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trescine은 일반적으로 미생물의 활동에 의해 발생되며, 신선함의 척도로서 사용된다. 그러나 동결건조된 로열젤리에 대한 putrescine 의 분석법은 아직 확립되지 않은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C18 컬럼을 이용하여 동결건조 로열젤리 내 putrescine을 분석하기 위한 UPLC 분석 법을 확립하고자 하였다. 새롭게 확립된 분석법은 7분 이내에 putrescine을 분석 가능하였으며, 이러한 분석법을 검증하기 위해 특이성, 직선성, 정밀성, 정확성, 정량한계, 정성한계 등을 평가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동결건조 로열젤리의 신선한 정도를 평가하기 위한 분석법을 제공하였으 며, 추후 안전성의 척도에 대한 자료로서 활용 가능할 것으로 기대되어진다.
서양종 꿀벌(Apis mellifera L.)의 봉독은 예로부터 항염증과 탁월한 진통 효과로 인해 많은 질병 치료에 이용되어 왔다. 이러한 기능성은 멜리틴과 같은 봉독의 다양한 활성물질로부터 기인하며 약리기전에 대한 연구도 활발하다. 그러나 아직까지 봉독 내에 존재하는 생체아민에 대한 연구는 미흡하다. 본 연구에서는 초고성능액체크로마토그래피를 이용하여 봉독 내에 존재하는 생체아민인 putrescine의 존재 여부를 확인하였으며 이에 대한 밸리데이션을 수행하였다. 밸리데이션은 특이성, 정확성 및 정밀도를 평가하고 분석법을 검증하였다. Putrescine 분석의 선형성은 R≥0.99로 높은 선형성을 나타냈으며, 검출한계는 0.9 μg/ml, 정량한계는 2.7 μg/ml였으며, 회수율은 96.4%-99.9%로 나타났다. Intra-day 정밀도와 inter-day 정밀도의 상대표준편차(RSD) 값은 각각 0.16%-0.23%와 0.09%-0.36%였으며, 이는 RSD 값이 5%이하의 우수한 정밀도 를 보였다. 따라서 본 분석법은 putrescine 분석에 있어서 선형성, 검출한계, 정량한계 및 회수율을 모두 만족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봉독 내에 존재하는 putrescine의 함량을 조사해본 결과 3.1 ± 0.09 mg/g 존재하였으며 본 연구를 통해 봉독 내 putrescine 함량에 대한 기본적인 데이터를 제공하며, 이는 다양한 생물 활성에 대한 추가 연구에 유용할 것으로 사료된다.
Background : Korean mountain ginseng adventitious roots culture extract fermentation product (KGEF) is increased the content of low molecular weight ginsenoside Rk1 and Rg5 by purifying, steaming, and fermentation of the wild ginseng adventitious roots culture. In Ministry of Food and Drug Safety, the analysis method of low molecular weight ginsenoside (Rk1, Rg5, Rh2, compound K, etc.) has not been proven, therefore we conducted validation to confirm the suitability of the qualitative and quantitative analysis method for Rk1 and Rg5.
Methods and Results : Quantitative analysis was performed at a maximum absorption wavelength of 203 ㎚ (specificity). It was confirmed that the retention time of each peak of Rk1 and Rg5 was separated by chromatogram. The separation degree of Rk1 and Rg5 was 2.15 more as 1.5 a result of calculation according to the formula to evaluate the separation limit. (accuracy). The recovery rate was 101.5% of Rk1 and 103.9% of Rg5 in KGEF. (repeatability). The area value of ginsenoside Rk1 and Rg5 showed high reproducibility with relative standard deviation Rk1 0.86% and Rg5 0.68%. Retention time was also reproducible with relative standard deviation Rk1 of 0.054% and Rg5 of 0.09%. (linearity). The correlation coefficients were 0.999 of Rk1 and 0.999 of Rg5. The reproducibility of retention time in linearity was also high, with relative standard deviation Rk1 0.0017% and Rg5 0.0017% (limit of quantification, limit of detection). The quantitative limit of Rk1 was 53.73 ㎍/㎖ and the detection limit was 17.73 ㎍/㎖ and the detection limit of Rg5 was 259.03 ㎍/㎖ and detection limit was 85.48 ㎍/㎖.
Conclusion : In this study, we validated ginsenoside Rk1 and Rg5 for identification and content testing. It will be enables to verify physicochemical differentiation and analytical methods, and to be a research-based data of low molecular weight ginsenosid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