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2

        1.
        2018.04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stylobate for expanding the external stage area was the most frequently installed installment out of the installments installed for royal court ceremonies. The stylobate was installed for various ceremonies such as funeral rites, ancestral rites, customary formalities, state examination, feasts for celebrating a honored guest of the court, queen’s silkworm cultivating ceremony, heir appointment, the presentation of honorary titles for the king or queen in honor of their merits, and entertainment of foreign dignitaries. The exact period stylobates came to be used for the play stage. The stylobate consists of the 紅座板, 屯太木, 竹欄間, 足木, and the 層橋. Depending on the 足木, the substructure of the stylobate, the stylobate could be divided into the 長足木, 中足木, 短足木, 平足木type. The detail structure of the stylobate changed in form from the jokmok and duntaemok that appeared until the time of King Seonjo, into the 長屯太木, 短屯太木, and the 短短屯太木 during the time of King Heonjong. With the introduction of the 中足木, materials began to become more segmented and the structure stronger. According to existing records, while the height of the stylobate was not significantly high prior to King Seonjo’s reign, the 十四層雲橋and the 十三層層橋introduced during the time of Emperor Gojong was designed to reflect his rank in external ceremonies while the eight story step bridge was exhibited in internal ceremonies to reflect the rank of Queen Mother Sinjeong. From here, we can deduce that the fourteen and thirteen story cloud bridges representing the king was of a higher grade than the eight story step bridge which represented the queen mother. Finishing by adding boards to the lower part of the stylobates began to appear in the time of King Seonjo. During King Heonjong’s reign, the lower finish became gentrified with a thin board called 修粧板, and yeomupan 廉隅板for decorating the edges of the stylobates were installed. Such style of finishing the lower part of the stylobate with boards mostly appeared in elaborate feasts 進饌and celebrations 進宴within the royal court 內宴. The stylobates appeared to have served not only practical purposes such as expanding the stage area, but also as installments which realize the authority and prestige of the royal crown. They were installed according to the purpose of the ceremony and the rank of the participant. In short, stylobates became established during King Seonjo’s reign, became segmented and gentrified during King Heonjong’s reign, and began to take height variations during Emperor Gojong’s reign to reflect the rank and authority of the king and queen mother. As such, it can be considered another characteristic of Joseon Dynasty architecture.
        4,300원
        2.
        2014.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보계시(寶雞市)는 섬서성(陝西省)의 서남부에 위치하여 관중(關中) 지역에서 남쪽으로 사천(四川)으로 통하고 서쪽으로 감숙(甘肅)에 이 르는 교통의 요충지이다. 예전에는 진창(陳倉)이라고 일컬었다. 여기 에 속하는 기산현(岐山縣)과 부풍현(扶風縣)은 주(周)나라의 발원지이 다. 청(清)나라 후기 이래로 이 지역에서는 다량의 양주(兩周)시기 청 동기(青銅器)가 끊임없이 출토되어 명실상부한 청동기의 고향이라고 할 수 있다. 본고에서는 이 지역에서 고고학적으로 발굴된 청동기군(青銅器群) 을 선별하고 고고유적에 의거하여 교장(窖藏)과 묘장(墓葬)으로 크게 분류하였다. 교장의 청동기는 장백1호교장(莊白一號窖藏), 동가촌1호 교장(董家村一號窖藏), 양가촌교장(楊家村窖藏), 오군서촌교장(五郡西 村窖藏), 운당1호교장(雲塘一號窖藏), 태공묘진공교장(太公廟秦公窖藏) 등이 포함되었다. 묘장은 최근에 발견된 상송향홍위촌묘장(上宋鄉紅 衛村墓葬), 석고진석주두촌묘장(石鼓鎮石嘴頭村墓葬), 금대구장청촌묘 장(金台區長青村墓葬) 등을 선택하였다. 이러한 교장에 보관된 청동기군은 동일한 가족 혹은 서로 다른 가 족의 여러 세대 사람들이 사용하던 기물을 포함한다. 그 연대는 대부 분 서주(西周)초기에서 후기에 해당된다. 태공묘 진공교장(太公廟秦 公窖藏)과 같이 극히 일부의 것은 춘추(春秋)초기 진 덕공(秦德公)이 사용하던 기물도 보인다. 선별된 묘장은 기본적으로 모두 서주 초기 에 속한다. 그 족속(族屬) 상황은 비교적 복잡한데, 주로 주인(周人) 집단 중의 강성(姜姓)과 어성( 族) 등으로 구성되었다. 이와 같이 시대가 다르지만 분포가 질서정연한 고고학적 현상을 통해, 우리는 서주의 건국 전후에 관중지역의 족군(族群)에 대한 구 체적인 배치와 이러한 족군(族群)이 서주 왕조에 대한 방어 및 통치 체계 중의 기능을 살펴볼 수 있었다. 또한 주왕조가 동천(東遷)한 뒤 에 관중(關中)지역 진(秦)나라의 활동 상황도 엿볼 수 있었다. 본고를 통해 독자들은 양주(兩周)시기 관중지역의 문화면모를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7,000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