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9

        1.
        2021.02 KCI 등재후보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의 목적은 모발 성장인자 관련 논문의 고찰을 통해 성장인자가 탈모에 적용되었을 때 모발의 시너지 효과를 연구하여 뷰티산업 종사자들이 전문적이고 경쟁력 있는 제품 선택의 폭을 넓힐 수 있으며 그로 인해 틈새 시장인 점판 시장의 활성화로 뷰티산업의 발전에 기여하고자 하였다. 성장 인자는 인체가 출생 시 가지고 태어나는 세포분열 활성화인자로 기능이 떨어진 세포를 자극하여 모발 성장과 모유두 세포의 세포 분열을 촉진시키며 모발 성장기를 연장시킨다. 모낭에서 발현되는 것으로 보고된 성장 인자는 섬유아세포 성장인자(bFGF, basic Fibroblast GF), 혈관내피세포 성장인자(VEGF, Vascular endothelial Growth Factor), 인슐린 유사 성장인자(IGF-1, Insulinlike Growth Factor), Noggin(모낭자극성장인자), 줄기세포증식인자 (SCF, Stem Cell Factor), 케라틴형성세포 성장인자(KGF ,keratinocyte growth factor), 간세포성장인자 (HGF, hepatocyte growth factor) 등이 있다. 이들 성장인자들은 각각 모낭과 모발의 형성을 촉진하며 모낭의 성장을 조절하고 모발의 성장기 유지에 기여하며 정상적인 성장 주기로 컨트롤 한다. IGF-1과 GH를 같이 투여하면 시너지 효과를 얻어 피부 파필라 주위의 매트릭스 세포와 결합 조직 피복(CTS)의 두께가 증가함을 알 수 있다. 프로시니아딘(포도씨 추출물)과 산사열수 추출물은 모발 성장과 모유두세포의 성장인자 유전자 발현에 유의미하다. 황칠나무 잎 추출물의 적용 시도 모유두 세포의 성장인자 유전자 발현에 유의미한 효과가 있다. 모발이 성장함에 따라 IGF-1의 발현 은 증가되고 TGF-β1의 발현은 감소되어 모유두 세포의 퇴행과 감소를 지연시켜 주는 역할을 하여 성장인자가 남성형 탈모를 지연시켜 줄 수 있다고 사료된다. 본 논문은 좀 더 편리하고 효과가 증대되는 대중적인 두피.모발관리의 한 방법인 샴푸, 트리트먼트 등의 제품을 사용하여 다양하고 전문적인 제품에 대한 긍정적인 인식과 대안을 제시 하고자 하였으며 추후 더 많은 연구를 통하여 미흡한 점이 보완되기를 바란다 .
        4,200원
        3.
        2007.04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Chromosomal abnormality s uch as aneuploidy is one of the main factors to cause cancers This abnormality is caused by defects in centrosomal duplication‘ and most cancer cells have extra copies of centrosomes, r esulting in t he formation of multipolar spindles. Several kinases playing in mitotic phase have been implicated in regulating the centrosomal cycle‘ spindle checkpoint‘ and chromosome co ndensation and segregation. They also have Lhe ability to act as oncogenes. FOl studying the relationship between rnitotic kinase and oral cancers, the kinase activity of polo-like kinase-1, which is one of mitosis-specific kinases, is analyzed in oral carcinoma cells originated differently. Kinase activity was increased in these cancer cells compared to normal human gingival fibroblast primary cultured cells Moreover. the mitotic cell populations were a lso increased in these cell lines. Whereas the inhibition of Polo-like kinase-1 by C-terrninal domain in human gingival fibroblast cells induced multiploidy‘ the apoptotic cell population was increased in oral cancer cells overexpressed C-terminal domain 0 1' Polo- Ii ke kinase-1. These data suggested that polo-like kinase-1 might be involved in the on cogenic effect in oral cancer like other solid human carcinomas, and be target molecules for anti-cancer drug.
        4,000원
        4.
        1994.08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research was conducted to obtain the basic information on the cell block phenomenon occuring during early development in vitro of mouse embryos. Early embryos were recovered at 3h post-hGG injection(hph). Various chemicals (EDTA, EGTA, DTPA, MA and PRA) were tested to examine the effects of them on the overcoming the 2-cell block phenomenon. One hundreds M of the chelating agents were added to the M16 medium containing embryos. The treated embryos were worked and transferd to fresh M16 medium after 1, 3, 6 and 12h of treatment. Development was examined at 58 and l2Oph injection, respectively. 44.7~68.9% of the treated embryos developed to 4-cell stages at 58hph. Only 17.6~60.3% of the embyos developed upto blastocyst at l20hph. Whereas control embryos showed slightly lower development in M16 medium alone (38.9~42.4%, 4-cell and 3.8~65.5%, blastocyst). Three mitogenic agents were tested. 51.6~63.8% and 43.4~48.1% of embryos developed up to 2-cell and blastocyst stage, respectively when treated in 5 g PHA-M Imi for 5 min, 1, 3 and 6h subsequently cultured in fresh M16 medium. Control embryos only showed 38.8% for 4cell and 5.9% fo blastocyst at 58 and l2Ohph, respectively. 100M PMA was also beneficial for the 2-cell block. Showing better development them that of control (42.4 vs 57.9~59.4% 4cell and 5.9 vs 25.0~55.6% blastocyst, respectively. However 1M butyric acid was toxic to early embryos, thus arresting further development. These result indicate that either chelating or mitogenic agents could be used to overcome the "in vitro 2-cell block" occuring during early development in vitro of ICR embryosCR embryos
        4,000원
        5.
        2006.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Chromosome analysis using mitosis, meiosis and bicolor FISH were carried out in Bupleurum latissimum Nakai, which is one of the endemic plants in Ulleung island of korea. The somatic methaphase chromosomes number of this plant was 2n = 2x = 16 and the chromosome complements consisted of six pairs of metacentrics and two pairs of submetacentrics. The size of chromosomes ranged 2.40~4.20 μm and NOR (nucleolus organizer region) chromosome did not observed using conventional staining. In meiosis chromosomes, metaphase-I and anaphase-I were observed. Metaphase-I anaphase-I showed 8 bivalents and chromosomes migration to make two daughter cells. Using bicolor FISH, one pair of 5S and 45S rDNA signals were detected on the centromeric region of chromosome 3 and the end of short of chromosome 2,respectively. We also observed the NOR using 45S rDNA probe.
        8.
        1990.0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Japonica형 품종인 섬진벼와 통일형품종인 서광벼의 세포주기를 측정하고 온도의 하항에 따른 세포주기의 지연을 측정하여 품종간의 차이가 있는지를 조사하였다. 또한 세포주기를 phase별로 기간을 측정하고 온도의 변화에 따른 각 phase 기간변화로 조사하였다. 아울러 DNA, RNA 및 protein 합성량도 측정하여 세포주기와 어떠한 관련성이 있는지를 조사하였는데 얻어진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섬진벼와 서광벼의 세포주기는 30℃ 에서 6시간, 20℃ 에서 12시간으로 동일하였으나 15℃ 에서는 섬진벼 18시간, 서광벼 20시간으로 나타난 것으로 보아 Japonica형 품종인 섬진벼가 통일형 품종인 서광벼에 비하여 냉해에 강한 것으로 나타났다. 2. 세포주기로부터 측정된 각 phase별 기간은 섬진벼가 20℃ 에서 TG1=2.0, Ts =4.4, TG2=3.2 그리고 TM=2.4 시간이었고, 30℃ 에서 TG1=1.8, Ts =2.6, TG2=0.6 그리고 TM=0.8 시간이었다. 서광벼에서는 20℃ 에서 TG1=3.0, Ts =3.0, TG2=3.5 그리고 TM=2.5시간이었고 30℃ 에서 TG1=1.5, Ts =1.5, TG2=2.0 그리고 TM=1.0시간이었다. 20℃ 에서 30℃ 로 배양온도가 상승함에 따라 섬진벼에서는 20℃ 에 비하여 30℃ 에서 G1 기는 길어졌고 G2 기와 M기는 짧아졌다. 그러나 서광벼에서는 각 phase의 상대적 기간이 거의 일정한 비율이었다. 3. DNA, RNA 및 protein 합성은 온도가 하항함에 따라 증가하는 경향이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