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12

        1.
        2019.08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한국 스포츠심리학의 초기 성장기에 시대를 앞서 스포츠심리학의 현장적용에 선구적 역할을 한 신동성 박사의 연구활동과 현장지원 노력을 재조명하는데 목적이 있다. 방법: 이를 위해 생애사 연구 관점에서 면접과 문서분석을 활용하였고, 연구참여자의 구술 증언 형식의 생애사 면접과 연구관련 문서 및 언론 보도 자료를 수집하였다. 자료의 진실성 확보를 위해 동료 점검, 연구참여자 점검, 삼각검증을 진행하였다. 결과: 신동성 박사의 연구활동과 현장지원 노력을 탐색한 결과 1980년대 체육과학 진흥 역할, 스포츠심리학 현장적용의 선구적 역할, 한국의 스포츠심리학 성장에 공헌한 역할 등 세 가지 범주로 도출되었다. 1980년대 체육과학 진흥 역할에 는 스포츠과학연구소 시절 체육부 창설과 서울올림픽 꿈나무발굴사업인 신인발굴사업, 육군사관학교와 청와대 경호실의 체력시험 기준을 설정하는데 기여하였다. 스포츠심리학 현장적용의 선구자 역할에는 심리검사를 적용한 심리상담을 도입하고, 골프협회를 대상으로 최초의 심리교육을 도입하였으며 축구에 인지전략 개념을 도입하는 공헌을 하였다. 한국의 스포츠심리학 성장에 공헌한 역할에는 한국의 콜먼 그리피스, 응용스포츠심리학의 대부로 불릴 만큼 초기 성장기의 주요공헌자였다. 현장적용 목적의 국제 교류 활동과 현장적용을 위한 제도 마련을 통해 실질적인 성과를 내며 스포츠심리학을 현장에 활성화시켰다. 또한 스포츠심리학을 대입한 언론 토론에서 대중적 해설을 시작한 최초의 학자이며, 학회의 성장에도 기여하였다. 결론: 한국의 응용스포츠심리학 발전 초창기 신동성 박사가 취한 선구자적 접근법과 공헌을 기억하는 것은 학문의 전통을 계승하고 미래에 도전하는 측면에서 의미가 크다.
        2.
        2014.0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Introduct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fine mental coaching and to identify the application of mental coaching in sport. There are confusions in sport psychological interventions between Psychological skills training and counseling. Psychological skills training enhances the athlete's performance by controlling their various psychological factors through sport psychological interventions. But psychological skills training focuses on improving performance without considering the athlete's individual development and self realization. Mental coaching consists of psychological skills training, counseling and mentoring. And mental coaching should enhance performance by psychological skills training, promote personal growth by counseling, and promote the athlete's self-realization by mentoring. Limitations of Psychological intervention: As an application of sport psychology. counseling and psychological skills training is still valid. However, conflicts of psychological skills training, absence of present methods for sport psychological intervention fruits, prejudice for sport psychological intervention in sports fields, limited access routes for the application of sport psychological intervention for athletes, and separation between the sports psychologist and the coach creates difficulties in the application of sports psychology. Conclusion: Mental coaching, in harmony with psychological skills training, counseling and mentoring becomes more effective via integration between the sports psychologist and coach.
        3.
        2014.0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e aim of present study was to suggest the appropriate way to establish and interpret mediating effect on sport psychology research by reconsidering Barron and Kenny`s criteria (1986) which has been widely used for explaining mediating effect in psychological research. Qualitative review of psychological literature suggesting mediating effect was performed. As a result, we identified several limitations from the Barron and Kenny`s criteria which is two-dimensional classification including fully mediated model and partially mediated model. For example, the criteria cannot explain the issue related to equivalent models which are statistically identical but are logically different, and it disturbs apposite interpretation for the main mediated model. Thus, we discusse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equivalent model and the mediated model, and suggested the advisable approach to mediated model for sport psychologists.
        4.
        2011.11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용어 사용의 개념적 혼란을 겪고 있는 flow와 commitment의 차이를 고찰하고, 지금까지 이두 개념이 스포츠심리학과 관련된 학위논문, 학회지 논문에서 어떻게 사용되었는지를 살펴보았다. flow와 commitment는 스포츠심리학계에서 몰입이라는 용어로 똑같이 사용되고 있으나, flow는 하나의 활동에 완전히 몰두한 상태로써 일종의 무아지경에 이른 일시적인 절정의 심리상태이며, commitment는 운동참가와 관련하여 스포츠나 여가활동에 참가하면서 얻게 되는 희망, 신념, 믿음을 나타낸 것으로 지속적인 스포츠 참여욕구를 의미한다. 1995년부터 2011년 6월까지 운동몰입 관련 논문들을 분석한 결과 한글제목, 영문제목, 서론에서의 개념설명, 질문지 사용에서 flow와 commitment의 개념을 정확하고 일관되게 사용한 논문은 조사대상 논문 127편 중 32편(25.2%)에 불과했으며, 나머지 95편(74.8%)의 연구들은 두개념이 다른 의미임에도 혼용하거나 잘못 사용한 경우가 나타났다. 올바른 지식을 전달하여야 하는 연구논문에서 잘못된 지식전달은 학계의 신뢰를 떨어뜨리는 중요한 사안이 될 수 있으므로, 차 후 연구에서는 논문에서 사용되는 용어의 개념을 정확하게 정의하고 이해하여 지식전달에서의 혼란과 오용을 방지해야 할 것이다.
        5.
        2003.11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지난 50여 년간의 스포츠심리학 연구에서 주류를 이룬 이론적 패러다임을 문헌을 통하여 분석 고찰하고 미래 방향을 보색해 보았다. 1950-1960년대에는 일반 심리학의 조류에 따라 개인특성을 강조하는 기질론적 접근이 스포츠심리학 연구를 크게 지배하였으나, 곧바로 상황과 학습을 강조하는 메카니스틱 행동론이 뒤를 따랐다. 특히, S-R 메카니스틱 접근에 의하여 발달된 욕구이론과 사회적 촉진론은 다양한 각성-수행 이론의 토대가 되었다. 1970년대 인간의 사고가 행동을 지배한다는 인지-행동적 접근은 스포츠심리학 연구에 응용되었으며, 사회적 요인과 결부하여 개인의 사고와 믿음의 상호 작용적 과정을 이해하려는 사회인지적 접근이 1980-1990대 스포츠심리학 연구를 주도하고 있다. 최근에는 개인을 둘러싼 환경 내에서 사람간의 생물, 인지, 사회적 관계를 이해하려는 생태학적 접근이 조심스럽게 대두되고 있다. 스포츠 행동의 역동성과 복잡성은 전통적 과학의 패러다임에 의해서 이해되기 어렵다. 미래 스포츠 심리학에서는 다양한 문화와 공동체 그리고 여러 종류의 학문적 지식체들을 통합하여 스포츠 상황에 실제적으로 적용될 수 있는 이론적 패러다임이 기대된다.
        12.
        1990.03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is study was to review the development of research and the future of sport psychological study by investigating to textbooks, journals and papers relating to sport psychology. The results of these are as follows: 1) Continue the applied psychological research to elite athlets. 2) Increase of psychological study for the general public. 3) Increase of sport psychologist role as counselor to development athletic performance. 4) Increase of study for inter- mechanism of behavior than phenomonal behavior. 5) Develop of modeling for motor learning. 6) Increase of study using psycho-physiology. 7) Intensify of qualification as sport psychologi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