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chemical leak accidents cause a large number of casualties in the short term and secondary environmental pollution in the long term. In the case of the hydrogen fluoride (HF) leak accident in Gumi City, Gyeongsangbuk-do, Korea, the fluoride ion concentration in crops located near the HF leak accident area was detected to be in the range of 99 ~ 13,029 mg/kg and in woody stems in the range of N.D. ~ 6,789 mg/kg. We also identified the correlation relationship between the range and the contamination degree. The order of degree of fluoride contamination of crops was leaf > stem epidermis > inside the stem. However, in another case of accidental HF leak in Hwasung City, Gyeonggi-do, Korea, because the concentration of fluoride ion in the crops was detected in the range of N.D. ~ 45 mg/kg, it is difficult to make a decision about whether HF affects the crops or not. In this study, with the suggestion of the identification of leak accident impacts by checking the contamination characteristics and condition of HF in terms of diffusion distance from the accident point, we prevent damage from secondary environmental pollution and prepare for similar accidents in the future.
다량의 대기오염물(SO2, HF)이 배출되고 있는 공업단지 주변에서 재배되고 있는 수도의 생육에 이들 대기오염물이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기 위하여 수도의 각종 형질, 수량, 대기중의 오염물 농도, 엽내유황 및 불소함량과 엽피해율을 조사하여 시험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엽내유황함량과 대기중 아황산가스 농도간에는 높은 정의 상관이 인정되었다. 2. 엽피해율 조사치는 대기오염에 의한 수량감소의 가장 중요한 지표로 이용 할 수 있다. 3. 본 조사지역에서는 아황산가스보다 불화수소의 배출량이 적지만 엽피해의 발생에는 불소의 관련성이 아황산가스보다 높았다. 4 수량형질의 수량에 대한 기여정도는 주당수수가 제일 컸으며, 주당수수는 엽내 불소함량과 깊은 관련성이 인정되었다. 5. 엽내 유황함량은 수량 및 수량형질과 상관성이 인정되지 않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