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설상추에서 문제가 되고 있는 해충에는 싸리수염진딧물, 꽃노랑총채벌레, 검은은무늬밤나방 등이 알려져 있다. 본 연구는 토양 속 꽃노랑총채벌레의 번데기를 포식하는 총채가시응애(Hypoaspis aculeifer)와 상추 잎에 서식하는 꽃노랑총채벌레의 약충과 성충을 포식하는 미끌애꽃노린재(Orius laevigatus)를 이용하여 보다 효율적으로 꽃노랑총채벌레를 방제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꽃노랑총채벌레의 피해가 증가하는 7월~8월에 정식하는 시설상추에서 꽃노랑총채벌레의 발생초기에 총채가시응애는 1회 방사하고, 미끌애꽃노린재는 방사량, 방사횟수를 달리하여 방제효과를 조사한 결과, 7월 하순~8월 초순 중 정식하는 3작기 시설상추에서 꽃노랑총채벌레가 상추 100엽당 1~10마리 사이에 발생할 때 총채가시응애를 m2당 15.2마리(15,000마리/300평/10a) 밀도로 1회 방사한 후 예찰을 통하여 꽃노랑총채벌레가 100엽당 15~25마리 사이에 발생하면 미끌애꽃노린재를 m2당 0.8마리(750마리/300평/10a) 밀도로 15~30일 사이의 간격을 두고 2회 방사하면 90% 이상의 밀도감소 효과가 있었다. 그리고 꽃노랑총채벌레가 100엽당 25마리 이상 발생하였을 때는 총채가시응애를 ㎡당 15.2마리 밀도로 1회 방사하고 미끌애꽃노린재는 m2당 0.8마리 밀도가 되게하여 15~30일 사이의 간격을 두고 3회 방사하거나, 미끌애꽃노린재 밀도를 2배 증가시켜 m2당 1.6마리 밀도로 15~30일 사이의 간격을 두고 2회 방사하면 80% 이상의 효과를 보였다.
Three benzimidazole pesticides commonly used in korean lettuce were subjected to a field residue trial to ensure safety of terminal residue in the harvest. The residual patterns of three benzimidazole pesticides, which were carbendazim, benomyl and thiophanate-methyl were examined after applying with the recommended dose in two types of korean lettuce (Chima and Chuckmeon) and their DT50 were calculated. In Chima lettuce, biological half-lives of carbendazim, benomyl and thiophanate-methyl were 2.56, 1.37 and 2.54 days, respectively and their required time under MRL(5.0 mg/kg as carbendazim) were 4.5, 2.2 and 1.0days. In Chuckmeon lettuce, biological half-lives of them were 3.41, 1.70 and 4.20 days, respectively and their required time under MRL were 5.4, 1.9 and 0.5days.
Insect pests attacking the leaf of lettuce (Lactuca sativa) were surveyed in environmentally frendly leaf-lettuce-greenhouses in Hwaseong, Namyangju, and Suwon from 2003 to 2004. Sixteen insect species of eleven families in eight orders were collected in greenhouses. Among them, Acyrthosiphon solani, Frankliniella occidentalis, and Autographa nigrisigna were the most serious pest species because of their damage ratio was over 30%. Population of Acyrthosiphon solani showed the highest peak one or two times between mid-April and early June in both the second and the third cropping period. Frankliniella occidentalis reached the highest peak one or two times, the first peak between mid-June and the late July, and the second peak between the mid-August and the mid-October. Autographa nigrisigna reached the highest peak one or times between early June and late July and in the mid-August to late October. The highest peak occurrence of A. solani was observed in early June as many as 4,836 nymphs and adults per 100 leaves. And for F. occidentalis it was in early July occurring 437 larvae and adults per 100 leaves, for A. nigrisigna in early October occurring 42 larvae per 100 leaves. The density of F. occidentalis and its damage as well was greater in soil culture than in hydroponic culture, but in case of both A. solani and A. nigrisigna no such difference between cropping systems was found.
시설재배시의 관수자동화 및 필요수량 산출에 대한 기초자료를 구축하는 것을 목적으로 우리나라에서 많이 재배되고 있는 시설재배작물인 상추와 오이를 대상으로 시설환경, 재배방식 및 생육단계별 증발산량을 실측 조사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상추의 생육은 NFT 재배구가 토양재배에 비하여 2배 이상 빨랐다. 오이의 생육은 펄라이트재배가 가장 좋았고 암면재배는 펄라이트재배 보다 약간 떨어졌으며 토양재배는 상당히 떨어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상추의 소비수량은 토양재배 2.62l/주, NFT 1.71l/주로 조사되었다. 오이의 소비수량은 토양재배 45.22l/주, 암면재배 27.45l/ 주, 펄라이트재배 29.06l/주로 조사되어 토양 재배쪽이 양액재배에 비하여 많은 물을 소비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상추의 평균 증발산비는 토양재배 0.96, NFT 1.37로 나타났으며, 토양재배에서는 생육단계별로 큰 차이가 없었으나 양액재배에서는 생육단계에 따라 크게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오이의 평균증발산비는 토양재배 1.42, 암면재배 1.87, 펄라이트재배 2.02로 나타났으며, 생육단계에 따른 증발산비의 증가는 양액재배가 토양재배에 비하여 현저하게 큰 것으로 나타났다. 증발산량과 시설내부의 평균기온 사이에는 상관관계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증발산량과 증발계증발량, 일사량 및 최저습도 사이에는 고도로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