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해만은 우리나라 남해 연안의 주요 어장으로서, 여전히 전체 수산생산량에서 적지 않은 기여를 창출하고 있다. 그러나, 수십 년간 산업개발과 고수온과 같은 환경변화로 인하여 진해만의 해양생태계는 과거와 달라지고 있다. 본 연구는 2005년부터 2022년 까지 진해만 연안 5개 시군구의 수산생산량, 폐기량, 평균영양단계 및 어업균형지수를 분석하였으며, ARIMA 모델을 이용하여 2027년까 지 단기적인 변동 추세를 함께 관찰하였다. 그 결과, 고성지역은 2027년까지 지속적으로 수산생산량이 감소할 것으로 예측되었다. 통영 지역은 이매패류의 부산물 처리가 필요한 것으로 평가된다. 해양생태계 지표의 경우, 통영지역에서는 대형 어류 생산 비중이 회복되고, 어업균형지수가 0 이상을 나타내어 해양생태계 구조가 안정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IPCC의 기후변화 시나리오에 따라 2060 년까지 진해만의 부어성 어종 6종의 생산량 변동 추이를 비교하였으며, 2020년대 초반 2만 ton 부근까지 감소했던 생산량은 2020년대와 2040년대에 4만 ton 부근 가까이 회복한 후, 2060년까지 점진적인 감소 경향을 나타내는 것으로 예측되었다.
본 논문은 남해안 자란만 패류양식어장에서 약 2년 동안 월별로 기초생산력, Chl. a, 영양염류, 입자유기물질과 퇴적물의 유기오 염 정도 및 생화학 조성 등 주요 양식생물의 서식환경인자의 변동특성과 상관성 등을 분석하였다. 또한, 다른 연안 어장과 기초생산력을 비교하고 어장환경관리와 관련된 정책방안을 제시하였다. 월별 평균 기초생산력은 6.43∼115.43 ㎎C m-2 hr-1 범위로 여름과 가을에 높았는 데, 가막만과 마산만 보다는 낮았고, 가로림만과 서해보다는 높았으며, 대체적으로 양식장이 많이 분포한 내만은 그 변동 폭이 상대적으 로 컸다. Chl. a를 구성하는 식물플랑크톤의 크기별 점유율이 시기별로 다소 차이가 있었고, 영양염의 고갈로 인한 식물플랑크톤의 생산력 제한은 거의 없었으나, 대부분 시기에 N/P비가 16 이하로 질소가 상대적으로 부족한 것으로 판단되었다. 수층 입자유기물질의 생화학적 조성은 탄수화물이 가장 높았으나, 반면 표층 퇴적물에서는 지질과 단백질 함량이 높았다. 퇴적물의 TOC와 AVS 농도는 만 안쪽에서 높 았고 일부 시기에는 어장환경기준을 초과한 상태였으며, C:N 비는 평균 8.1∼10.4 범위로 나타났다. 기초생산력은 Chl. a와의 상관성이 가 장 높았고, 입자물질성분 중에서는 탄소보다는 질소 및 단백질과의 상관성이 높았다. 최근 5년 동안의 수층에서의 Chl. a, DIN, DIP 농도는 감소하는 경향이었지만, 반대로 퇴적물의 오염도는 증가하는 추세였다. 자란만의 연간 기초생산력 125.9 gC m-2 yr-1, 굴 양식장 면적 4.97 ㎞2 를 고려하면 연간 식물플랑크톤으로부터 생산되는 탄소량이 약 625 ton이며, 연간 굴 생산 습중량은 약 6,250 ton으로 추정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의 대표적 수입 곡물인 콩의 주요 교역국들의 생산, 소비, 무역 및 재고 동향과 각 국의 생산변동에 따른 조정유형 분석을 수행한 후, 이를 바탕으로 각국의 국제시장 전이효과를 계측하였다. 분석결과 최근 콩의 국제시장 전이효과가 주요 생산국인 브라질, 파라과이, 캐나다 등을 중심으로 증대되고 있으며, 대부분의 국가가 재고보다는 소비와 무역을 통해 생산변동을 조절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나 국제 콩 시장의 불안정성 증가가 예상된다. 따라서 대규모 콩 수입국인 우리나라는 일정량의 국내생산기반 유지, 적절 한 재고정책의 활용, 선물시장의 활용, 수입선 다변화 등과 같은 해외조달능력의 향상을 통한 안정적인 국내 콩 수급 방안 마련이 시급한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목적은 법수늪 유역 내에 유입되는 비점오염원과 늪지의 유입부의 점오염원 예측지역을 선정하여 수환경의 계절적 변화와 형광광도계(phyto-PAM)에 의한 1차 생산력을 분석하여 늪지 생태계의 관리방안을 위한 기초자료로 사용하고자 했다. 조사 시기는 2006년 2월, 4월, 8월과 11월에 각각 1회 정점 1~5의 수 표면에서 수심 1m사이의 수역에서 채수하고, 법수늪 유역 5개 지점, 늪 중앙을 1개 지점으로 하여 정점을 설정하였다.
Apple is most favorable fruit in Korea, and apple farmland has been increased before and after the agreements of Uruguay Round and apple is considered as one of strategic agricultural goods. Especially expansion of apple farmland is concentrated in Kyungpook region because of the suitable climate and its market share is about 70 percents in 1992. But in tree age of apple, although newly and replanting area is increasing, the rate of old orchards is higher than that of other regions. In varieties of apple, it is concentrated in Fuji and is forecasted to increase in the future. The amount of apple production of Kyungpook region is 480 thousand tons, that is concentrated in Wui-sung, Young-ju and An-dong. The quantity of apple production per 10a. is 1,315kg, that is low level compared with that of America and Japan, and the gap of technology among farmers is heavily. The difficulties of apple farming in Kyungpook region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lack of mechanization and facilities due to the small scale of farmland, second, lack of rural labor force, third, concentration on Fuji apple varieties, fourth, low productivity of apple farming.
여수 연안 정치망 어장의 주변 해역을 중심으로 1990년 4월부터 11월까지 매월 채집해서 분석한 식물플랑크톤의 분포량과 여수수협 위판장으로부터 구한 어획량 자료등을 이용하여 여수 연안 정치망 어장의 환경요인인 식물플랑크톤의 분포량과 어획량 변동과의 관계를 분석 정리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식물성 플랑크톤의 출현량은 춘계와 추계보다 하계에 최대가 되고, 특히 육수의 유입이 많은 여수만 중 돌산연안 수역 분포량이 많고, 소리도와 세존도부근의 식물성 플랑크톤 분포량은 내만수의 확장 경향을 추정하는데 유익하게 이용될 수 있다. 2) 여수 연안 정치망에 어획되는 주요 어종의 어획량은 삼치, 갈치, 고등어, 정어리, 멸치, 전갱이 및 방어의 순이고, 어획되는 시기는 정어리와 멸치가 4~6월, 전갱이, 갈치 및 고등어는 6~10월이 였으며, 삼치는 전 어기에 걸쳐 어획되었다. 3) 여수 연안 정치망 어장의 어획량은 식물성 플랑크톤 출현량과 상관 관계가 있고, 이들 식물성 플랑크톤량은 하계 육수의 영향을 많이 받는 내만수에 최대의 출현량을 보인다. 또, 이 어장의 어획량은 하계에 많으므로 여수 연안 정치망 어장은 육수의 유입에 의해 풍부한 영양염류를 공급받는 내만수내의 이료생물의 생산력이 어획량을 좌우하는 어장의 중요한 환경요인이 될 수 있다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climatic variability on the citrus yield in Jeju-do. This study analyze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itrus yield and climate elements(temperature, rainfall, sunshine duration etc) at each growing season. Temperature shows a positive relationship with the period of flower bud for the yield of citrus. The rainy days of bud bursting period have a negative relation in Seogwipo area. The sunshine duration of the 1st physiological fruit drop period was positively related to citrus yield in Jeju and Seogwipo area. The maximum temperature of the 2nd physiological fruit drop period and the fruit enlargement period were negatively related to the citrus yield. In Jeju and Seogwipo area, about 60% of the variation of citrus yield is explained by the variation of climatic factors. The sunshine duration of the 1st physiological fruit drop period and fruit enlargement period were selected to the yield estimation in Jeju. In Seogwipo, the number of rainy days and the sunshine duration of the 1st physiological fruit drop period were selected.
Effect of seawater temperature (temperature) on the production of anchovy, Engraulis japonica and laver, Porphyra tenera Kjellman, were investigated in the eastern part of South Sea of Korea (ESS). Bimonthly temperature data (Feb., Apr., Jun., Aug., Oct., Dec.) from 1980 to 2002 were collected from Korean Oceanographic Data Center (KODC) and monthly anchovy catch and laver production from 1980 to 2002 were used from published sources by the Ministry of Maritime Affairs & Fisheries, Korea. Effects of temperature on the two organisms were examined in four cases. In case of lower anchovy catch and higher laver production (1993), temperature during main spawning season of anchovy was about 0.2-0.6℃ lower than normal condition, and temperature during seed collecting season of laver in Namhaedo, Kojedo went down below 22.0℃. In case of higher anchovy catch and higher laver production (1995), optimum temperature for catch was formed in main fishing ground, temperature for seed collection was lower than 22.0℃. In case of lower anchovy catch and lower laver production (1996), temperature for spawning and catch was about 0.6-1.6℃ lower than normal condition, and temperature during seed collection in nursery was about 0.5-1.0℃ higher than optimum temperature for seed collection. In case of higher anchovy catch and lower laver production (1998), temperature during main fishing and spawning season was about 1.0-1.8℃ higher than normal condition, and temperature during laver seed collection in nursery was 1.5℃ higher than optimum temperature for seed collection.
A study was carried out on the distribution of chlorophyll a and water quality in the dry season in Yosuhae bay and adjoining sea, Southern Korea, in July of 1994.
Concentration of salinity and phosphate were lower in the outer bay than in the inner bay. While nitrate and silicate were higher in the former than in the latter. We were identified with coastal water of origin from China with the lower salinity in outer bay. The China coastal water was characteristic of high nutrients and phytoplankton biomass, such as chlorophyll a.
The principal component analysis (PCA) on the analytical data proved that high density of phytoplankton biomass occurred under the condition of low salinity and high concentration of dissolved inorganic nutrients.
It is thought that the thermoharine structure and biological produtions of Yosuhae bay were controlled by the China coastal water in the outer ba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