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부부의 성역할 인식과 행복감, 삶의 만족도의 관계를 분석 하기 위해 행위자-상대자 상호의존모형(Actor-Partner Interdepence Model:APIM)을 적용하였다. 연구에서는 기혼 부부 622쌍(총 1,244명)을 대상으로 가사, 양육 및 성평등 인식에 대해 남편과 아내 동시에 조사한 실태조사를 활용하였으며, APIM을 활용하여 남편과 아내가 서로에게 미 치는 영향을 동시에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행위자 효과 측면에서 남편의 성역할 인식이 전통적일수록 본인의 행복감이 낮아지는 것으로 나타났 다. 상대자 효과에서는 남편의 성역할 인식이 전통적일수록 아내의 행복 감과 삶의 만족도가 낮아지는 경향을 보였다. 기존 연구들이 개인을 중 심으로 영향 요인을 분석한 것과 달리, 본 연구는 기존의 연구들이 주로 개인을 단위로 영향 요인을 분석한 것과 달리, 부부 단위를 분석하여 성 역할 인식과 행복감, 삶의 만족도의 관계를 보다 체계적으로 탐구하였다. 이를 통해 부부의 성역할 인식이 행복과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 개인 및 부부의 행복 및 삶의 만족의 증진을 위한 실천적 시 사점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제니탈이미지와 성만족의 유관성을 고찰하였다. 이를 위해 제니탈이 미지는 성 만족과 관계가 있다는 연구결과들(Herbenick, Reece, Schick, Sanders, Dodge & Fortenberry, 2010; Meltzer & McNulty, 2010)을 토대로 성 만족을 제니탈이 미지의 유관요인으로 가정하고 이에 대해 설명하였다. 더불어 한국여성 170명에게 개 방형 설문조사 후 결측치를 제외하고 최종 168명이 기술한 제니탈이미지 237개 문항 을 소개하였다. 이를 통하여 제니탈이미지 요인이 긍정적일수록 성 만족은 높을 것으 로 예측할 수 있다. 이후 제니탈이미지 유형구분 연구 및 성 만족과의 관계연구 수행 에 있어서 제니탈이미지를 고려하는 것의 중요성과 함의점을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whether the effect of the Strong Small Farm Development Project by 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 is positively associated with participating farmers. The data that used in this study is a survey data that targets 442 farming households who have participated in the strong small farm development project. This study applies ordered-probit model to evaluate level of the participants' satisfaction of the project. This study found that participants' level of satisfaction is closely associated by satisfaction level of project contents that contains education and consulting, friendly attitude toward the project, active participation of the project, and understanding of the project's contents and their importances. Based on research findings, this research provides some implications of future upbringing policy for strong small farms and the principal point of the policy that leads to succeed in implementing the project when formulating agricultural policy in participants view. the strong small farm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