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6

        1.
        2024.04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목적 : 본 연구는 경추 척수손상 장애인이 스마트 홈 기술을 통한 일상생활의 변화를 경험하는 과정을 탐구하여, 이 기술 이 기존의 가정환경수정 프로그램에 어떻게 통합할 수 있을지에 대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연구방법 : 연구대상자는 경추 척수손상 장애인 1명으로, 질적 연구 방법 중 사례연구를 통해 스마트 홈 기술 사용 전후의 변화와 경험을 심층적으로 이해하였다. 인터뷰는 2021년 7월 초기 인터뷰 1회, 8월 중간 인터뷰 1회, 12월 스마트 홈 사용 경험 인터뷰 1회를 대면으로 30분~1시간 동안 진행되었다. 자료 분석은 개방 코딩, 범주화, 범주 확인으로 진행되는 반복 적 비교분석법을 사용하였다. 결과 : 자료 분석 결과 ‘스마트 홈 적용 환경’, ‘스마트 홈 사용 경험’, ‘스마트 홈 사용으로 겪은 변화’라는 세 가지 주제가 도출되었다. 이 주제들은 연구 참여자가 경험한 ‘주요 스마트 홈 기술’, ‘적용한 스마트 기기’, ‘스마트 홈에 대한 기대’, ‘주관적 실제’, ‘내적 변화’, ‘독립적인 일상생활’이라는 개념으로 정리하였다. 도출된 개념은 15개의 의미 단위와 51개의 중심의미로 나타났다. 결론 : 본 연구는 스마트 홈 기술이 경추 척수손상 장애인의 일상에 긍정적인 변화를 불러오며, 장애인 삶의 질 향상에 뒷 받침하는 중요한 기초자료를 제공한다. 스마트 홈의 임상 적용 가능성에 대한 새로운 시각을 제공하고,
        4,500원
        4.
        2008.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목적 : 이 연구는 재활병원에서 입원치료를 받고 있는 척수손상환자를 대상으로 작업수행의 영역에서의 문제점을 명시하고, 작업수행의 수준, 수행도 및 만족도와 영역별 시간사용의 관련성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 연구대상은 재활병원에 입원하여 치료를 받고 있는 척수손상환자 19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일상생활활동은 MBI(Modified Barthel Index), 작업수행에서의 문제는 COPM(Canadian Occupational Performance Measure)을 통하여 조사하였고, 시간 사용을 기준으로 활동 배치를 조사하기 위해 30분 단위로 활동을 배치하는 타임테이블을 사용하였다. 조사기간은 2008년 7월 14일에서 7월 16일까지였다. 결과 : 전체 작업수행의 문제는 총 84건이었으며, 자조활동에 대한 문제가 71.4%로 가장 많았다. MBI 점수가 높을수록 자조활동 시간사용은 높았고, 여가활동 시간사용은 낮았다(p<.05). 전체 여가활동 중 정적 여가활동에 대한 시간사용이 높았다. 결론 : 이 연구결과를 통하여 척수손상환자에게 필요한 문제의 우선순위가 다양하고, 작업수행 영역별 시간사용이 불균형이 심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러므로 척수손상환자에 대한 작업치료 중재 시 우선순위를 고려한 목표설정이 필요하고, 효율적인 시간관리를 위한 작업치료 중재가 필요함을 알 수 있었다.
        4,000원
        5.
        2005.0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find the effects of using aid in enhancing walking ability inpatients with spinal cord injury who have received rehabilitative care. The study population consisted of 24 spinal cord injury patients referred to the Department of Rehabilitation Medicine in the National Rehabilitation Center (NRC). All subjects were ambulatory with or without an assistive devices. All of the participants were assessed on SCIM II, WISCI II, FIM, MBI, gait speed (m/s), and walking endurance (120 min/m). The data were analyzed using a paired t-test, a one-way ANOVA, and a Duncan test. The results revealed that TSCIM II and all of the items of SCIM II of the cervical ASIA D group patients were higher than those of the Thoracic ASIA A and C group patients (p<.05). The FIM, MBI, and WISCI II of the cervical ASIA D group patients were higher than those of the Thoracic ASIA C group patients (p>.05). The walking velocities of the lumbar ASIA C group patients were higher than those of Thoracic ASIA A group patients (p<.05). The walking endurance of the lumbar ASIA C group patients was higher than that of the thoracic ASIA C group patients (p<.05). The ASIA D group patients used bilateral standard canes or crutches, but none used AFO. The ASIA A and C group patients used bilateral standard walkers with KAFO for standing and walking. The findings suggest that injury level as well as the functionality of walking aids should be considered when formulating a rehabilitative plan for patients with spinal cord injury.
        4,000원
        6.
        1997.11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pulmonary functional variations in relation to postural changes, lapse after changing position, and the use of abdominal band in the cervical cord injured.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19 quadriplegic patients who had been admitted to the department of the Rehabilitation Hospital, College of Medicine, Yousei University, from April, 1997 through May 3, 1997. A spiroanalyzer was used to measure pulmonary function in supine, standing, time after changing position, and recording to the position, application method, and tightness of the abdominal band. The data were analyzed by the repeated measure one-way ANOVA, and Wilcoxon signed rank test. The findings were as follows: 1. All phase of the patients' pulmonary function improved significantly in supine posture in contrast to standing (vital capacity by and expiratory reserve volume by ). 2. The longer the time lapsed from supine posture to standing, the patient's expiratory reserve volume, maximum ventilation volume, vital capacity, and forced expiratory volume increased. 3. When the patient lay in supine position, the maximum ventilation volume, vital capacity, and the forced vital capacity increased then the center line of the abdominal band was placed along iliac crest; on the other hand, when the patient was standing, placing the bottom line of the abdominal band along iliac crest increased the maximum ventilation volume, vital capacity, and forced expiratory volume. 4. In placing the abdominal band in the patients, leaving space between the top and bottom lines of the band helped increased in maximum ventilation volume, vital capacity, and forced vital capacity for patient in supine as well as in standing. 5. When placing the abdominal band to patients in supine posture, reducing the length of the band by 2.5% along the patient's waist line increased the patients' vital capacity, while reducing the length by 10% to patients in standing increased the maximum ventilation volume. The abdominal band should be placed in such a way that the bottom part of the band should be more tightly fastened while leaving enough room for a hand to be placed in between the body and the band for the top part of the hand. It should also be noted that in a supine position, the bottom line of the band should be placed along the iliac crest, while in standing, the center line should be placed along the iliac crest. The length of the band should also be reduced by 2.5% of the waist line in supine position, and in standing, the length should be reduced by 10%. It should also be noted that the pulmonary function of the patients should be measured at least 10 minutes after one position change.
        5,100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