi Bernhauer and Schubert)은 남한에서 처음 보고되는 종들이다. 8종의 성충 사진, 수컷의 생식기 및 9번째 복판에 대한 그림과 한국산 딱부리반날개속의 종 검색표를 제공한다.
        4,000원
        10.
        2013.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한국산 딱부리반날개속(Stenus Latreille)의 미기록 3종[Stenus (Stenus) latissimus latissimus Bernhauer, S. (S.) hammondi Puthz 및 S. (Hypostenus) dissimilis Sharp]을 보고한다. 성충 사진, 수컷의 생식기 및 9번째 복판 그림을 제시한다.
        4,000원
        11.
        2005.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잎응애류의 포식성 천적인 민깨알반날개의 실내사육에 필요한 몇 가지 생태적 특성 즉 산란 습성, 성충우화율, 저장온도 그리고 귤응애의 밀도억제효과를 시험하였다. 민깨알반날개 암컷성충은 유자잎 뒷면에 를 산란하였으며, 그중 를 귤응애의 탈피각이나 배설물로 알 표면을 피복하였다. 과수원 내 밭토양에서는 민깨알반날개의 우화율이 였는데, 밭토양 대신 원예용상토를 사용했을 때 로 향상되었다. 대부분의 유충은 지면으로부터 2 cm이내 깊이에서 번데기가 되었다. 성충 저장에 가장 적합한 온도는 발육영점온도인 이며, 저장 10, 20, 30일 후에 생존율은 각각 96.7, 73.3, 였다. 유자에 발생한 귤응애 방제를 위한 효율적인 방사비율은 150:1 미만으로 방사하였을 때 가장 효율적이었다.
        4,000원
        12.
        2005.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잎응애류의 포식성 천적인 민깨알반날개의 발육단계별 형태적 특징과 행동습성, 그리고 월동에 대하여 조사하였다. 알은 0.3 m 크기의 노랑색 타원형이었고, 유충은 3번 탈피하며 다자란 3령 유충은 길이 1.6 mm, 폭 0.4 mm이며 행동이 민첩하였다. 땅속에서 고치를 짓고 그 안에서 번데기가 되며, 성충은 광택이 있는 암갈색으로 막질의 앞날개는 복부의 절반만 덮고 있는 형태였다. 민깨알반 낱개는 주로 과수원 주변의 삼나무 방풍수에서 성충으로 월동하였다. 그러나 겨울철에도 하우스와 같이 따뜻한 곳에서는 휴면하지 않았다.
        4,000원
        13.
        2003.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포식성 천적 O. kashmiricabenefica의 식식성 응애류 3종에 대한 포식량, 포식선호성 그리고 동족포식을 조사하였다. 성충의 일평균포식량은 먹이인 응애의 밀도와 온도가 높을수록 증가하였다. 항온조건하에서 O. kashmirica benefica 성충의 일평균포식량은 귤응애, 점박이응애, 차응애 성충을 각각 21.9, 13.5, 14.1마리씩 포식하였다. 유충의 포식량은 영기가 증가할수록 많아져서, 1령, 2령, 3령 유충이 각각 2.8, 11.2, 25.4마리의 귤응애 성충을 포식하였다. O. kashmirica benefica 유충은 귤응애, 점박이응애, 차응애 성충을 유충기간(5일, )동안 각각 77.7, 61.3, 73.0마리씩 포식하였다. O. kashmirica benefica 유충과 성충은 글응애, 점박이응애, 차응애 중에서 특정한 종을 선호하는 경향은 없었으며, 먹이가 없을 때에도 동족포식 정도는 매우 낮았다.
        4,000원
        14.
        2002.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전남 고흥지역의 유자과원에 발생하는 글응애와 그 우점천적인 O.kashmirica benefica의 발생소장과 온도별 발육특성, 발육영점온도 그리고 유효적산온도를 1997년부터 2000년까지 4년동안 조사하였다. 15, 20, 25, 3 항온조건에서, 알부터 우화까지 발육기간은 각각 67.3, 31.4, 19.4, 15.3일이었고, 각 태별로는 번데기, 알, 3령 유충, 2령 유충, 1령 유충 순으로 발육기간이 길었으며, 암성충의 일평균산란수는 각각 3.3, 5.6, 7.3, 7.7개로 온도가 높을수록 산란수는 증가하였으나, 부화율과 우화율은 에서 각각 92%와 60%로 가장 높았다. 성충 수명은 암컷이 54.3일, 수컷이 58.6일로 숫성충이 약간 길었고, 자연발생 상태에서 성비는 0.58이었다. 알, 1령 ,2령, 3령 유충, 번데기 그리고 알에서 번데기까지의 발육영점온도는 각각 12.7, 10.0, 10.8, 7.9, 10.1, 10.6였고, 유효적산온도는 41.4, 22.9, 22.7, 46.6, 165.3, 292.9일도였다. O.kashmirica benefica는 유자과원에서 4월 상순부터 12월 상순까지 발생하고, 발생최성기는 글응애 발생량에 의존하여 해에 따라 다르며 발생최성기에 글응애와의 비율은 100-200:1이었다.
        4,000원
        16.
        2000.12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한국산 알뾰족반날개속에 대한 분류학적 연구를 수행하였다. 조사된 8종에서 한국산 미기록종은 다음 7ㅈㅇ으로 밝혀졌다. Sepedolhilus amurensis Schilke, S. fimvriatus(Sharp), S. marshami(Stephens), S. simulans Nakne and Sawada, S. suvarmatus Naomi and Matuyama, S. tiialis(Sharp), and S. varicornis(Sharp). 한국산 알뾰족반날개속에 대한 검색표를 작성하였고, 종을 기재하였으며, 진단 형질을 조식하였다.
        4,600원
        17.
        2000.09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한국산 긴머리개미반날개속에 대한 문류학적 검토를 수행하였다. 본 연구 결과 한국산 긴머리개미반날개속은 미기록종인 Ochethphilum pectorale(Sharp)(홍딱지긴머리개미반날개)(신칭)를 포함하여 3종으로 정리하였다.
        4,000원
        18.
        2000.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한국산 시베리아뽀족반날개속에 대한 분류학적 재검토를 시도하였다. 3종의 한국산 미기록종이 밝혀졌다 [Tachinus (Tachinoderus) nigriceps Sharp, Tachinus (Tachinus) sharpi Bernhauer & Schubert, and Tachinus (Tachinus) yezoensis Li]. 한국산 시베리아뾰족반날개속은 총 5종이 되며, 종 기재를 하였고 진단 형질을 도식하였다.
        4,000원
        19.
        2000.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한국산 곰보개미반날개 아족의 분류학적 검토를 수행하였다. 2속 5종이 동정되었고 이들 중, 4종 [Nazeris opatatus (Sharp), Astenus brevipes (Sharp), A. porosus (Sharp), and A. suffusus (Sharp)]이 미기록종으로 밝혀졌다.
        3,000원
        20.
        2000.03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한국산 긴개미반날개아족에 대한 분류학적 검토를 수행하였다. 본 연구 결과 한국산 긴개미날개아족은 미기록종인 Domene crassicornis(Sharp)(검은왕개미반날개), Domene curtipennis Sharp(검붉은딱지왕개미반날개), Tetartopeus pallipes(Sharp)(황점무늬긴개미반날개) 및 Tetartopeus fragile(Sharp)(황띠무늬긴개미반날개)를 포함하여 3속 5종으로 밝혀졌다.
        4,000원
        1 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