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의 목적은 지역 브랜드를 강화하는데 요구되는 축제의 속성을 분석하는 것이다. 이 연구 는 경기도 양평에서 개최된 ‘산나물 축제’를 중심으로 진행되었다. 질적 연구 방법을 통해 현장 근무자, 축 제 현장 모니터링을 위해 축제에 참여한 사람, 방문객, 자원봉사자와의 심층 인터뷰를 실시하여 26명의 참 여자의 데이터를 얻을 수 있었다. 분석 결과, 축제의 속성은 축제의 주제와 경제 활성화와 같은 정체성 관 련 요소, 진정성과 즐거움과 같은 경험 관련 요소, 녹색성과 연령 다양성과 같은 가치 관련 요소가 있는 것 으로 나타났다. 이 연구의 결과는 더 나은 지역 브랜드 개발을 위한 지방 정부, 축제 관련 산업체 또는 지 역사회의 자원봉사자의 역량을 개발하는 기초자료가 될 것이다. 또한 여가활동으로서의 축제관광 방문객의 시장세분화에 기여할 것이다.
농약허용물질목록관린제도의 시행에 따라, 농약의 안전 사용이 더욱 중시되었다. 산림식용자원(임산물)은 소규모 재배 등의 이유로 등록된 농약의 수가 적어, 등록되지 않은 농약의 사용이 예상된다. 이에, 본 연구는 임산물에 대 한 농약사용실태를 파악하고자, 산림식용자원 13종에 대한 농약 및 중금속 잔류실태조사를 하였다. 산나물류 조사 시료인 고사리, 참나물, 도라지, 더덕에 대하여 조사 시료의 0%, 40.0%, 20.0, 26.7%에서 농약이 검출되었고, 약초류인 참쑥, 당귀, 마는 13.3%, 56.3%, 0%의 농약 사용 이 확인되었다. 과실류 조사 시료인 석류, 복분자딸기, 다래, 머루, 돌배, 결명자에서는 조사 시료의 57.1%, 33.3%, 26.7%, 66.7%, 46.7%, 0%에서 농약이 검출되었다. 중금속 (납, 카드뮴)은 도라지와 참쑥에서만 검출되었다. 연구에서 얻은 임산물별 사용농약에 대한 정보는 병해충 방제를 위한 사용현황을 확인하여, 추후 농약등록을 위한 정보를 제 공하므로 국내 임산물의 안전성 확인을 위한 자료로 활용 할 가치가 있을 것이다.
This study aimed to determine the elemental compositions of selected edible wild plant species, Hemerocallis fulva, Allium victorialis, Syneilesis palmata and Ligularia fischeri. The samples were dried, crushed, and subjected to microwave-assisted digestion. The macro and micro elements were analyzed by inductively coupled plasma-optical emission spectrometery (ICP-OES), and ICP-mass spectrometry (ICP-MS), respectively. The macro elements in the analyzed species decreased in the order K Ca P Mg S Fe Zn Na, and the micro elements ˃ ˃ ˃ ˃ ˃ ˃ ˃ followed the order Mn˃Ba˃Rb˃Cu˃Ni˃Ga˃Li˃Cr˃V˃Co˃Be˃Se. The percentage ratio of calcium content for potassium in the samples was 42.9% (A. victorialis) > 42.4% (S. palmata) > 33.8% (L. fischeri) > 25.3% (H. fulva). The calcium content was 13.7, 10.9, 6.4, and 2.9 times higher than the phosphorus content in S. palmata, L. fischeri, A. victorialis, and H. fulva, respectively (p<0.05). Manganese was the most predominant among the trace minerals, and it followed the order of A. victorialis > H. fulva > L. fischeri > S. palmata. In general, these wild plants are richer in calcium as compared to other common vegetables, and hence can be considered a good source for calcium that is lacking in Korean food products.
The composition analysis and electron donating activity of 4 kinds of Korean wild sannamuls[Cacalia firma Komar. (CFK), Aster scaber Thunb. (AST), Ligularia fischeri (Ledeb.) Turcz. (LFT), Synurus palmatopinnatifidus (Makino) Kitam., SDN)] were investigated. The Korean edible mountainous vegetable was named a sannamul or chwinamul in Korea, generally. Most of them, the characterization of the each vegetable was reported, individually without comparative research. This study was compared the proximate compositions, mineral, dietary fiber and electron donating abilities on 2,2-diphenyl-1-picrylhydrazyl (DPPH) of sannamuls. In the chemical analysis of sannamuls, CFK was shown higher value in ash (5.4±0.18%), crude fat (2.5 ±0.14%), carbohydrate (8.1±0.21%), potassium (475.45±0.34mg) and magnesium (64.70±0.48mg) than others. Each mineral of the 3 other samples was a similar value but phosphorus in LFT was contained 62.91±0.43%. The compositions of total dietary fiber of the samples were listed CFK LFT SDN AST and the RC50 Value on DPPH radicals, LFK CFT AST SDN. These results have susggest that CFK and LFT may be useful for a funtional material to food develop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